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고문진보 전집

고문진보 전집

(제2판)

황견 (엮은이), 장세후, 이장우, 우재호 (옮긴이)
  |  
을유문화사
2007-02-28
  |  
3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고문진보 전집

책 정보

· 제목 : 고문진보 전집 (제2판)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중국문화
· ISBN : 9788932452494
· 쪽수 : 932쪽

책 소개

중국 송나라 때에 황견이란 학자가 편찬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고문진보>는 중국 당·송 시대에 시와 문장으로 유명했던 작가들의 작품을 수록하고 있는 책으로, 원래 전집(前集)과 후집(後集)으로 나뉘어 있다. 전집에는 주로 시가류가, 후집에는 주로 산문류가 수록되어 있다.

목차

<고문진보 전집>

개정판을 내면서
일러두기
참된 보물이 담긴 책, <고문진보>

권학문勸學文
1. 학문을 권하는 글(勸學文) · 진종황제
2. 학문을 권하는 글(勸學文) · 인종황제
3. 학문을 권하는 노래(勸學歌) · 사마광
4. 학문을 권하는 글(勸學文) · 유영
5. 학문을 권하는 글(勸學文) · 왕안석
6. 학문을 권하는 글(勸學文) · 백거이
7. 학문을 권하는 글(勸學文) · 주희
8. 아들 부가 장안성 남쪽에서 독서함에 부침(符讀書城南) · 한유

오언고풍 단편五言古風短篇
9. 맑은 밤에 읊음(淸夜吟) · 소옹
10. 사계절(四時) · 도잠
11. 강에는 눈만 내리고(江雪) · 유종원
12. 도사를 찾아갔으나 만나지 못함(訪道者不遇) · 가도
13. 누에 치는 아낙(蠶婦) · 작자 미상
14. 농부를 애틋해 함(憫農) · 이신
15. 이사의 전기를 읽고(讀李斯傳) · 이업
16. 왕소군(王昭君) · 이백
17. 검객(劍客) · 가도
18. 일곱 걸음에 지은 시(七步詩) · 조식
19. 경 자와 병 자를 각운자로 지은 시(競病韻) · 조경종
20. 탐천(貪泉) · 오은지
21. 상산의 길을 가며 느낌(商山路有感) · 백거이
22. 금곡원(金谷園) · 작자 미상
23. 봄 계수나무의 문답(春桂問答) · 왕유
24. 길 떠나는 아들의 노래(遊子吟) · 맹교
25. 자야의 오나라 노래(子夜吳歌) · 이백
26. 벗을 만나 함께 묵다(友人會宿) · 이백
27. 운곡에서 이것저것 읊음(雲谷雜詠) · 주희
28. 농가를 애달파함(傷田家) · 섭이중
29. 세월을 보고 느낌(時興) · 양분
30. 이별(離別) · 육구몽
31. 고시(古詩) · 작자 미상
32. 전원으로 돌아와 살며(歸園田居) · 도잠
33. 심부름 온 이에게 묻다(問來使) · 도잠
34. 왕우군(王右軍) · 이백
35∼36. 술을 마시며 하지장을 그리워함 두 수(對酒憶賀監二首) · 이백
37. 강동으로 가는 장사인을 전송하며(送張舍人之江東) · 이백
38. 장난 삼아 정율양에게 드림 · 이백
39. 술 마시려 하지 않는 왕역양을 조롱하며(嘲王歷陽不肯飮酒) · 이백
40. 자류마 · 이백
41. 술 사오기를 지루하게 기다리며(待酒不至) · 이백
42. 용문의 봉선사에서 노닐며(遊龍門奉先寺) · 두보
43. 장난 삼아 정광문에게 편지를 올리고 아울러 소사업에게도 드리다(戱簡鄭廣文兼呈蘇司業) · 두보
44. 전초산의 도사에게 보냄(寄全椒山中道士) · 위응물
45. 위소주 시의 운에 맞추어 등도사에게 부치다(和韋蘇州詩寄鄧道士) · 소식
46. 유공권의 연구를 채움(足柳公權聯句) · 소식
47. 자첨이 해남으로 귀양 감에 부쳐(子瞻謫海南) · 황정견
48. 젊은이(少年子) · 이백
49. 금릉의 신정(金陵新亭) · 작자 미상
50. 장가행(長歌行) · 심약
51. 이것저것 읊음(雜詩) · 도잠
52. 이것저것 읊음(雜詩) · 도잠
53. 고시를 본받아(擬古) · 도잠
54. 고취곡(鼓吹曲) · 사조
55. 서도조의 시에 화답하여(和徐都曹) · 사조
56. 동원에서 노닐며(遊東園) · 사조
57. 원망의 노래(怨歌行) · 반첩여
58. 「원망의 노래」를 본받아(擬怨歌行) · 강엄
59. 고시(古詩) · 작자 미상
60. 고시(古詩) · 작자 미상
61. 녹균헌(綠筠軒) · 소식
62. 달 아래에서 홀로 술 마시며(月下獨酌) · 이백
63. 봄날 취한 후 일어나 뜻을 말하다(春日醉起言志) · 이백
64. 소무(蘇武) · 이백
65. 이것저것 읊음(雜詩) · 도잠
66. 전원으로 돌아와 살며(歸田園居) · 도잠
67. 쥐의 수염으로 만든 붓(鼠鬚筆) · 소과
68∼69. 첩의 운명이 기박하여 두 수(妾薄命二首) · 진사도
70. 파릇파릇한 물 속의 부들(靑靑水中蒲) · 한유
71. 그윽한 정회(幽懷) · 한유
72. 공자의 연회 · 조식
73. 홀로 술 마시며(獨酌) · 이백
74. 전원으로 돌아와(歸田園) · 강엄
75. 도연명의 옛날 작품을 모방해서 지은 시의 각운자에 맞추어(和陶淵明擬古) · 소식
76. 자식을 꾸짖다(責子) · 도잠
77. 농가(田家) · 유종원

오언고풍 장편五言古風長篇
78. 중서성에서 숙직하며(直中書省) · 사령운
79. 고시(古詩) · 작자 미상
80. 고시를 본받아(擬古) · 도잠
81. 『산해경』을 읽고(讀山海經) · 도잠
82∼83. 꿈에서 이백을 보고 두 수(夢李白二首) · 두보
84∼85. 소동파에게 드림(贈東坡) · 황정견
86. 효성스런 까마귀가 밤에 울다(慈烏夜啼) · 백거이
87. 농가(田家) · 유종원
88. 악부 상(樂府 上) · 작자 미상
89. 칠월 밤에 강릉으로 가는 도중에 지음(七月夜行江陵途中作) · 도잠
90. 술 마시며(飮酒) · 도잠
91. 전원으로 돌아와 살며(歸田園居) · 도잠
92. 여름날 이공이 방문하여(夏日李公見訪) · 두보
93. 위팔 처사에게 드림(贈衛八處士) · 두보
94. 석호촌의 관리(石壕吏) · 두보
95. 미인(佳人) · 두보
96. 수주로 공부하러 가는 제갈각을 전송하며(送諸葛覺往隨州讀書) · 한유
97. 사마온공의 독락원(司馬溫公獨樂園) · 소식
98. 위좌상에게 올리는 시 40구(上韋左相二十韻) · 두보
99. 이백에게 부침(寄李白) · 두보
100. 개부 가서한 장군께 드리는 시 40구(投贈哥舒開府二十韻) · 두보
101. 위좌승에게 드림(贈韋左丞) · 두보
102. 취하여 장비서에게 드림(醉贈張秘書) · 한유
103. 잗다랗고 잗다란(齪齪) · 한유
104. 양강공에게 마치 술에 취한 도사와 같은 모양을 한 돌이 있는데 이로 인해 이 시를 읊음(楊康功有石狀如醉道士爲賦此詩) · 소식

칠언고풍 단편七言古風短篇
105. 아미산의 달 노래(峨眉山月歌) · 이백
106. 산 속에서 속인들에게 답하다(山中答俗人) · 이백
107. 산 속에서 대작하다(山中對酌) · 이백
108. 봄날의 꿈(春夢) · 잠삼
109. 소년행(少年行) · 왕유
110. 은자를 찾아갔으나 만나지 못함(尋隱者不遇) · 위야
111. 보허사(步虛詞) · 고변
112. 열 그루의 대나무(十竹) · 승 청순
113. 삼유동에 노닐며(遊三遊洞) · 소식
114. 양양 길에서 한식을 만나다(襄陽路逢寒食) · 장열
115. 고기잡이 노인(漁翁) · 유종원
116. 금릉의 술집에서 남겨두고 떠남(金陵酒肆留別) · 이백
117. 변경을 생각함(思邊) · 이백
118. 오야제(烏夜啼) · 이백
119. 장난으로 새소리에 화답함(戱和答禽語) · 황정견
120. 우림랑 도 장군을 전송하며(送羽林陶將軍) · 이백
121. 연 따는 노래(採蓮曲) · 이백
122. 맑은 강의 노래(淸江曲) · 소상
123. 금릉의 봉황대에 올라(登金陵鳳凰臺) · 이백
124. 이른 봄에 왕한양에게 부치다(早春寄王漢陽) · 이백
125. 금릉성 서쪽 누각 달 아래에서 읊음(金陵城西樓月下吟) · 이백
126. 동계공의 유거에 제하다(題東溪公幽居) · 이백
127. 이옹에게 올림(上李邕) · 이백
128. 뜰 앞의 감국화를 탄식하며(歎庭前甘菊花) · 두보
129. 가을비의 탄식(秋雨歎) · 두보
130. 이월에 매화를 보고(二月見梅) · 당경
131. 수선화(水仙花) · 황정견
132. 황학루에 올라(登黃鶴樓) · 최호
133. 당구에게 드림(贈唐衢) · 한유
134. 고인의 마음(古意) · 한유
135. 정병조에게 드림(贈鄭兵曹) · 한유
136. 꿩이 화살을 맞음(雉帶箭) · 한유
137. 남릉에서의 이별을 서술함(南陵敍別) · 이백
138. 달밤에 손님과 함께 살구꽃 아래에서 술 마시며(月夜與客飮酒杏花下) · 소식
139. 인일에 두씨 댁 둘째 습유에게 부침(人日寄杜二拾遺) · 고적
140. 야랑으로 유배 가며 신판관에게 드림(流夜郞贈辛判官) · 이백
141. 취한 뒤에 정씨 댁 열여덟째가 내가 황학루를 쳐부순다는 것을 시로써 나무라기에 이에 답하다 · 이백
142. 채석산의 달을 노래하여 곽공보에게 드림(采石月贈郭功甫) · 매요신
143. 술잔을 들고 달에게 묻다(把酒問月) · 이백
144. 남나무가 비바람에 뽑힌 것을 탄식함(枏木爲風雨所拔歎) · 두보
145. 태을진인의 연엽도에 적음(題太乙眞人蓮葉圖) · 한구
146. 강가에서 슬퍼함(哀江頭) · 두보
147. 사정에서 잔치하며(燕思亭) · 마존
148. 우미인초(虞美人草) · 증공
149. 젊은이를 풍자함(刺年少) · 이하
150. 여산(驪山) · 소식
151. 은하수(明河篇) · 송지문
152. 마애비를 제목으로 삼아(題磨崖碑) · 황정견
153. 괵국부인야유도 · 소식

칠언고풍 장편七言古風長篇
154. 생각나는 바 있어(有所思) · 송지문
155. 여지를 한탄하노라 · 소식
156. 정혜원의 해당화(定惠院海棠) · 소식
157. 도연명 사진도(陶淵明寫眞圖) · 사과
158. 도원도(桃源圖) · 한유
159. 왕정국이 소장한 왕진경의 그림 연강첩장도를 보고 적다 · 소식
160. 노동에게 띄움(寄盧仝) · 한유
161. 이공린이 그린 그림 · 형거실

장단구長短句
162. 술을 권하려 한다(將進酒) · 이백
163. 또 같은 시 · 이하
164. 원단구 선생이 무산을 그린 병풍 앞에 앉아 있는 것을 보고(觀元丹丘坐巫山屛風) · 이백
165. 세 자, 다섯 자, 일곱 자로 쓴 시(三五七言) · 이백
166. 양왕이 놀던 서하산의 맹씨의 도화원에서(登梁王棲霞山孟氏桃園中) · 이백
167. 훌륭한 분이 지나시는 길에 들르시다(高軒過) · 이하
168. 생각나는 바 있어(有所思) · 노동
169. 가는 길 험하구나(行路難) · 장곡
170. 요월정(邀月亭) · 마존
171. 장회요(長淮謠) · 마존
172. 초상화를 그려 준 하충 수재에게(贈寫眞何秀才) · 소식
173. 묽고 묽은 술(薄薄酒) · 소식
174. 오잠 현령인 나와 과거시험 동기생 조숙이 지은 야옹정 · 소식
175. 태항산에 오르는 길(太行路) · 백거이
176. 칠덕무(七德舞) · 백거이
177. 바위를 파고 새긴 비문의 탁본을 읽은 뒤에(磨崖碑後) · 장뢰
178. 술을 권하며 이별을 슬퍼함(勸酒惜別) · 장영
179. 옛 사람을 생각함(古意) · 석 관휴
180. 촉으로 가는 길 험난하구나(蜀道難) · 이백
181. 여산고(廬山高) · 구양수

가류歌類
182. 대풍가(大風歌) · 유방
183. 양양가(襄陽歌) · 이백
184. 음중팔선가(飮中八僊歌) · 두보
185. 취했을 때 읊음(醉時歌) · 두보
186. 서 사또 댁의 두 아들을 노래함(徐卿二子歌) · 두보
187. 장난삼아 왕재가 그린 산수화를 소재로 삼아 · 두보
188. 초가집이 가을 바람에 부서지다(茅屋爲秋風所破歌) · 두보
189. 성상께서 친히 향공들이 시험치는 것을 살펴보심을 노래하다(觀聖上親試貢士歌) · 왕우칭
190. 산수를 그리다 · 오융
191. 짧은 등잔걸이 · 한유
192. 넓고 크게 노래함(浩浩歌) · 마존
193. 칠석날 밤의 노래(七夕歌) · 장뢰
194. 차를 노래함(茶歌) · 노동
195. 창포를 노래함(菖蒲歌) · 사방득
196. 돌북을 노래함(石鼓歌) · 한유
197. 나중에 돌북을 노래함(後石鼓歌) · 소식
198. 장난 삼아 화경정을 읊음 · 두보
199. 이존사의 소나무 병풍에 적다(題李尊師松樹障子歌) · 두보
200. 위언이 한 쌍의 소나무 그림을 그림에 장난 삼아 짓다 · 두보
201. 유소부가 그린 산수 병풍을 노래함 · 두보
202. 이조의 팔분소전 글씨를 노래함(李潮八分小篆歌) · 두보
203. 천육의 나는 듯이 달리는 말(天育驃騎歌) · 두보
204. 강남에서 천보 연간의 악공을 만나다 · 백거이
205. 긴 한탄(長恨歌) · 백거이
206. 여섯 노래(六歌) · 문천상

행류行類
207. 가난한 사귐(貧交行) · 두보
208. 취하여 부르는 노래(醉歌行) · 두보
209. 고운 여인들을 노래함(麗人行) · 두보
210. 늙은 측백나무(古柏行) · 두보
211. 전차의 노래(兵車行) · 두보
212. 병마를 씻으며 부르는 노래(洗兵馬行) · 두보
213. 천자께 상주하러 들어감을 노래함(入奏行) · 두보
214. 부도호 고선지의 푸른 말 · 두보
215. 호현의 현령이신 이씨 어르신의 호마를 노래함 · 두보
216. 청백색의 준마를 노래함 · 두보
217. 초서를 노래함(草書歌行) · 이백
218. 매우 가까이 삶을 노래함 · 두보
219. 떠나가자꾸나(去矣行) · 두보
220. 더위를 괴로워함(苦熱行) · 왕곡
221. 비파의 노래(琵琶行) · 백거이
222. 대내전 앞의 광경을 노래함(大內殿內前行) · 당경
223. 고운 여인들을 노래함에 이어 씀(續麗人行) · 소식
224. 의심하지 말게나(莫相疑行) · 두보
225. 호랑이 그림(虎圖行) · 왕안석
226. 도원의 노래(桃源行) · 왕안석
227. 오늘 저녁(今夕行) · 두보
228. 군자의 노래(君子行) · 섭이중
229. 분음의 노래(汾陰行) · 이교

음류吟類
230. 옛 장성을 읊조림(古城長吟) · 왕한
231. 백설조를 읊조림(百舌吟) · 유우석
232. 양보를 읊조림(梁甫吟) · 제갈량

인류引類
233. 채색 그림을 노래함(丹靑引) · 두보
234. 도죽 지팡이 노래(桃竹杖引) · 두보
235. 위풍 녹사 댁에서 조 장군이 말을 그린 그림을 노래함(韋諷錄事宅觀曹將軍畵馬圖引) · 두보

곡류曲類
236. 명비의 노래 1(明妃曲一) · 왕안석
237. 명비의 노래 2(明妃曲二) · 왕안석
238. 명비의 노래(明妃曲) · 구양수
239. 명비를 노래하여 왕안석에게 화답함(明妃曲和王介甫) · 구양수
240. 변방의 노래(塞上曲) · 황정견
241. 까마귀가 깃듦(烏棲曲) · 이백

사류辭類
242. 연창궁의 노래(連昌宮辭) · 원진

찾아보기

<고문진보 후집>

개정판을 내면서
일러두기
참된 보물이 담긴 책, 『고문진보』

권 1
1. 슬픔을 만나(離騷) · 굴원
2. 어부와의 대화(漁父辭) · 굴원
3. 진나라 임금이 다른 나라의 유세객을 쫓아냄을 반대하는 편지(諫秦王逐客書) · 이사
4. 가을바람(秋風辭) · 한무제
5. 진나라의 과오를 논함(過秦論) · 가의
6. 굴원 선생의 비운을 슬퍼하노라(弔屈原賦) · 가의
7. 어진 임금께서 현명한 신하를 얻으신 것을 칭송함(聖主得賢臣頌) · 왕포
8. 뜻대로 삶을 즐김(樂志論) · 중장통
9. 군사를 이끌고 나아가기에 앞서 올린 상소문(前出師表) · 제갈량
10. 뒤에 군사를 이끌고 나갈 때 올린 상소문(後出師表) · 제갈량
11. 술의 덕을 칭송함(酒德頌) · 유령
12. 난정에서 지은 글의 서문(蘭亭記) · 왕희지
13. 관직을 사양하고 올린 상소문(陳情表) · 이밀
14. 돌아가리(歸去來辭) · 도잠

권 2
15. 오류선생 자전(五柳先生傳) · 도잠
16. 북산의 산신이 해염 현령에게 보내는 경고의 글(北山移文) · 공치규
17. 등왕각 연회에서 지은 시의 서문 · 왕발
18. 봄날 밤 도리원 연회에서 지은 시문의 서(春夜宴桃李園序) · 이백
19. 형주 한자사께 올리는 글(與韓荊州書) · 이백
20. 황제가 지켜야 할 좌우명(大寶箴) · 장온고
21. 당나라를 중흥시킨 공적을 찬양함(大唐中興頌) · 원결
22. 인간의 근본을 논함(原人) · 한유
23. 도의 근본을 논함(原道) · 한유
24. 장적에게 보내는 두번째 답장(重答張籍書) · 한유
25. 장복야께 올리는 글(上張僕射書) · 한유
26. 사람을 위하여 추천을 구하는 편지(爲人求薦書) · 한유
27. 진상에게 답하는 글(答陳商書) · 한유
28. 맹간 상서께 드리는 글(與孟簡尙書書) · 한유
29. 문창스님을 보내며 지은 서(送浮屠文暢師序) · 한유

권 3
30. 회서 평정 기념비 비문(平淮西碑) · 한유
31. 남쪽 바다의 신을 기리는 비문(南海神廟碑) · 한유
32. 뜻을 굽히지 않고 다투는 신하에 관해 논함(爭臣論) · 한유
33. 곤궁하게 하는 귀신을 보내며(送窮文) · 한유
34. 학문으로 나아가는 태도를 비난함에 대한 해명(進學解) · 한유
35. 악어를 내쫓는 글(鰐魚文) · 한유
36. 유주 나지에 있는 유씨 원님의 묘비(柳州羅池廟碑) · 한유
37. 맹동야를 보내며 지은 서(送孟東野序) · 한유
38. 양거원 소윤을 보내며 지은 서(送楊巨源少尹序) · 한유
39. 석홍 처사를 전송하며 지은 서(送石洪處士序) · 한유
40. 온조 처사를 전송하며 지은 서(送溫造處士序) · 한유

권 4
41. 이원을 반곡으로 돌려보내며 지은 서(送李愿歸盤谷序) · 한유
42. 흡주자사로 부임하는 육참을 전송하는 시의 서문 · 한유
43. 스승을 쫓아 도를 배워야 하는 이유를 논함(師說) · 한유
44. 이런 저런 이야기(雜說) · 한유
45. 기린을 잡은 일을 해명한 글(獲麟解) · 한유
46. 기피할 글자에 대하여(諱辯) · 한유
47. 남전현 현승의 사무실 벽에 기록한 글(藍田縣丞廳壁記) · 한유
48. 재상에게 올리는 세번째 글(上宰相第三書) · 한유
49. 전중소감 마군의 묘지(殿中少監馬君墓誌) · 한유
50. 붓끝 이야기(毛穎傳) · 한유
51. 백이를 찬양하는 글(伯夷頌) · 한유

권 5
52. 창려문집서(昌黎文集序) · 이한
53. 건축 기사 이야기(梓人傳) · 유종원
54. 한유와 더불어 사관에 대해 논한 편지(與韓愈論史書) · 유종원
55. 위중립에 회답하는 편지(答韋中立書) · 유종원
56. 뱀 잡는 사람 이야기(捕蛇者說) · 유종원
57. 정원사 곽탁타 이야기(種樹郭A駝傳) · 유종원
58. 우계시의 서(愚溪詩序) · 유종원
59. 오동잎으로 아우를 제후에 봉하였다는 것을 따짐(桐葉封弟辯) · 유종원
60. 진문공이 원 지방의 태수를 환관에게 물었다는 사실에 대한 나의 견해(晉文公問守原議) · 유종원
61. 연주군에 석종유가 다시 나옴을 적다(連州郡復乳穴記) · 유종원
62. 설존의를 송별하며 지은 서(送薛存義序) · 유종원
63. 대나무를 기르는 이야기(養竹記) · 백거이
64. 아방궁을 읊음(阿房宮賦) · 두목
65. 옛날 전쟁터에서 죽은 원혼을 애도하는 글(弔古戰場文) · 이화

권 6
66. 대루원에 대한 기문(待漏院記) · 왕우칭
67. 황주의 죽루에 관한 기문(黃州竹樓記) · 왕우칭
68. 엄선생 사당에 대한 기문(嚴先生祠堂記) · 범중엄
69. 악양루에 대한 기문(岳陽樓記) · 범중엄
70. 뱀을 쳐죽인 홀의 덕을 기리는 명문(擊蛇笏銘) · 석개
71. 간원의 제명에 관한 기문(諫院題名記) · 사마광
72. 독락원에 대한 기문(獨樂園記) · 사마광
73. 맹상군전을 읽고(讀孟嘗君傳) · 왕안석
74. 범사간께 올리는 편지(上范司諫書) · 구양수
75. 상주의 주금당에 대한 기문(相州晝錦堂記) · 구양수
76. 취옹정에 대한 기문(醉翁亭記) · 구양수
77. 가을 소리에 대하여(秋聲賦) · 구양수
78. 쉬파리를 미워함(憎蒼蠅賦) · 구양수
79. 매미의 울음소리를 듣고(鳴蟬賦) · 구양수

권 7
80. 고향으로 돌아가는 서무당에게 주는 글(送徐無黨南歸序) · 구양수
81. 사형수의 가석방에 대해 논함(縱囚論) · 구양수
82. 붕당에 대해 논함(朋黨論) · 구양수
83. 족보의 서문(族譜序) · 소순
84. 익주자사 장방평공 화상에 대한 기문 · 소순
85. 관중을 논함(管仲論) · 소순
86. 산처럼 생긴 나무둥치를 보고서(木假山記) · 소순
87. 한 고조를 논함(高祖論) · 소순
88. 구양내한께 올리는 편지(上歐陽內翰書) · 소순
89. 전추밀께 올리는 편지(上田樞密書) · 소순
90. 두 아들의 이름을 설명하다(名二子說) · 소순

권 8
91. 조주의 한문공의 사당에 세운 비문(潮州韓文公廟碑) · 소식
92. 적벽대전 유적지에서, 처음 지음(前赤壁賦) · 소식
93. 적벽대전 유적지에서, 두번째 지음(後赤壁賦) · 소식
94. 구양 문충공께 올리는 제문(祭歐陽文忠公文) · 소식
95. 육일거사 문집 서문(六一居士集序) · 소식
96. 삼괴당 명문(三槐堂銘) · 소식
97. 표충관 비문(俵忠觀碑) · 소식
98. 능허대 기문(凌虛臺記) · 소식

권 9
99. 이군산방 기문(李君山房記) · 소식
100. 희우정 기문(喜雨亭記) · 소식
101. 사보살각 기문(四菩薩閣記) · 소식
102. 전표성의 주의 서문(田表聖奏議序) · 소식
103. 전당의 혜근스님의 시집 서문(錢塘勤上人詩集序) · 소식
104. 농사 이야기, 동기생 장호를 떠나보내며(稼說送同年張琥) · 소식
105. 임금은 이적을 다스리지 않음을 논함(王者不治夷狄論) · 소식
106. 범증을 논함(范增論) · 소식
107. 추밀원의 한태위께(上樞密韓太尉書) · 소철
108. 원주학교 기문(袁州學記) · 이구
109. 약에서 얻은 교훈(藥戒) · 장뢰

권 10
110. 진소장을 이별하면서(送秦少章序) · 장뢰
111. 오대의 곽숭도 열전의 뒤에 적음(書五代郭崇韜傳後) · 장뢰
112. 이추관에게 답하는 글(答李推官書) · 장뢰
113. 진소유에게 보내는 글(與秦少游書) · 진사도
114. 임수주에게 보내는 편지(上林秀州書) · 진사도
115. 왕평보 문집의 발문(王平甫文集後序) · 진사도
116. 부모를 생각하는 정자의 기문(思亭記) · 진사도
117. 진소유의 자에 대하여 · 진사도
118. 「사마천의 놀이」라는 글을 갑방식에게 주노라(子長遊贈蓋邦式) · 마존
119. 집안에서 전해오는 옛날 벼루에 새기는 글(家藏古硯銘) · 당경
120. 석시랑께 올린 편지(上席侍郞書) · 당경
121. 『낙양명원기』의 뒤에 적음(書洛陽名園記後) · 이격비
122. 연꽃을 사랑함에 대하여(愛蓮說) · 주돈이
123. 태극도에 관한 해설(太極圖說) · 주돈이
124. 네 가지 지켜야 할 일(四勿箴) · 정이
125. 서쪽 창에 붙인 좌우명(西銘) · 장재
126. 동쪽 창에 붙인 좌우명(東銘) · 장재
127. 자신을 극복하자(克己銘) · 여대림

찾아보기

저자소개

황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문진보>의 편자로 알려진 사람. 명나라 때 한 중각판의 발문에 이름이 나오나, 정확하지 않다. 중국과 일본에서는 <고문진보>의 편자를 황견으로 보고 있고, 조선에서는 원나라 때의 사람 진력(陳轢 : 1252~1334)이라는 설도 있다.
펼치기
장세후 (옮긴이)    정보 더보기
경북 상주에서 태어나 영남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주희 시 연구』)를 취득하였다. 영남대학교 겸임교수와 경북대학교 연구초빙교수를 거쳐 지금은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의 전임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2003년 대구매일신문에서 선정한 대구·경북지역 인문사회분야의 뉴리더 10인에 포함된 바 있으며, 2022년 『퇴계 시 풀이』로 제5회 롯데출판문화대상 번역출판 부문 본상을 수상하였다. 저서로는 『이미지로 읽는 한자 1·2』(연암서가, 2015·2016)가 있고, 주요 역서로는 『한학 연구의 길잡이(古籍導讀)』(이회문화사, 1998), 『초당시(初唐詩, The Poetry of the Early T’ang)』(Stephen Owen, 中文出版社, 2000), 『퇴계 시 풀이·1~9』(이장우 공역, 영남대학교 출판부, 2006~2019), 『고문진보·전집』(황견 편, 공역, 을유문화사, 2001), 『퇴계잡영』(공역, 연암서가, 2009), 『唐宋八大家文抄-蘇洵』(공역, 전통문화연구회, 2012), 『춘추좌전(상·중·하)』(을유문화사, 2012~2013), 『도산잡영』(공역, 연암서가, 2013), 『주자시 100선』(연암서가, 2014), 『사마천과 사기』(연암서가, 2015), 『사기열전·1~3』(연암서가, 2017), 『주희 시 역주·1~5』(영남대학교 출판부, 2018), 『국역 조천기지도·홍만조 연사록』(공역,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19), 『도잠 평전』(연암서가, 2020), 『공자 평전』(연암서가, 2022), 『사마천 평전』(연암서가, 2023) 등이 있다.
펼치기
이장우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졸업 국립대만대학 중국문학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문학박사 영남대학교 중국언어문화학부 명예교수 저서 『이퇴계선생의 생활과 시』, 『한국 한시 감상』, 『퇴계시 풀이』 공역, 『고문진보 전 · 후집』 공역 등 다수.
펼치기
우재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남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민족문화추진회 국역연수원을 졸업하였고, 중국 南開大學 교환교수, 華中師範大學 방문학자와 國立臺灣大學 연구교수 등을 지냈으며, 지금은 영남대학교 중국언어문화학과 및 대학원 동아시아문화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역저서로 『退溪全書12』(共譯, 1993), 『袁宏道詩歌硏究』(1995), 『唐代文人列傳』(共譯, 1998), 『中國佛敎文化』(2001), 『古文眞寶(前集 2001: 後集 2003)』(共譯), 『孟子譯註』(2002), 『魏晉南北朝文人列傳』(共譯, 2005), 『商君書』(2005), 『孟子』(2007), 『중국의 시와 그림 그리고 정치』(共譯, 2015) 등이 있다. 2020년 현재는 주로 중국 시가와 서예 관련 연구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