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디지털PR 이론과 실제

디지털PR 이론과 실제 (양장)

김석, 김수진, 김여진, 김장열, 김장현, 박노일, 이선영, 정은화, 정지연, 최준혁, 하진홍, 황성욱 (지은이)
  |  
한울(한울아카데미)
2019-11-29
  |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30,000원 -0% 0원 300원 29,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디지털PR 이론과 실제

책 정보

· 제목 : 디지털PR 이론과 실제 (양장)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마케팅/세일즈 > 광고/홍보/PR
· ISBN : 9788946071971
· 쪽수 : 312쪽

책 소개

모바일 기기, 소셜미디어,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으로 상징되는 디지털 시대에 PR이 요구받는 새로운 패러다임은 무엇이며, PR은 어떤 변화를 추구해야 할 것인가라는 질문을 놓고,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디지털PR을 위한 이론과 실무 전반을 체계적으로 엮어 알기 쉽게 설명한다.

목차

제1부 디지털PR: 이론과 방법론
제1장 디지털PR 이론
제2장 디지털PR의 방법론적 전환
제3장 디지털 시대의 PR교육
제4장 디지털 시대의 미래 PR산업

제2부 디지털PR: 기술, 공중, 플랫폼
제5장 디지털 기술과 PR
제6장 공중 상황이론의 진화와 디지털 공중 분류
제7장 디지털PR 미디어/플랫폼

제3부 디지털PR: 전략과 사례
제8장 디지털 마케팅PR
제9장 디지털 공공PR
제10장 디지털 위기PR

저자소개

김장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콜로라도주립대학교 저널리즘·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이다. 서강대학교에서 PR전공으로 석사학위를, 플로리다대학교에서 매스커뮤니케이션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국인 최초의 미국PR협회 인증 PR 전문가(APR)이며, 2016년에 미국PR협회 펠로(Fellow PRSA)로 선정되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소비자위해예방국장을 역임했으며, PR회사인 코콤포터노벨리의 설립자이기도 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쟁점·위기커뮤니케이션, 공공외교, 헬스커뮤니케이션, PR윤리, CSR 등이다. Journal of Public Relations Research, Public Relations Review,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외 주요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그밖에 참여한 여러 저서·역서가 있다. 현재 Asian Journal of Public Relations의 Editor-in-chief를 맡고 있다.
펼치기
최준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순천향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이다. 연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보스턴대학교(Boston University)와 서울대학교에서 PR(public relations)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각각 취득했다. 1998년부터 2013년까지 민간기업과 공공기관에 PR컨설팅을 제공했다. 저서로 <한국의 PR 연구 20년>(공저, 2016), <반기업 정서와 커뮤니케이션>(공저, 2015), <정책 PR론>(공저, 2015), (공저, 2014, 한국PR학회 제2회 저술상 수상작), <실행이 탄탄해지는 PR기획>(2008) 등이 있으며, 정책 홍보혁신포럼과 <이젠 정책e 홍보다>(2005, 2005년 한국PR대상 PR 연구개발 부문 우수상)를 공동으로 개발했다. 역서로는 <스테이크홀더>(공역, 2008), <여론의 법정에서>(공역, 2006), <미디어 트레이닝>(공역, 2005), (공역, 2005, 2006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등이 있다. 이 외에도 기업의 사회적 책임, 반기업정서, 브랜드관리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썼다. PR에 관심 있으며, PR 관련 직업을 희망하는 젊은 세대들에게 PR에 관한 강의를 무료로 제공하는 프로 보노(pro bono)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2011년 10월에 국내 최초의 PR 팟캐스트 “최준혁의 PR토크”를 개설해 현재도 진행 중이다. 또, 여러 공공기관의 자문위원을 맡아 지식과 경험을 사회에 환원하기 위해 애쓰고 있다. 2013년부터는 한국광고홍보학회, 한국PR학회, 한국광고PR실학회, 한국OOH광고학회, 한국광고학회 등의 총무이사, 편집이사, 연구이사, 기획이사, 홍보이사 등을 맡아 PR 및 광고 관련 학문공동체의 지속가능성 창출에 조그맣게나마 기여하고 있다.
펼치기
김장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인터랙션사이언스학과 교수이자, 데이터사이언스, AI융합, 컬처앤테크놀로지 전공을 관할하는 글로벌융합학부장이다. 연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신문방송학과 석사학위를, 미국 뉴욕주립대학교 버펄로에서 커뮤니케이션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크롤링을 통해 얻은 데이터를 데이터사이언스 관점에서 분석하는 연구를 주로 한다. 미국 하와이대학교 교수, DGIST 교수 등을 역임하고 다수의 권위 있는 영문 저널에 논문을 게재한 바 있다.
펼치기
박노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現 차의과학대학교 의료홍보미디어학과 교수 現 차의과학대학교 AI헬스케어융합학과 학과장 前 한국PR학회 부회장 前 차의과학대학교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원 원장 前 서울디지털대학교 미디어영상학부 교수 前 미주리 주립대학교, HCC 헬스커뮤니케이션센터 연구원 미주리 주립대학교, 박사 후 과정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석ㆍ박사 서강대학교 미디어교육전공 석사 해군사관학교 국제관계학 문학사
펼치기
박노일의 다른 책 >
황성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이며, 동 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부학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부산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를 졸업했고, 미주리대학교에서 언론학 석사학위(PR 전공)와 박사학위(PR 전공)를 취득했다. 제일기획 PR팀의 삼성그룹 해외PR 담당 AE로 근무했다. 주요 저서로 『PR학 원론』(공저, 2014), 『정책 PR론』(공저, 2015)이 있으며, 그 밖에 다수의 연구논문을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했다.
펼치기
하진홍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구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부교수이다. 한양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오리콤, 금강기획, MBC애드컴 등에서 AE로 재직했다. 이후 미국 플로리다대학교와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 채플힐에서 매스커뮤니케이션학(PR 전공)으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PR 및 광고와 관련한 위기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홍보학연구≫, ≪광고연구≫, Public Relations Review, Journal of Public Relations Research 등 국내외 저널에 다수의 논문을 게재했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의 PR연구 20년』(공저, 2016), 『디지털PR 이론과 실제』(공저, 2019) 등이 있다.
펼치기
김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프레인앤리 연구소장이다. 연세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2009년 프레인글로벌에 입사하여 서울 G20정상회의 국내 홍보, 세종학당 브랜드개발 등을 진행했으며 2014년부터 프레인글로벌의 컨설팅 전문 자회사인 프레인앤리를 이끌고 있다. 공공부문 PR컨설팅, PI(Personal Identity) 등 리서치베이스의 커뮤니케이션 컨설팅 프로젝트를 주로 수행했으며 유관학회와도 매년 공동연구를 진행한다. 최근 프레인글로벌의 고객만족도조사, PCG(Prain Consulting Group) Award 개선 방안 등 프레인그룹 관계사들의 커뮤니케이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역할에 주력하고 있다.
펼치기
김수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겸임교수이다. 이화여자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언론학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소더비즈, 미국육류수출협회에서 근무했고 ㈜레인보우커뮤니케이션 수석연구원을 지냈다. 현재 한국PR학회 학술지 ≪홍보학연구≫ 편집이사로 활동 중이다. 주요 논문으로 「한국의 정부기관 명성지수 개발연구: 국가보훈처 사례의 적용」(2021), 「쌍방향 균형커뮤니케이션으로서 공유된 의사결정 시스템 구축을 위한 탐색적 연구: 신장투석환자의 커뮤니케이션 중심 분석」(2021), 「The Influence of Chronic and Temporary Accessibility on Trust and Policy Support」(2020), 「정서의 관계적 테마를 바탕으로 한 한국의 건강위험 커뮤니케이션 모델 개발 연구」(2019) 등이 있다. 저서로는 『디지털PR 이론과 실제』(공저, 2019)가 있다. 연구관심사는 공공PR, 정책PR, 헬스커뮤니케이션, 과학의료커뮤니케이션 분야이며 현재 의료계와 다양한 융합연구를 수행중이다.
펼치기
김여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코네티컷주립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 조교수이다. 고려대학교 불어불문학과, 언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언론학 석사학위를, 미국 앨라배마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Journal of Practical Research in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Journal of Media and Communication Studies,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 Behavior Analysis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국내외 저널에 디지털미디어와 정치, 헬스, 교육, 스포츠 등 다양한 맥락에서의 조직?공중 관계와 관련된 다수의 논문을 등재했고, 30여 편의 논문을 국내외 학술지에 발표했다. 주요 저서로 Communication, Digital Media, and Popular Culture in Korea: Contemporary Research and Future Prospects(공저, 2018) 등이 있다.
펼치기
이선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메릴랜드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 조교수이다. 이화여자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조지아대학교에서 매스커뮤니케이션 석사학위를,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에서 매스커뮤니케이션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메릴랜드대학교에 근무하기 전 미국 텍사스테크대학교 홍보학과에서 조교수로 근무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뉴미디어 및 비주얼 전략을 통한 사회공헌 활동 및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이다. 20편 이상의 논저가 있다.
펼치기
정은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싱가포르국립대학교 커뮤니케이션·뉴미디어학과 조교수이다. 국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및 동 대학원 석사과정을 졸업하고, 미국 플로리다대학교와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교에서 매스커뮤니케이션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관심 분야는 뉴미디어의 이용과 그에 따른 사회심리학적 효과이며, 관련 논문이 New Media & Society,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Computers in Human Behavior 등에 게재되었다.
펼치기

책속에서

물론 PR담당자들이 가짜 뉴스와 딥페이크 자체를 활용해 대중을 속이면 당연히 윤리적으로 큰 문제가 될 것이다. 그러나 특정 고객과 기업, 또는 CEO가 딥페이크와 가짜 뉴스의 희생자가 된다면 어떻게 될까? 그런 일이 벌어진다면 PR담당자, 특히 위기관리 전문가들은 앞서 말한 속도의 원칙을 고려해 즉시 반박 메시지를 공개하거나 진위 여부를 확인해 주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발전은 위기관리PR을 중심으로 PR의 패러다임 자체를 바꿔놓을지도 모른다. 딥페이크나 가짜 뉴스를 만드는 AI 소프트웨어나 그것들이 공유되는 소셜미디어 공간은 때때로 PR담당자에게는 공중을 위한 새로운 메시지를 만드는 데 부분적이고 윤리적인 범위 내에서 활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풍자나 유머를 위해 해당 인물의 사전 허락을 얻은 경우에 한정해서 가능하겠다. 하지만 이런 경우일 때조차도 수용자가 해당 메시지를 풍자나 유머가 아닌 진짜로 받아들일 여지는 조금도 남겨두어서는 안 된다.


디지털 시대에 공중 간 연결성은 분명 강화되고 있다. 그러나 그 연결성의 양태가 긍정적 연결로도 나타날 수 있고 부정적 연결로도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런 복잡성의 원인은 사회구성원의 다양성과 층위의 세분화로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시대의 문제해결은 통합적 접근을 요구한다. 즉, 조직이 직면한 문제의 해결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복수의 공중이 존재하며, 복수의 공중은 문제에 대한 인식·태도·행동(의도)가 동일할 수도 있으며 상이할 수도 있다는 전제하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필요하다.


PR은 조직과 공중과의 관계를 대상으로 정립되어 왔다. 디지털 시대에 PR산업이 주목해야 할 것에 대해 업계 실무자들은 엄청난 영향력을 보이는 동영상 플랫폼 같은 특정한 매체보다도, 차별성과 친근감으로 강조되는 콘텐츠의 품질보다도, 타깃과 영향력 집단의 변화 추이에 더욱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보고 있다. 향후 몇 년간의 채널/매체전략은 특정한 분야로 분리하고 집중되는 버티컬적 접근이 더욱 활발해질 수 있을 듯하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