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조선 국왕의 상징

조선 국왕의 상징

정재훈 (지은이)
  |  
현암사
2018-02-28
  |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조선 국왕의 상징

책 정보

· 제목 : 조선 국왕의 상징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문화예술사
· ISBN : 9788932319094
· 쪽수 : 304쪽

책 소개

왕실문화총서 1권. 국왕의 상징을 '구상화된 것'과 '무형의 것'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그 상징성의 의미를 천착한 책이다. 왕의 상징이 제대로 상징성을 발휘하느냐의 여부는 백성과의 관계에서 나올 수밖에 없는데, 역대 조선 왕들의 경우는 어떠했는지, 그 변천 과정을 깊이 있게 추적한다.

목차

머리말
서론_국왕과 상징

1부 국왕의 시공간적 좌표
1. ‘왕’ 제도의 역사적 변천
1) 중국에서의 변천
2) 한국에서의 변천
2. 조선시대 동서양 ‘왕’의 상징
1) 조선
2) 명과 청
3) 유럽

2부 ‘왕’의 사상적 기반과 상징
1. 원시 신앙
2. 유교
1) 성인(聖人)을 목표로 공부하는 국왕 - 경연(經筵)
2) 국가 의례의 중심으로서 국왕 - 의례(儀禮)
3. 불교
4. 도교

3부 하늘〔天〕?땅〔地〕과 국왕의 상징
1. 천문 역법의 제왕학과 국왕
2. 천변재이(天變災異)와 국왕
3. 궁궐에 표현된 하늘과 땅
4. 땅과 곡식을 관장하는 국왕 - 사직제(社稷祭)
5. 농업의 모범과 국왕 - 선농제(先農祭)와 친경례(親耕禮)

4부 사람〔人〕과 국왕의 상징
1. 왕통(王統)의 계승자
1) 왕의 초상, 어진(御眞)
2) 왕의 신주(神主), 종묘(宗廟)
3) 왕의 족보, 『선원록(璿源錄)』
2. 도통(道統)의 담지자
1) 성학(聖}學)의 수련, 서연(書筵)
2) 성학의 실천, 조선의 제왕학(帝王學)
3. 치통(治統)의 주체
1) 군대와 관료의 수장
2) 외교와 교화의 주체
3) 민본 실현의 주체

5부 의식주와 국왕의 상징
1. 국왕의 복식
2. 국왕의 음식
3. 궁궐 건축

맺는말
참고 문헌

저자소개

정재훈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학사·석사·박사 과정을 마쳤다. 조선 전기에 유교정치사상이 어떻게 이해, 수용되고 자기화하였는지를 검토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조선의 사상과 문화의 정체성과 특성, 동아시아에서의 위상 등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며, 현재 경북대학교 사학과에서 가르치고 있다. 지은 책은 <조선전기 유교정치사상연구>(태학사), <조선시대의 학파와 사상>(신구문화사), <조선의 국왕과 의례>(지식산업사), <조선 국왕의 상징>(현암사) 등과 다수의 공저가 있으며, 번역서로는 <동호문답>(아카넷), <동사>(소명출판, 공역), <대학연의(상)>(서울대 출판문화원), <대학연의보>(세창출판사) 등이 있다. 이 밖에 「18세기 연행과 정조(正祖)」 등 다수의 논문도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임금을 가리키는 일상적인 호칭 외에 우리가 흔히 잘 알고 있는 임금의 이름은 주로 ‘세종(世宗)’, ‘정조(正祖)’와 같은 묘호이다. 묘호는 묘에 붙이는 이름이라는 뜻인데, 여기에서의 묘는 임금의 사당에 해당되는 종묘이다. 따라서 묘호는 종묘에 모신 임금의 신주에 쓰인 이름을 가리킨다. 임금 사후에 붙이는 이름이므로 엄밀하게 보면 사후에 붙이는 시호(諡號) 가운데 하나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조선 왕이 갖는 이름의 상징성에 곧 조선의 복합적인 지향이 담겨 있음을 확인하게 해준다. 중국과의 관계가 우선되는 공식적인 면에서는 중국에서 부여한 시호를 앞에 두지만, 바로 이어서 황제에게만 적용되는 ‘조?종(朝?宗)’의 명칭을 묘호로 사용함으로써 주체적인 측면을 강조하였던 것이다.


조선시대 국왕을 뒷받침하는 가장 강력한 사상은 유교 사상, 특히 성리학 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 국왕의 가장 이상적인 모습으로 그려지는 ‘어진 임금’이라는 이미지 역시 성리학에서 유래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실제로 조선의 국왕에게 최고의 이상적인 군주의 모습은 ‘성인(聖人) 국왕’이었으며 신하들은 국왕에게 끊임없이 성인이 될 것을 요구하였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