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도시 인간학

도시 인간학

(도시 공간의 통합 기호학적 연구)

김성도 (지은이)
  |  
안그라픽스
2014-05-16
  |  
5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45,000원 -10% 0원 2,500원 42,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도시 인간학

책 정보

· 제목 : 도시 인간학 (도시 공간의 통합 기호학적 연구)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건축 > 건축이론/비평/역사
· ISBN : 9788970597362
· 쪽수 : 984쪽

책 소개

한국 기호학계를 대표하는 세계적인 기호학자 김성도 교수의 신간이 나왔다. 현재 세계기호학회 집행 위원이자 세계 최고의 기호학 학술지인 <세미오티카>지의 편집위원인 저자의 지난 8년간의 연구 성과가 고스란히 녹아 있다.

목차

들어가는 글 13

서론 19

연구의 목적과 성격 20

도시 기호학의 학문적 위상: 주요 도시 연구 학술 분야에서의 수용과 평가 23
- 주요 기호학 사전들 속의 도시 기호학 항목 23
- 도시학 분야에서의 기호학의 수용 27
- 도시 지식의 횡단성 31

도시 기호학의 지적 계보 I: 도시 텍스트의 판독 가능성과 도시 독법의 근대적 고고학 38
- 보들레르: 도시 텍스트의 수수께끼 41
- 벤야민: 자신도 알지 못했던 최초의 도시 기호학자 45
- 도시 공간의 의도적 오독 또는 전복적 사용: 국제 상황주의자들과 세르토 50

도시 기호학의 지적 계보 II: 린치, 노르베르크슐츠, 로시, 벤투리 54
- 린치의 도시 사상: 인지적 매핑에서 도시의 시간성까지 54
- 노르베르크슐츠: 거주의 시학과 실존 공간 58
- 로시: 도시 건축의 신 합리주의적 유형론 62
- 벤투리: 기호학적 관점 65

도시 공간의 본질: 호모 우르바누스의 탄생과 대도시 문명양식의 창발 70
- 도시의 인간학적 본질 70
- 도시의 단위와 의미의 변화 74
- 대도시 문명양식의 창발 77

근대 도시 계획의 담론과 실행에 대한 비판적 성찰 83
- 근대 도시 계획 담론의 유토피아이즘과 메시아니즘 83
- 근대 도시의 비극적 본질: 정치적 공동체의 종언과 과거 기억의 소거 87
- 르 코르뷔지에의 도시계획 실험과 거주의 인간학적 위기 92

현대 도시의 윤리적 위기와 증강 도시 공간의 도래 97
- 현대 도시 개발의 인간학적 단절: 근접성 맥락의 위기 97
- 얼굴 없는 도시에서 상징적 재의미화의 도시로 102

제1부 근현대 도시 사상 담론의 계보와 지형

제1장 도시 공간의 주요 개념화: 여덟 개의 핵심적 은유와 모델

우주 모델: 도시 공간의 우주성, 종교성, 의례성 118
유기체 모델 133
예술 작품 모델: 도시 인공물의 예술성과 도시 공적 공간의 숭고미 144
기계 모델: 도시 기계의 개념 구조와 계보 153
텍스트 모델: 개념과 문화적 맥락 160
네트워크 모델 169
복잡계 모델 178
생태계 모델 186

제2장 근현대 도시 계획의 담론: 오스만에서 근대건축국제회의까지

근대 도시 계획 담론의 설립 배경 192
1 근대 도시 계획 이론의 역사적 맥락: 정치적 사회적 건설 공학적 요인들 194
2 오스만의 도시 근대화 개조 201

근대 도시 계획 이론의 발생: 근대 계획 담론의 선사 210
1 도시 계획 이론의 발생: 세르다와 소리아 이 마타의 도시계획론 214
2 초기 진보주의적 모델 219
3 영국 도시 사상의 문화주의적 토대: 러스킨과 모리스 224

문화주의적 모델의 전개: 하워드와 지테를 중심으로 233
1 지테의 도시 미학 사상 235
2 하워드의 전원도시 243

자연주의 모델과 인간생물학적 모델: 라이트와 게디스 250
1 인간적 도시 구획: 게디스의 도시계획 사상 250
2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의 자연주의 모델 256

진보주의적 현대 도시계획의 전개 262
1 진보주의적 모델의 새로운 전환: 토니 가르니에의 ‘산업도시’에서 르 코르뷔지에의 ‘빛나는 도시’까지 264
2 CIAM(근대건축국제회의)의 도시사상사적 의의 270
3 근대 도시 계획 사상의 세 가지 이념적 성격: 도덕주의, 과학주의, 유토피아주의 278

제3장 도시 사회과학 담론의 근대 계보

초기 사회 과학자들의 도시 공간 인식 290
1 마르크스의 도시 개념: 소외와 해방의 이중성 290
2 엥겔스의 도시 관찰과 비판 295
3 베버의 도시 경제학 301

시카고학파의 도시 생태학 306
1 제도적 배경과 이론적 형성 과정 306
2 자연적 질서로서의 도시 311
3 공간적 형상화로서의 도시 319

르페브르의 도시 사상 324
1 근대 도시 비판론 325
2 도시 기호학과 도시 철학에 대한 르페브르의 비판 329
3 도시계획 개념의 공간 이데올로기 비판 336

자본, 공간, 계급: 마르크스 도시 사회과학의 계승 340
1 카스텔스의 도시 비판 이론 340
2 도시 공간의 자본 축적 이론: 하비의 도시 공간 이론 345

프랑스 도시 사회학의 두 전범: 알박스와 숑바르 드 로베 352
1 알박스의 도시 형태론과 집단 기억 352
2 숑바르 드 로베의 파리 공간 구획 이론 362

제4장 도시 인문학 담론의 주요 이정표

벤야민의 도시 공간 독법 369
1 벤야민 도시 사상의 시대적 맥락과 의의 369
2 벤야민의 도시 공간 독법의 성격 380

만보객의 계보학 388
1 만보객의 기원과 변천 388
2 보들레르의 도시 풍경 392
짐멜과 근대성의 도시 풍경 399

세르토의 도시 공간 실천: 도시 공간의 쓰기와 읽기 412
1 『일상의 발명』의 인식론적 토대 412
2 행동 기술과 실천적 장소로서의 도시 공간 417
3 걷기의 수사학과 서사성: 보행자의 발화 작용과 길의 수사학 423

현대 미국의 도시 인문 담론과 비평 430
1 멈퍼드의 도시 인문 사상과 비평 430
2 도시 공간의 윤리성: 제이콥스의 도시 비판론 437

제2부 도시 기호학의 역사적 이론적 토대: 발생·전개·구조

제5장 건축 기호학에서 도시 기호학으로

건축 기호학의 발생과 이론적 토대 449
1 건축의 기능과 커뮤니케이션: 감베리니에서 에코의 건축 이론까지 450
2 영미권의 건축 기호학의 수용과 전개: 브로드벤트, 프레지오시, 젱크스, 벤투리 458
3 프랑스 건축 기호학의 발생과 전개 475

건축 공간과 그레마스 구조 기호학 적용 484
1 건축, 공간, 사회 484
2 건축 공간의 서사적 프로그램 487
3 건축의 구상과 설계 단계에서의 건축 기호학의 기여 499

건축에서 도시 공간으로: 도시 기호학의 선사(先史) 505
1 텍스트로서의 근대 도시 공간 505
2 도시 공간의 판독 가능성: 도시 기호학의 선구자 벤야민과 바르트 510
3 도시 공간의 기호학적 경험 514

제6장 도시 기호학의 이론적 토대

도시 기호학의 발생과 전개 528
1 도시 공간은 하나의 언어인가: 도시 기호학의 발생 530
2 도시 공간의 의미화 또는 탈의미화: 바르트, 쇼에, 그레마스 534
3 도시 이미지의 기호학: 린치의 인지적 접근 542

도시 기호학의 이론적 요소 544
1 옐름슬레우의 모델에 기초한 도시 기호학의 개념적 기초 544
2 도시 공간의 기호학적 요소와 단위의 문제: 르드뤼의 비판적 시각 547
3 도시 공간의 의미화와 이미지 552
4 도시 공간의 생성 문법: 부동의 형태 통사론 모델 560
5 도시 공간에서의 행로와 도시 공간의 텍스트화 565

도시 공간의 사회 기호학적 접근 568
1 일반 기호학과 사회 기호학 568
2 사회 기호학적 접근의 인식론적 조건 572
3 공간 이데올로기에 대한 사회 기호학적 접근법: 미국 쇼핑몰의 공간 분석 사례 576

그레마스의 위상 기호학: 시스템에서 가치론으로 580
1 인식론적 전제와 방법론적 문제 580
2 도시의 이데올로기적 모델 584
3 도시 문법 프로젝트: 발화체로서의 도시와 도시의 발화 작용 587
4 도시 공간 메시지의 발신자와 수신자 590

건축, 도시, 경험: 도시 기호학의 현상학적 토대 593
1 생활 세계로서의 도시 공간 593
2 장소의 구조화와 사회적 의미 작용 598
3 다다름의 기호학: 도시 공간에서 도착, 진입,
머무름의 현상학적 기호학 601

제7장 도시 공간 구조의 형태 기호학적 토대

공간의 개념적 토대 608
1 사회와 공간 608
2 공간 개념의 주요 유형론 612
3 건축 공간의 패러독스: 피라미드와 미로 621

도시 공간 형태의 통시적 변화와 도시 공간 개념화의 계보 625
1 도시 공간의 형태 발생과 역사적 진화 625
2 도시 형태 발생의 일반적 과정과 도시 공간의 복잡성 634

도시 형태론의 이론적 토대 642
1 도시 형태의 본질 644
2 도시 형태의 복잡계 651
3 도시 공간 형태의 사회적/공간적 기하학 657
4 힐리어의 공간 통사론 660
5 도시 형태의 의미 작용 663

도시 형태의 인지적 현상학적 토대: 노르베르크슐츠의 현상학적 도시 건축 이론 667
1 도시 공간의 형상성 667
2 도시 형태의 ‘아우라’와 장소성 672
3 도시 공간의 위상학적 차원: 내부와 외부 674

도시 공간의 형태 발생: 도시적 사실과 도시 공간의 매트릭스 679
1 도시적 사실과 형태발생의 기호학 679
2 도시 공간의 매트릭스 685
3 형태 발생 이론의 개념 구조와 인식론적 조건 689

제3부 도시 기호학에서 도시 인간학으로

제8장 도시 공간의 시학적 상상력

시적 공간으로서의 도시 공간 698
1 공간의 시적 상상력과 도시 공간의 시적 지평 698
2 도시 시학의 윤리적 차원: 이웃과 근접성의 의미 704
3 도시 시학의 몇 가지 요소 710

거주의 시학: 하이데거로부터 배우기 722
1 하이데거의 거주 철학 다시 읽기 722
2 하이데거의 공간 개념의 영향: 공간의 실존성과 장소의 정신성 728
3 건축의 예술성과 거주의 시학: 노르베르크슐츠의 하이데거 해석 733
4 거주 시학의 생태학적 함의 742

도시 공간의 시적 전유 749
1 도시 경험으로서의 도시 유랑 749
2 도시 공간의 시적 경험: 도시 유랑의 작은 역사 758
3 인도와 걷기에 대한 문학적 기호학적 성찰: 길과 거리의 시학 761
4 길과 거리의 초월성 766

제9장 도시 공간의 서사성: 기억, 서사, 시간

도시 공간의 기억 769
1 흔적과 집단적 기억으로서의 도시 공간 769
2 건축과 기억: 기억 개념의 근대적 계보와 정치학 776
3 도시 공간의 표상성과 상상계 786

도시 공간의 서사적 차원 793
1 도시 건축의 정체성과 서사성 793
2 도시 공간 서사성의 몇 가지 요소 798
3 도시의 서사성: 도시 공간의 서사적 밀도와 패러독스 807
4 건축, 기억, 서사: 도시공간을 낯설게 하면서 읽기 812
5 공간, 감각, 느린 시간: 도시 서사의 잠재적 요소들 818

도시의 시간성 825
1 도시 공간의 시간성 825
2 도시 공간 기호들의 기억과 망각 835
3 시간과 환경 844
4 공간 구조의 시간성 851
5 도시 공간에서 시간의 콜라주와 리듬 854

제10장 도시 공간의 생태학적 토대

도시 생태학의 역사적 조건과 발생 맥락 835
1 생태학 개념의 의미장과 생태 사상의 계보 835
2 환경 위기와 지속 가능성 패러다임의 창발 844
3 근대 도시 생태학의 문화적 정치적 발생 맥락 851
4 근대 도시계획 담론과 자연: 환경 위기와 생태학적 의식의 도래 854

도시, 자연, 생태계 897
1 도시 생태학의 개념 구조: 지속 가능한 생태 도시 897
2 생태계로서의 도시 공간 903
3 도시와 자연 905
4 도시 생태학의 윤리적 우주론적 토대: ‘에쿠멘’의 생태학적 차원 912

도시 공간의 주요 생태학적 차원들 918
1 지속 가능한 도시 생태계의 모델 918
2 도시의 신진 대사: 에너지 절약과 탄소 제로 924
3 생태적 발자취 933
4 생물 다양성 936

찾아보기 944
참고 문헌 956
도판 출처 982

저자소개

김성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고려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파리 10대학에서 언어학으로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고려대학교 언어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기호학, 문자학, 언어학사, 사회언어학, 매체 언어학 등을 강의하고 있다. 또한 LG 연암 해외 연구교수 프로그램에 선정돼 옥스퍼드대학 방문교수, 플브라이트 시니어 펠로우로 선정되어 하버드대학 방문학자, 그 외 캠브리지대학 초청 방문교수를 지냈으며, 파리대학 총장 초청으로 프랑스국립과학연구소에서 초빙연구원 자격으로 연구하였다. 현재 세계기호학회 부회장과 세계아시아기호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소쉬르의 『일반언어학 강의』 읽기』(2021), 『구조에서 감성으로』(2020), 『언어인간학』(2017), 『도시인간학』(2014), 『기호, 리듬, 우주』(2007)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그라마톨로지』(2010), 『소쉬르의 마지막 강의』(2017), 『기호학과 언어철학』(2009), 『퍼스의 기호 사상』(2006)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연구 목적과 성격」에서
메트로폴리스metropolis, 메가폴리스megapolis, 메갈로폴리스megalo-polis 등 대략 지난 200년간 진행된 도시의 급격한 변천과 21세기에 접어들어 나타난 전대미문의 도시 현상들의 이질성과 파격성을 이해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 역시 다양하나, 이들 용어의 한 가지 공통점은 새로운 현상이 불러온 불균형, 복합성, 혼잡성, 이질성을 아우르려는, 일종의 가치 판단의 욕망이 담겨 있다는 사실이다. 새로운 종류의 도시 공간은 매혹적인 대상인 동시에 혐오와 공포의 대상이라는 점에서 모종의 기형성을 함축한다. 하지만 현대 도시가 개인의 존엄성을 파괴하고 인간다운 삶의 온기와 잠재력을 앗아가는 차가운 기계라며 맹목적으로 단죄하는 것도 문제가 있다. 오늘날 도시는 우리에게 정치적, 윤리적, 생태학적 물음과 더불어 인문적 성찰을 요구하고 있으며 적절한 문제 제기를 정식화할 수 있는 새로운 인식의 틀을 시급히 요청한다. 따라서 우리의 지성은 복잡하고 다양한 문제의 실타래를 풀어내야 할 총체적 과제에 직면했다. 우리는 도시 간의 다면성과 복잡성을 인식하면서도 섣부른 일반적 진술을 지양하고 동시에 일방적인 심미적, 윤리적 판단을 자제해야 할 것이다. 이런 점에서 도시 기호학은 도시 공간의 의미 작용을 다원적이며 입체적인 관점에서 바라본다. 도시는 인간 사회가 생산한 특별한 종류의 공간 형식으로, 오늘날 도시 공간과 그 조직은 과거의 그것과는 비교 자체가 무의미할 정도로 새로운 양식을 취하고 있다.
필자는 위와 같은 첨예한 문제의식 속에서 통합 기호학의 시각으로 시적이며 심미적인 도시, 과거의 기억과 흔적이 공존하는 서사적인 도시, 아울러 건강한 생태계를 갖춘 지속 가능한 도시를 사유하는 동시에 도시 시학, 도시 서사학, 도시 생태학을 도시 인간학의 주춧돌로 삼고자 했다.

「근현대 도시 사상 담론의 계보와 지형」(110쪽)에서
필자는 근현대 도시 사상사의 계보와 지형을 크게 세 개의 축으로 나누어 설정했다. 첫 번째 축에는 도시계획의 이론과 실천을 담당했던 근현대 ‘어버니즘urbanism’의 설립자들이 포함된다. 이 주체들은 근대 도시 공간을 창조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맡았으며, 이미 만들어진 도시를 하나의 텍스트로 읽는 학자들과는 달리, 도시 텍스트의 생산자이며 이론가의 역할을 수행했다는 점에서 특이하다. 두 번째 축과 세 번째 축에는 각각 사회과학과 인문학 영역에서 도시와 관련하여 쌓아놓은 이론, 사유, 비평들의 오랜 전통의 궤적이 포함된다. 이 두 범주는 서로 밀접하게 연결돼 있어 늘 확연한 구별이 이뤄진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지리학, 인류학, 사회학, 경제학, 역사학 등을 중심으로 이뤄진 담론이 첫 번째 범주에 속한다면, 짐멜, 벤야민, 지그프리트 크라카우어, 바르트, 세르토 등을 도시 인문학의 범주로 묶어낼 수 있을 것이다.

「텍스트 모델: 개념과 문화적 맥락」(166쪽)에서

예컨대 서울이라는 도시 공간을 하나의 텍스트로 상정하고 한국 문학에서 나타나는 서울이라는 공간 텍스트를 상세하게 분석할 수 있다. 오늘날 서울의 도시 공간뿐만 아니라 과거 서울의 도시 공간을 각각 공시태와 통시태의 관점에서 분석해내는 시도가 가능하다. 물론 서울이라는 도시의 공간 언어는 문학이라는 언어 텍스트로 한정되지 않으며 시각, 후각, 미각 등 의 다양한 감각적 텍스트들로 이뤄진 이질적 텍스트라 할 수 있다. 자신의 고유한 기호학적 언어를 갖는 공간적 대상인 서울과, 서울을 기술하는 상이한 텍스트 사이에는 늘 상호작용이 존재한다. 또한 서울이라는 신화 공간을 생성하는 지속적인 약호를 구별해낼 수 있을 것이다. 서울이라는 공간 텍스트의 저변에 존재하는 핵 구조들은 서울의 내면적 상태의 양가적 진화로 표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테면 고통, 병든 상태, 권태, 고갈 대對 향유, 건 강, 생명력, 몽상 등의 정신적 신체적 이분법을 포함해 서로 모순적인 감동을 촉발시키는 자연 현상들, 이를테면 어둠, 밝음, 안개, 홍수, 비, 눈, 열기, 태양, 황혼, 큰 강, 신선함 등의 요소를 적용해 서울의 상태 변화를 기술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며, 전통, 현대, 초현대, 아방가르드, 젠더, 권력, 사회적 갈등과 긴장 등의 문화적 속성으로 골목길, 대로, 달동네, 전통 한옥, 한옥의 문턱, 자물쇠, 계단, 초현대식 빌딩, 학교 복도, 청와대, 압구정동, 신촌 등을 기술할 수 있을 것이다.

「만보객의 계보학」(391쪽)에서
보들레르는 만보객의 전범적 형상으로서 알레고리의 시인이며 폐허가 된 세계와 대면하는 시인이다. 만약 부스러기 조각들밖에 없다면, 나머지와 흔적들밖에 없다면, 시인에게는 그것을 하나로 모으는 것 이상의 일이 남지 않으며 만보객에게는 수집가 또는 넝마주이가 되는 것 밖에 없다. 실제로 넝마주이라는 형상은 보들레르를 매료시켰다. 특히 벤야민은 보들레르를 매료시킨 군중이라는 형상에 주목한 바 있다. “보들레르에게 군중, 이들은 산책자 앞에 베일처럼 드리워져 있다. 군중은 도시의 고독한 개인이 찾는 마취제이며 개인의 모든 흔적을 지워버린다. 그것은 추방된 자의 마지막 은신처로서 마침내 도시의 미궁 속에서 가장 새롭고 가장 불가사의한 미궁이 된다. 이제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지하 세계의 모습이 군중에 의해 도시의 이미지 속에 새겨진다.” 포스트메트로폴리스로 특징지어진 21세기의 오늘날에도 ‘만보와 소요’는 살아 있다. (…) 새로운 만보객은 최대한 느리게 걷는 사람이고, 진정한 만보객은 장소의 기능성에 저항하는 사람이며, 또한 장소의 기억 상실과 일체의 시뮬라크르에 저항하고, 기계적 리듬에 저항하는 주체로서 대중 소비의 허위적 유토피아 세계를 문제 삼는다. 이를테면 모든 사람이 자동차와 비행기를 탈 때,
자신의 두 다리 맨발로 걷는 사람이며 도심 거리의 변화를 여유롭게 관조하는 사람이다. 그는 관습적 공간 사용을 전복하고 장소와 기능성의 방향을 변형시키고 기존의 리듬을 바꾸어놓는다. 현대의 만보객은 바로 이 같은 의미 전환의 경험, 표류의 경험, 전복의 경험에서 새로운 알레고리의 형상으로서 모습을 드러낸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