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옛 화가들은 우리 땅을 어떻게 그렸나

옛 화가들은 우리 땅을 어떻게 그렸나

(아름다운 우리 땅 그림 순례, 도원을 꿈꾸다 조선 땅을 만나다)

이태호 (지은이)
  |  
마로니에북스
2015-03-20
  |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25,200원 -10% 0원 1,400원 23,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옛 화가들은 우리 땅을 어떻게 그렸나

책 정보

· 제목 : 옛 화가들은 우리 땅을 어떻게 그렸나 (아름다운 우리 땅 그림 순례, 도원을 꿈꾸다 조선 땅을 만나다)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한국미술
· ISBN : 9788960533660
· 쪽수 : 488쪽

책 소개

2008년 출간된 <옛 화가들은 우리땅을 어떻게 그렸나> 개정판. 미술사가 이태호 교수가 1980년대부터 30년간 남도부터 금강산까지 직접 찾아 다니며 조선의 독자적인 회화 양식으로 자리 잡은 조선 후기 진경 산수화와 실제 풍경을 비교하고 연구한 살아있는 기록이다.

목차

서문
조선 후기 진경산수화의 아름다움-도원桃源을 꿈꾸다 조선 땅을 만나다

Ⅰ. 진경산수화론

1. 보고 그리기와 기억으로 그리기 진경산수화의 시방식과 화각
시작하며
실경을 닮게 혹은 닮지 않게
기억에 의존해 그린 화가
실경 현장에서 그린 화가
마치며

2. 금강산과 금강산그림한국산수화의모태
시작하며
민족예술을 풍요롭게 한 절경이자 영산
금강산 형상 표현은 문학보다 그림이 낫다
닮은 것과 닮지 않은 것, 정선의 금강산 그림
진경산수화의 확산: 정선 일파와 문인화가의 금강산 그림
현장사생의 맛을 살린 김홍도의 금강산 그림
마치며

3. 20세기의 금강산 그림현장에서 그린 사생화와 기억으로 담은 追想畵
시작하며
금강산의 관광지 개발과 대중화
20세기 전반의 금강산 사생화
20세기 후반 금강산 추상화
마치며

Ⅱ. 우리 땅을 그린 화가들

4. 겸재정선 조선 진경산수화의 완성자
〈박연폭도〉정선의 실경 표현방식
시작하며
조선 후기 진경산수화의 두 가지 유형
정선의 세 가지 실경 표현방식
박연폭이 창출한 시와 음악과 회화
〈박연폭도〉의 표현방식
마치며
〈쌍도정도〉양필법과 연록담채로 풀어낸 초기 진경화풍
시작하며
정선의 사십대 행적과 작품 제작 시기
쌍도정의 위치와〈쌍도정도〉의 화풍
실경사생법의 전통과 정선 화풍의 형성
마치며

5. 진재 김윤겸 겸재일파의 선도작가
시작하며
김윤겸의 가계와 행적
김윤겸의 진경 작품세계
마치며

6. 지우재 정수영 지도학 집안이 배출한 개성적 사생화가
시작하며
정수영의 가계와 생몰연대
정수영의 진경 작품세계
마치며

7. 단원 김홍도 정선과 쌍벽을 이룬 진경작가
김홍도의 진경산수 사실적으로 그린 명승과 일상풍경
시작하며
김홍도의 활동과 회화 경향
진경산수
사경산수
마치며
김홍도 화풍의 여운 이풍익의 《동유첩》에 실린 금강산 그림들
시작하며
《동유첩》의 탄생 배경과 여정
《동유첩》에 실린 작품들과 기행시문의 감명
마치며

8. 설탄 한시각 진경산수의 선례 17세기함경도실경그림들
시작하며
한시각의 집안과 활동
《북새선은도권》의 과거시험 행사도
《북관수창록》의 실경도
마치며

9. 동회 신익성 인조시절의 사생론과 실경화〈백운루도〉
시작하며
17세기 문예사에서 신익성의 위치
서화 취미와 사생론
《백운루첩》의 〈백운루도〉
마치며

저자소개

이태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와 동 대학교 대학원 미학·미술사학과를 졸업했다.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광주박물관 학예연구사를 거쳐 전남대학교 교수, 전남대학교박물관장, 명지대학교 미술사학과 교수 및 박물관장, 문화예술대학원장을 지냈다. 또한 문화재청 문화재위원.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경기도, 충청남도 문화재위원, 국회입법조사처 자문위원, 한국은행 화폐 도안 자문위원 등을 역임했다. 우현(고유섭) 학술상을 수상했고, 황조근정훈장을 수훈했으며, 현재 명지대학교 미술사학과 석좌교수, 다산 숲 아카데미 원장으로 있다. 저서로는 『이야기 한국미술사』(2019), 『서울 산수: 옛 그림과 함께 만나는 서울의 아름다움』(2017), 『사람을 사랑한 시대의 예술, 조선후기 초상화』(2016), 『옛 화가들은 우리 땅을 어떻게 그렸나』(2015), 『한국미술사의 라이벌: 감성과 오성 사이』(2014), 『조선후기 화조화: 꽃과 새, 풀벌레, 물고기가 사는 세상』(2013), 『조선후기 산수화전: 옛 그림에 담긴 봄 여름 가을 겨울』(2011), 『조선미술사기행 1: 금강산, 천년의 문화유산을 찾아서』(1999), 『조선 후기 회화의 사실정신』(1998), 『미술로 본 한국의 에로티시즘』(1998), 『우리시대 우리미술』(1991)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천봉만학(千峯萬壑) 그 사이를 오가며 맴돌아도 내 눈에 보이는 것은 한쪽 면이 고작이라 이 몸이 어찌하면 날개가 돋아 하늘 위에 날아올라 안팎 금강 굽어볼까”

겸재의 진경 작품이 실경을 닮지 않았다는 사실은 ‘진경眞景’의 의미를 다시 생각케 한다. 실재하는 경치라는 ‘진경’과 더불어, 참된 경치 ‘진경’에는 신선경이나 이상향이라는 ‘선경仙境’의미가 내포되어 있다고 해석된다.20 다시 말해서 실제 눈에 보이는 정경은 허상일 수 있다는 개념에 반한 ‘진경’인 셈이다. 이로 보면 겸재가 실제 풍경을 통해 현실미보다 성리학적 이상을 그리려 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또 소동파가‘ 회화에서 대상의 닮음, 곧 형사形似를 강조하는 것은 ‘어린애 수준’이라 폄하했던 점이나, ‘신사神似’나 ‘사의寫意’의 정신성을 강조한 문인화론으로 접근할 수도 있겠다.
겸재 진경 작품의 변형미를 대할 때면, 군자가 산수를 사랑하는 까닭을 설파한 곽희의 ‘산수 보는 법’이 떠오른다. ‘임천林泉의 마음으로 다가서야 가치가 커지고, 교만과 사치의 눈으로 보면 값이 떨어진다’는 대목이다.21 겸재도 곽희의 산수론을 크게 공감하며 강조했던 것 같다.22 실경 대상을 과장하고 재구성하거나 합성한 변형화법은 ‘교만과 사리에 가득한 인간의 눈’이 아닌 신선경의 맑은 숲과 샘, ‘임천의 마음’으로 표현한 셈이다.
조선 후기 진경산수화는 전반적으로 눈에 보이는 대로 그리는 것 또한 대세였다. 이로 보면 겸재가 실경을 닮지 않게 그렸다는 점은 중국 산수화풍의 관념미에서 조선 땅의 현실미로 전환하는 과도기 현상인 셈이다. 위에서 내려다본 듯 전경을 포착하는 부감시俯瞰視 방식에 대해서는 일찍이 비판이 제기되었다. 겸재에 앞서 창강 조속滄江趙涑, 1595~1668은 부감법에 대해 “새처럼 하늘에서 내려다 보았다면 진실이겠다”라고 하였으며, 스스로 “좋은 풍광을 만나면 말에서 내려 눈앞의 경치를 그렸다”고 했다.24 조속이 그린 금강산도가 전하지 않아 아쉽기 짝이 없다.
조선 후기 회화는 전반적으로 사실주의 성과에 힘입은 바가 크다. 그 선구자로 숙종 시절 남인계 문인화가인 공재 윤두서恭齋 尹斗緖, 1668~1715는 대상을 정밀히 관찰하여 그림을 그리거나 모델을 세우고 그렸다는 ‘실득實得’의 창작태도를 견지했다.26 그는 이에 걸맞은 사실적인 자화상과 말 그림과 인물풍속화 등을 남겼다.27 영조 시절 겸재와 이웃하여 절친했던 관아재 조영석觀我齋 趙榮?, 1686~1761은 ‘즉물사진卽物寫眞’, 곧 “실제 대상을 눈앞에 두고 그려야 살아 있는 그림이 된다”28며 인물풍속이나 동물들을 사생하였다.29 공재와 관아재는 김홍도나 신윤복에 앞서 조선 후기 풍속화 유행을 선도한 문인화가들이다.30
금강산을 탐승한 이후에는 ‘겸재 진경 작품이 왜 실경과 닮지 않았는가’에 대하여 해명해보려 관심을 쏟았다. 다른 한편으로는 유럽의 풍경화 현장을 두루 찾았다. 2001년 여름 프랑스의 프로방스 지방을 답사한 뒤, ‘자연을 대하는 같은 감명, 다른 시선’으로 겸재의 산수화와 세잔의 풍경화를 비교해보았다.45 이를 통해 겸재의 진경산수에서 실경과 닮지 않은 변형화법을 ‘기억’에 의존해서 그렸기 때문이라고 설정하게 되었다.46 ‘체험하는 지각’으로서 ‘기억’, 곧 세잔 풍경화의 단순화에 대한 인지과학적 접근을 읽고 어설프게 겸재 작품에 적용해 본 것이다.47 이런 가운데 겸재나 단원도 세잔 못지않은 ‘세계적인 작가’로 내세워야 한다는 욕심이 부풀기도 했다. 특히 세잔은 ‘풍경이 내 속에서 자신을 생각한다’며 ‘나는 풍경의 의식이다’라는 사고 아래 생트빅투아르 산을 그렸다.48 이 점은 ‘임천林泉의 마음으로 보라’는 곽희의 주문과 유사하고, 겸재가 감성으로 그린 변형방식과 상통한다고 연계해보기도 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