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美術史와 나

美術史와 나

(미술사는 나에게 어떤 학문인가)

권영필, 김영원, 신영훈, 윤난지, 윤용이, 이태호, 임영주, 허영환, 노성두, 민주식, 정병모, 김동욱, 김기주, 이원복, 유준영, 아오키 다카오, 하마시타 마사히로 (지은이)
  |  
열화당
2003-03-20
  |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17,100원 -5% 0원 540원 16,5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美術史와 나

책 정보

· 제목 : 美術史와 나 (미술사는 나에게 어떤 학문인가)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 이야기
· ISBN : 9788930100465
· 쪽수 : 284쪽

책 소개

1970년대 척박한 환경에서 미술사를 공부한 학자들의 이야기를 모은 것인데, 어떤 계기로 미술사를 공부하게 되었고, 미술사란 학문이 무엇이며, 어떻게 공부해야 하는가를 각자의 입장에서 소개한다.

목차

칠십년대 사람들: 책 머리에

우공이산(愚公移山) - 권영필
우리 미술사 연구에 대한 하나의 제언(提言) - 김기주
입암이화(立巖二話) - 김동욱
한국 도자사 연구의 오솔길 - 김영원
나의 미술사학, 달콤한 저주 - 노성두
'인간 발견의 학(學)'으로서의 미술사학 - 민주식
건축사의 새로운 관점 - 신영훈
늦깍이의 변 - 유준영
미술사도 결국 '사람'의 일이다 - 윤난지
도자, 삶과 문화를 담은 작은 세계 - 윤용이
뒤늦게 시작한 건축사 연구 - 이상해
아름다움과의 만남 - 이원복
이 땅과 삶을 그리워하며 - 이태호
우여곡절의 인연 - 임영주
미술은 아름다운 생명체다 - 정병모
삼불(三佛) 선생님의 가르침을 따라서 - 허영환
회상을 통한 미술사의 '이삭 줍기' - 아오키 다카오
문외한의 미술사 - 하마시타 마사히로

글쓴이 소개

저자소개

권영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1년생으로, 서울대 미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를 거쳐, 파리 3대학에서 미술사를 수학, 독일 쾰른 대학에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중앙아시아학회와 한국미술사학회 회장을 역임했고, 영남대, 고려대 교수를 거쳐,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교수로 정년퇴임했다. 그 후 상지대학교 초빙교수로 재임했다. 현재 아시아뮤지엄연구소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 『실크로드 미술』(1997), 『미적 상상력과 미술사학』(2000), 『렌투스 양식의 미술』(2002), 『왕십리 바람이 실크로드로 분다』(2006), 『문명의 충돌과 미술의 화해』(2011), 『실크로드의 에토스: 선하고 신나는 기풍』(2017)이 있고, 역서로 『중앙아시아 회화』(1978), 『돈황』(1995) 등이 있다.
펼치기
김영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고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고고학과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 학예연구관을 거쳐, 국립공주박물관장, 국립제주박물관장,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장과 역사부장, 국립전주박물관장, 문화재청 문화재위원을 역임하고 현재 국립문화재연구소장으로 재임하고 있다. 서울대 인문대 고고미술사학과, 서울대 미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동양예술사》, 《동양도자사》, 《중국도자사》, 《한국도자사》, 《공예론》 등을 강의하였다. 논문으로 「조선조 인화분청의 편년적 고찰」, 「조선조 인화문 분청사기의 양식분류」, 「조선전기 분청과 상감백자에 관한 연구」, 「고려청자와 중국도기와의 비교연구」, 「분원의 설치를 중심으로 한 조선전기 도자의 연구」, 「세종연간의 도자에 관한 고찰」, 「세조-성종연간의 분원의 설치와 도자양식의 변천」, 「통일신라시대 한.중교역과 자기의 출현」, 「백제시대 중국도자의 수입과 방제」, 「통일신라시대 연유(鉛釉)의 발달과 자기의 출현」, “Traditional Architectural Ceramics in Korea”, 「조선시대 요업체제의 변천: 도기소.자기소에서 분원관요로」 등과 저서 『조선 전기 도자사』, 『조선백자』, 『조선전기 도자의 연구』, 『박물관 밖의 문화유산 산책』, 『계룡산 분청사기』, 『계룡산 도자기』 등이 있고, 번역서 『중국도자사』가 있다.
펼치기
신영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5년 개성에서 태어났습니다. 아호는 목수(木壽), 문화재 보수의 대가이자 한옥의 거장으로 1959년부터 국가 지정 중요 국보, 보물 보수에 종사했고, 1962년부터 1999년까지 문화재 전문위원을 역임했습니다. 2008년 현재 한옥문화원 원장으로서 한옥에 담긴 한국인의 심성과 지혜를 알리고 오늘날의 한옥 연구와 교육에 힘쓰고 있습니다. 송광사 대웅보전, 보탑사 3층 목탑, 운문사 대웅보전, 프랑스 고암서방, 영국 대영박물관 한국실 사랑방 등을 지었습니다. 지은 책으로는 《한국의 살림집》《우리문화 이웃문화》 《우리 한옥》 《한옥의 향기》 《천상이 천하에 내려 깃든 석굴암》 《토함산에 이룬 이상세계 불국사》 《한국의 고궁》 등이 있습니다.
펼치기
윤난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대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석사학위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이화여대 미술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00년 석주미술상(평론 부문), 2007년 석남미술이론상을 수상하였다.
펼치기
윤용이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7년 서울에서 태어나 성균관대학교 사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국립중앙박물관 학예관을 역임했고, 2007년 명지대학교 미술사학과 교수로, 그리고 문화예술대학원장을 맡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도자사연구』, 『아름다운 우리 도자기』, 『우리 옛 도자기의 아름다움』 등이 있다.
펼치기
이태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와 동 대학교 대학원 미학·미술사학과를 졸업했다.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광주박물관 학예연구사를 거쳐 전남대학교 교수, 전남대학교박물관장, 명지대학교 미술사학과 교수 및 박물관장, 문화예술대학원장을 지냈다. 또한 문화재청 문화재위원.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경기도, 충청남도 문화재위원, 국회입법조사처 자문위원, 한국은행 화폐 도안 자문위원 등을 역임했다. 우현(고유섭) 학술상을 수상했고, 황조근정훈장을 수훈했으며, 현재 명지대학교 미술사학과 석좌교수, 다산 숲 아카데미 원장으로 있다. 저서로는 『이야기 한국미술사』(2019), 『서울 산수: 옛 그림과 함께 만나는 서울의 아름다움』(2017), 『사람을 사랑한 시대의 예술, 조선후기 초상화』(2016), 『옛 화가들은 우리 땅을 어떻게 그렸나』(2015), 『한국미술사의 라이벌: 감성과 오성 사이』(2014), 『조선후기 화조화: 꽃과 새, 풀벌레, 물고기가 사는 세상』(2013), 『조선후기 산수화전: 옛 그림에 담긴 봄 여름 가을 겨울』(2011), 『조선미술사기행 1: 금강산, 천년의 문화유산을 찾아서』(1999), 『조선 후기 회화의 사실정신』(1998), 『미술로 본 한국의 에로티시즘』(1998), 『우리시대 우리미술』(1991) 등이 있다.
펼치기
임영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홍익대학교 공예학부를 졸업하고, 동국대학교 대학원 사학과에서 미술사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 한국문화재보호재단 매장문화재 발굴조사실장, 한국전통공예미술관 관장, 전통문양연구소 소장, 홍익대학교 목조형학과 겸임교수 등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 『한국문양사』, 『단청』, 『한국전통문양』, 『우리나라 단청』(공저), 『한국전통문양』 등이 있다.
펼치기
허영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7년에 태어나 한국외국어대와 국학대 영문과를 거쳐 대만 중국 문화대학 대학원 미술사학과를 졸업하고 1982년 고려대 대학원에서 '중국 화원제도사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화여대, 경희대, 서울대 강사로 출강했으며, 한국일보 기자를 역임했다. 문화재전문위원으로 활동했으며, 성신여대 교수를 역임했다(1982-2002). 현재 서울시 문화재위원, 서울역사박물관 자문위원, 한국예술종합학교 대학원 강사, '시와 시학회' 운영위원장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석지 채용신 연구'(1984), '중국 화보 연구'(1992) 등이 있고, 지은 책으로 <중국회화소사>(1972), <동양화 일천년>(1978), <중국화론>(1988), <동양미의 탐구>(1999), <허영환의 중국문화유산 기행>(전4권, 2001-2002) 등이 있다.
펼치기
노성두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독어과 졸업, 독일 쾰른대학교에서 철학부 서양미술사, 고전고고학, 로만어 문학을 전공하여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번역서는 <정치적 풍경>(일빛), <예술의 재발견 시리즈>(금호문화), <예술가의 전설>(사계절) 등이 있고, 저서로는 <문명 속으로 뛰어든 그리스 신들 1, 2>(사계절), <보티첼리가 만난 호메로스>(한길사) 등이 있습니다.
펼치기
민주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동경대학교 대학원 미학예술학 전문 과정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영남대학교 미술학부 및 대학원 미학미술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 미학 및 비교 미학을 주로 연구했고, 근래에는 동아시아 예술 문화의 현대적 조명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저서로 『아름다움 그 사고와 논리』, 『동서의 예술과 미학』, 『동아시아의 언어, 문화, 예술』 등이, 역서로 『그리스 미술 모방론』, 『미술의 해석』, 『비교미학연구』 등이 있다.
펼치기
정병모 (기획)    정보 더보기
민화와 풍속화 분야를 집중 연구한 미술사가다. 지금은 한국민화학교 교장이면서 인도 오디샤 아트센터 연구위원이다. 30년 동안 경주대학교 문화재학과 교수로 지냈고, 미국 러트거스대학 방문교수로 있었다. 한국민화학회 회장과 한국민화센터 이사장을 지냈다. 문화재청, 서울시, 경상북도 문화재전문위원을 비롯하여 한국학술진흥재단 전문위원,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편집위원 등을 역임했다. 문헌 위주의 연구에서 벗어나 국내외의 회화 현장을 일일이 찾아다니며 조사하는 실증적인 미술사를 지향하고, 옛그림이 현대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김홍도와 관련된 조선 후기 풍속화 연구서로는 『한국의 풍속화』(한길아트), 『韩国风俗画』(商务印书馆)가 있다. 풍속화와 더불어 민화연구에서도 여러 성과를 거두었다. 『민화, 가장 대중적인 그리고 한국적인』, 『한국의 채색화』, 『민화는 민화다』, 『무명화가들의 반란 민화』, Chaekgeori : the power and pleasure of possessions in Korean painted screens 등 민화 관련 저서를 여러 권 펴냈다. 미국, 프랑스, 스페인, 오스트리아, 중국 등 국내외에서 여러 민화 전시회를 기획했으며, 미국 하버드대학, 프린스턴대학, USC, UC버클리, UCLA, 칠레 가톨릭대학, 일본 도시샤대학, 중국 개봉대학, 태국 부라파대학 등 해외 여러 대학에서 민화 강연을 한 바 있다. www.instagram.com/byungmo_chung www.facebook.com/byungmo.chung.5
펼치기
김동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건축공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와세다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경기대학교 건축학과 교수를 거쳐 2017년 현재 명예교수로 있으며 한국건축역사학회 회장,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위원을 지냈다. 건축물의 외형보다는 당시 지식인들의 건축에 대한 생각, 건축을 짓는 데 참여한 장인들의 기술, 물질적인 여건 등을 통해 시대의 건축을 입체적으로 파악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한국건축 중국건축 일본건축-동아시아 속 우리 건축 이야기》(2015),《(개정) 한국건축의 역사》(2013), 《도산서당 선비들의 이상향을 짓다》(2012), 《실학 정신으로 세운 조선의 신도시 수원화성》(2002),《조선시대 건축의 이해》(1999), 《18세기 건축사상과 실천》(1996), 《한국건축공장사연구》(1993), 《종묘와 사직》(1990), 《창덕궁 깊이 읽기》(공저, 2012) 《영건의궤-의궤에 기록된 조선시대 건축》(공저, 2010)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는 〈조선 초기 경복궁의 공간구성과 6조대로〉, 〈현륭원의 입지선정과 원침계획에서 정조의 역할〉, 〈18세기 구 수원읍내 주민구성과 주택규모〉 등이 있다.
펼치기
김기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문리과 대학 미학과 및 동 대학원 미학과를 졸업하고 동국대 대학원에서 '중국 산수화의 기원에 관한 연구'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동덕여대 미술학부 교수로 재직중이다. 옮긴책으로 <중국미술사>(마이클 설리번) <미술비평사>(리오넬로 밴투리) 등이 있다.
펼치기
이원복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4년 서울에서 태어나 서강대학교 사학과.동 대학원을 수료했다. 국립공주박물관장(1988-1989), 국립청주박물관장(1989-1993),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장(1998-2002)을 역임했다. 현재 국립광주박물관장으로 있다. 주요 논문으로 '이정(李楨)의 두 전칭화첩에 대한 시고'(1984), '조선 중기 사계영모도'(1991), '혜원 신윤복의 화경'(1997)이 있고 지은 책으로 <나는 공부하러 박물관 간다>(1997)가 있다.
펼치기
유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5년에 태어나 쾰른대학 철학부 미술사학과에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전남대 미술교육과 부교수(1977-1980),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예술연구실 및 한국학대학원 부연구원(1980-1984), 문화재전문위원(1977-1997), 이화여대 조형예술대학 교수(1984-2001)를 역임했다. 주요 논문으로 '조선시대 산수화가 정선 연구(CHONG SON, ein Koreanischer Landschaftsmaler aus der Yi-Dynastie)'(1976), '구곡도의 발생과 기능에 대하여'(1981), '조형예술과 성리학 - 화음동정사에 나타난 구조와 사상적 계보'(1984), '화가 정선의 경학과 사회적 분신'(1991), '20세기초 노베르트 베버(Nobert Weber)의 한국미술품 수집과 비평'(1996), '정선의 '사공도시품첩'연구'(이종호와 공동집필, 2001) 등이 있다.
펼치기
아오키 다카오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5년에 태어나 도쿄 대학 문학부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인문과학연구과 미학예술학 전공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일본학술진흥회 연구원을 거쳐, 현재 히로시마 대학 조교수로 있으면서 비교미학, 예술학, 상연예술론, 언어철학 등을 가의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일본의 근대화를 통한 예술의 문화적 분화'(2000), '일본의 근대화를 통한 전통연극의 역설적 재생 노극의 경우'(2000), '제아미의 식물적 세계관에서의 미적 하비투스에 관하여'(2001)가 있고, 지은 책으로 <예술문화의 생태학>(공저, 1996), <연극과 영화>(편저, 1998)가 있다.
펼치기
하마시타 마사히로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6년에 태어나 도쿄 대학 문학부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인문과학연구과 미학예술학 전공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영국 에든버러 대학 객원교수를 역임했고, 현재 고베여학원대학 문학부 총합문학과 교수로 있다. 주요 논문으로 '사상에서 회화로 또는 회화의 사상 - 카라바조론(論) 각서(覺書)'(1987), '영국의 로코코'(1996), '이상화(理想化)와 여체(女體) - 서양미술로부터 얻은 것과 잃은 것'(1996)이 있으며, 공저로 <세계미술대전집> 제18권(로코코, 1996), <예술이론의 현재>(1999), <근대 영국의 윤리학과 종교>(1999), <일본의 예술론>(2000), <현대미학에서 초경계성의 선구자들(Frontier of Transculturality in Contemporary Aesthetics)(2001)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한국회화사 시간에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산과 나무의 그림들을 모아 '한국의 고대 산수화'에 관한 학기말 리포트를 냈을 때, 안휘준 교수께서 칭찬을 아끼지 않으셨던 것 같다. 이에 고무되어 그 과제를 석사논문으로 제출했다. 화가의 길에서 미술사가로, 그리고 서양미술에 대한 관심에서 한국미술사로 진로를 바꾸는 커다란 전환점을 맞은 셈이다. '미술사'는 그렇게 내게 다가왔다.

(...) 광주에서 시작한 삼십대의 생활은 나에게 세상을 보는 관점의 전환을 가져다 주었다. 그냥 그림이 좋아 미술사를 했던 시야에서 벗어나, 역사와 현실에 눈을 뜨고 나를 돌아보는 계기가 되었기 때문이다. 내 인생에 두번째 시각 변화를 맞은 셈이다. (이태호, '이 땅과 삶을 그리워하며' 중에서, p.202,206)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