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그대만의 꽃을 피워라

그대만의 꽃을 피워라

(법정스님의 무소유 순례길)

정찬주 (지은이)
  |  
열림원
2011-03-20
  |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0,500원 -10% 520원 8,930원 >

책 이미지

그대만의 꽃을 피워라

책 정보

· 제목 : 그대만의 꽃을 피워라 (법정스님의 무소유 순례길)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88970636818
· 쪽수 : 292쪽

책 소개

법정스님의 일대기를 다룬 <소설 무소유>의 작가 정찬주의 마음기행. 이 책은 법정스님으로부터 속세에 물들지 말라는 뜻의 '무염'이라는 법명까지 얻은 재가 제자가 스님이 머물렀던 자리를 경외와 흠모의 정으로 뒤쫓았다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법정 스님이 몸소 체화했던 무소유 사상의 성립부터 완성까지의 전 과정을 현미경으로 들여다보듯이 낱낱이 살펴볼 수 있는 책이다.

목차

추천의 말 / ‘무소유 성지순례길’의 길벗이 되기를(현장스님_‘맑고 향기롭게’ 이사장)
작가의 말 / 법정스님, 뵙고 싶습니다. 지금 어디 계십니까?

송광사 불일암에서
대나무 그림자처럼, 달빛처럼 살아라 / 길이 아니면 가지를 마라 / 모란은 모란이고 장미꽃은 장미꽃이다 / 홀로 마신즉 그 향기와 맛이 신기롭더라 / 단순하고 간소하게 살아라

우수영에서
버려야만 걸림 없는 자유를 얻는다

진도 쌍계사에서
필연은 우연이란 가면을 쓰고 손짓한다

미래사 눌암에서
백 가지 지혜가 하나의 무심(無心)만 못하다 / 동으로 흘러가는 저 물을 보라

쌍계사 탑전에서
걸레라도 힘껏 비틀지 마라 / 진정한 도반은 내 영혼의 얼굴이다

가야산 해인사에서
흰 구름 걷히면 청산이라네 / 펜대를 바로 세운 이는 법정스님뿐이다

봉은사 다래헌에서
누구나 빈손으로 왔다가 빈손으로 돌아간다

강원도 오두막 수류산방에서
웬 중인고, 내가 많이 늙어버렸네!

길상사에서
나쁜 말 하지 말고, 나쁜 것 보지 말고, 나쁜 말 듣지 말라 / 살아 있는 것은 다 행복하라 / 베푼 것만이 진정으로 내 것이 된다 / 침묵에 귀 기울이라 / 한반도에 다시 오시어 못 다한 일들 이루소서

저자소개

정찬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자기만의 꽃을 피워낸 역사적 인물과 수행자들의 정신세계를 탐구해 온 작가 정찬주는 1983년 「한국문학」 신인상으로 작가가 된 이래, 자신의 고유한 작품세계를 변함없이 천착하고 있다. 수불 스님으로부터 중국 황벽선사 묘탑에서 받은 호는 벽록(檗綠). 1953년 전남 보성에서 태어나 동국대 국문과를 졸업했으며 국어 교사로 교단에 잠시 섰고, 샘터사 편집자로 법정 스님 책을 만들면서 스님의 각별한 재가제자가 되었다. 법정 스님에게서 ‘세속에 있되 물들지 말라’는 뜻으로 무염(無染)이란 법명을 받았다. 2002년 전남 화순 계당산 산자락에 산방 이불재(耳佛齋)를 지어 현재까지 집필에만 전념 중이다. 장편소설로는 『아소까대왕』(전 3권) 『시간이 없다』 『굿바이 붓다』 『산은 산 물은 물』(전 2권) 『소설 무소유』 『다산의 사랑』 『이순신의 7년』(전 7권) 『천강에 비친 달』 등이 있고, 산문집으로는 『스님 바랑 속의 동화』 『암자로 가는 길』(전 3권) 『법정스님 무소유, 산에서 만나다』 『행복한 무소유』 『자기를 속이지 말라』 『선방 가는 길』 『정찬주의 茶人기행』 『법정스님 인생응원가』 『불국기행』 등이 있다. 동화로는 『마음을 담는 그릇』 『바보 동자』 등이 있고, 역서로는 『굿모닝 관세음보살』이 있다. 행원문학상, 동국문학상, 화쟁문화대상, 류주현문학상, 유심작품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스님에게 또 하나 더 상처를 준 사건은 6?25전쟁, 전쟁의 야만성은 학생 박재철의 친지와 선후배는 물론이고 가깝게는 어머니에게까지 미친다. 고등학교 3학년 때의 일로 박재철은 고향집에서 방문을 걸어 잠그고 3일 동안 식음을 전폐하고 눈이 퉁퉁 붓도록 운다. 작은아버지가 문을 부수고 들어가서야 박재철은 방에서 나왔지만 그때 받은 충격은 실로 깊고도 컸다. 바로 그때부터 박재철은 야만스러운 이 세상을 벗어나 새로운 인생길을 꿈꿨는지도 모른다. 그러니까 대학 3년간은 출가를 결행하지 못하고 경계인으로서 떠돈 자의 반 타의 반의 시간이 아니었을까, 라는 생각이 든다.
사람이라면 누구나 보이지 않는 상처가 있는 법이다. 겉으로는 추억의 사진 한 장처럼 아름답고 멋진 청춘의 시간이었던 것 같지만 내면에는 사진 찍히지 않는 아픈 상처가 한두 가지 있게 마련이다. 그러나 바다 밑의 조개가 자신의 상처를 진주로 만들어내듯 세상에는 자신의 상처를 반짝이는 보석으로 승화시키는 사람도 있으니 법정스님이 바로 그런 분이 아닐까 싶다.”
-우수영에서 「버려야만 걸림 없는 자유를 얻는다」 중에서


“금당 편액 좌우에 세계일화 조종육엽(世界一花 祖宗六葉)과 육조정상탑(六祖頂相塔)이란 추사 김정희 글씨가 걸려 있다. 금당으로 들어가 참배를 한다. 금당 안에는 불상 대신 석탑이 봉안돼 있다. 석탑 안에 선불교를 완성한 중국의 육조 혜능대사의 정상(頂相, 머리)이 실제로는 봉안돼 있지 않지만 삼신산 산자락에 모셔져 있다고 한다. 탑전이란 금당의 석탑을 지키는 전각이라는 뜻이다.
금당을 지키는 보살에게 석탑의 내력을 물어보니 스님이 잘 아신다고 대답을 사양한다. 육조 머리의 봉안이 사실이든 아니든 간에 효봉스님이 금당 옆에서 정진하고자, 사미 법정을 데리고 온 까닭은 혜능대사 가풍의 후예라는 자부심 때문이었을 것이다.
대요스님이 먼저 엎드려 참배하고 뒤이어 나도 마룻바닥에 무릎을 꿇는다. 절하는 행위를 우상을 섬기는 행위라고 하는 이들에게 할 말이 있다.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절은 나의 허망한 그림자를 지우고 없애는 행위이지 우상에게 나를 구원해달라고 비는 의식이 아니라는 점이다. 저 석탑이 어떻게 나를 구원할 수 있겠는가. 만약 그렇게 믿는 이들이 있다면 당장 정신과 치료부터 받아야 할 것이다.
석탑 앞은 촛대와 생화들로 장식돼 있다. 그러나 눈부신 것은 열려진 문으로 들어와 석탑 밑에 고요하게 누운 햇살 자락이다. 금당을 나와 뒤편 산자락으로 올라가보니 지리산의 한 봉우리인 삼신산이 장엄하다. 푸른 것은 침엽수요, 붉고 노란 것은 활엽수다. 법정스님도 침엽수와 활엽수가 두 손을 모으고 서 있는 삼신산의 무정설법(無情說法)에 눈과 귀를 맑히셨을 것 같다.”
-쌍계사 탑전에서 「걸레라도 힘껏 비틀지 마라」 중에서


“누군가에게 자신의 의미를 찾으려 하고 그것을 지키려 한다. 왜 자기는 찾지 않고 어떤 굴레에 갇히기를 원하는지 답답하다. 부처님은 진리를 등불 삼고, 자신을 등불 삼아 살라고 했다. 무소의 뿔처럼 홀로 가라고 했다. 이 세상에 자신을 구원할 만한 대상은 아무것도 없으니 밖으로 눈을 돌리지 말고 내면을 관조하라고 했던 것이다.
스님께서도 ‘석가모니 부처님도 한 분이면 족하다’라고 했다. 상좌든 신도든 누가 됐건 간에 당신의 가르침이나 친분에 갇히는 맹목(盲目)을 경계하셨다. 오히려 스님께서는 멀리 떨어져 살더라도 자기 질서를 소박하게 지키며 사는 보통 사람들을 사랑하고 신뢰하셨다.
캄캄한 밤하늘이 아름다운 까닭은 별들이 자기 자리를 지키며 반짝이기에 그런 것이 아닐까. 우리가 아는 몇 개의 별들만 광대무변한 허공에서 반짝이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알지 못하는 수많은 별들이 제자리를 지키며 더불어 반짝이고 있는 것이다. 무엇이 아름다운 인생인지 알고자 한다면 밤하늘의 별을 보라고 권면하고 싶다. 자기 자리에서 누구도 닮으려 하지 않고 스스로 반짝이는 별이 되는 것이 바로 아름다운 인생인 것이다.”
-길상사에서 「살아 있는 것은 다 행복하라」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