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조선기략"(으)로   3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대조선 특명전권대신 박영효의 일본 여행기, 사화기략

대조선 특명전권대신 박영효의 일본 여행기, 사화기략

박영효 지음(탁양현 엮음)  | 퍼플
11,100원  | 20180813  | 9788924056280
성공한 메이지유신 실패한 갑오개혁 그리고 박영효 ‘大朝鮮 特命全權大臣兼修信使’은 朴泳孝가 일본 訪問時에 사용한 공식 公職名이다. 使和記略은 박영효가 1882년(고종 19) 8월~11월까지 일본을 여행한 기록이다. 여행의 성격은 응당 外交 여행이다. 이 시기는 일본에서 ‘메이지 유신(1868)’이 본격적으로 실행되는 시절이다. 때문에 이 시대를 연상케 하는, 최익현, 유대치, 김옥균, 홍영식, 서정범, 서재필, 요시다 쇼인, 사이고 다카모리, 사카모토 료마, 이토 히로부미 등 여러 이름이 떠오른다. 그런데 그 裏面에는 이런 이름도 있었다. 대표적으로 ‘Thomas Blake Glover(1838~1911)’를 말할 수 있다. ‘토마스 블레이크 글로버’는 19세기 후반에 일본 ‘나가사키’ 市에 체류한 스코틀랜드 상인이다. 그는 사실상의 ‘일본 근대화의 아버지’로서, ‘나가사키’ 시내에 있는 ‘Glover Garden’은 그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그는 당시 일본내에서 가장 번성하던 ‘사쓰마 번(가고시마현)’에 신식 무기들을 판매하였으며, 그 무기는 1864년의 전쟁에서 사용되었다. 우리는 메이지유신이 세계 列强의 거대한 ‘Great Game’의 결과물 중 하나임을 인식해야 한다. 그나마 일본은 이러한 Big Picture를 이해하였기에 일련의 近代化를 실현할 수 있었다. 그런데 이러한 시대에 예컨대, 勉菴 崔益鉉은 결단코 상투를 자를 수 없음을 端初로 衛正斥邪 義兵運動을 벌이다가, 對馬島로 유배되어 斷食으로써 殉國한다. 그리고 박영효는 다양한 활동을 지속하다가,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에 의해 민족반역자로 규정된다. 使和記略의 使行은, 같은 해 6월에 일어났던 壬午軍亂으로 우리 나라와 일본 사이에 체결된 제물포조약에 의해 성사된 修信의 의미와, 한편으로는 金玉均이 사행의 일원으로서, 임금의 은밀한 교지를 수행하는 임무를 띤 것이었다. 이 기록은 같은 해 8월부터 11월까지 4개월간의 기록으로 주요 사건이 있는 날만 썼다. 그리고 전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비교적 자세히 썼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일본 정부와 주고받은 공문은 원문을 그대로 소개했는가 하면, 외국사신들과 만난 기사도 주요 내용은 물론 앉은 배치도까지 그려져 있다. 이 기록의 주요 내용을 보면, 첫째, 박영효가 일본에 갈 때 배 안에서 태극기를 처음으로 고안해 사용했는데, 그 제조 경위가 자세히 밝혀져 있다. 둘째, 일본과의 修好面에서 앞서 체결한 제물포조약의 미비점을 보완하고, 손해배상금 상환기한을 5년에서 10년으로 연기하도록 고친 사실을 기록하였다. 또한 우리 나라의 경상도 歲收諸稅 중에서 순금·은으로 교환해 일본의 은화폐든지 금화폐의 量目에 비추어 해마다 5만원을 지불하며, 그 방법은 두 차례로 나누어 조선 元山港에 있는 일본영사관으로 수송시키기로 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셋째, 이들 일행 가운데는 2년 뒤 갑신정변을 주도한 開化黨의 김옥균·徐光範과 그 반대파인 守舊黨의 거두 閔泳翊도 수행하였다. 이로 보아 당시 일본의 여러 발전상이, 우리 나라의 정치 변혁에 여러 가지로 작용했으리라는 면을 추측하는 자료를 담고 있다. 한편, 2개의 續約을 訂定한 내용도 담고 있는데, 제1관은 원산·부산·인천 항구의 里程을 조선의 이정법에 의해 사방 각각 50리씩으로 하고, 2년 뒤 다시 각각 100리씩으로 한다. 제2관은 일본의 영사·공사와 그 수행원의 가족이 우리 나라 內地의 각 곳에 유람하는 것을 허가하는데, 유람하는 지방을 지정해서 예조로부터 증명서를 주고 지방관은 증명서를 조사해 호송해야 한다는 것으로 되어 있다. 유학생도 약간 명을 인솔해 가서 입학시키고 이전에 가 있던 유학생을 데리고 왔다. 유학은 주로 語學校와 士官學校가 주였는데, 尹致昊도 이 때 유학했고, 일본에 있는 동안 일왕의 생일을 맞아 여러 외국 특사들과도 빈번하게 접촉했다는 내용도 수록되어 있다. -하략-
선원계보기략(영인본) (조선 시대 구황실(舊皇室)의 족보(族譜) 영인본)

선원계보기략(영인본) (조선 시대 구황실(舊皇室)의 족보(族譜) 영인본)

민족문화 편집부  | 민족문화
108,000원  | 20221030  | 9791168872073
1681년부터 1931년까지 각 왕대에서 부정기적으로 중교(重校)·보간(補刊)하여 종신과 조신들에게 반포한 족보. 왕실족보. 조선 왕실의 족보는 이외에 1897년에 간행한 『선원록』이 있다. 이 책은 1681년(숙종 7)에서 1931년에 이르기까지 각 왕대에서 부정기적으로 중교(重校), 보간(補刊)해 종신(宗臣)·조신(朝臣)들에게 반포하였다. 계속 중간했던 이유는 왕실의 여러 경조사(慶弔事)로 인해 변경 사항이나 새로운 기재 사항이 생겼기 때문이다. 왕의 즉위·존호(尊號)·휘호(徽號)·시호(諡號)·능호(陵號), 비빈(妃嬪)의 책봉, 왕세자·왕세손의 탄생 등이 주요 추기(追記)사항이었다. 『선원계보기략』은 책의 체재상 두 가지 계통이 있다. 첫째, 1679년(숙종 5)에 착수해 2년 뒤에 완성했던 1책(冊)의 원편(原編)을 대본으로 1700년 중간한 『선원기략속편 璿源紀略續篇』의 계통이다. 이 계통은 대개 1779년(정조 3) 간(刊)까지 포함되고 있으며, 그 체재는 대략 다음과 같다. ① 범례(凡例) : 책의 편찬 방법 및 전편(前編)의 변경 사항. 최초의 7항에서 정조 간에서는 93항으로 증가되었다. ② 선원선계(璿源先系) : 시조(始祖) 신라사공(新羅司空) 이한(李翰)에서 목조(穆祖)까지의 약술(略述), ③ 열성계서도(列聖繼序圖) : 목조에서 편찬 당시의 왕·세자·세손까지 계승도를 수록하였다. ④ 선원세계(璿源世系) : ③의 범위에 해당되는 내외(內外)·소생(所生)에 대한 약술, ⑤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 : 중종 이후 각 파를 형성하는 자손록(子孫錄) 혹은 족보. 영조 연간에 태조 이하 자손록으로 확대 약술, ⑥ 발(跋) : 김석주(金錫胄)의 발문 이후로 계속 덧붙여졌다. 둘째, 1795년에 새로운 체재로 중간한 판본의 계통이다. 이 계통은 그 뒤부터 1931년 이왕직 증수(增修)판본까지 유지되었는데, 그 체재는 대략 다음과 같다. ① 정조어제서(正祖御製序) : 1783년에 지은 것. 이전 판본에는 없었던 서문을 지어 보첩(譜牒) 증수의 의의를 설명하였다. ② 목록, ③ 총서(總序) : 1679년에 초간된 이후 증수, 추기된 사항을 새로 편찬하는 당시까지 연대순으로 나열한 것, ④ 범례 : 앞의 체재와 동일, ⑤ 선원선계 : 앞의 체재와 동일하다. ⑥ 열성계서도 : 앞의 체재와 동일, ⑦ 선원세계 : 앞의 체재와 동일, ⑧ 열성팔고조도(列聖八高祖圖) : 태조 이하 역대왕의 8고조의 도표, ⑨ 선원계보기략 : 역대왕들의 자손록, ⑩ 발문으로 되어 있다. 첫째 계통은 대개 2책에서부터 8책으로 후대로 올수록 늘어난다. 둘째 계통은 21∼28권 8책이다. 이 책자들은 규장각도서와 장서각도서에 있다. 거의 목판본이며 장서각도서에는 사본 또는 간행 연도 미상의 낙질본이 별도로 여러 질 보관되어 있다. 규장각도서보다 장서각도서에 거의 매 왕대의 간본이 갖추어져 있다. 즉, 숙종 연간에 여러 차례 증보 간행했던 판본, 경종 연간의 간행본이 보존되어 있고, 1892년(고종 29) 이후 종친부편의 판본, 광무·융희·이왕직 증보간이 모두 갖추어져 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
북새기략 북관기사 북여요선 (조선 후기의 북방 지리서)

북새기략 북관기사 북여요선 (조선 후기의 북방 지리서)

홍양호, 홍의영, 이범윤, 김노규  | 한국고전번역원
19,000원  | 20181220  | 9788928405732
북방(北方) 지역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가던 조선 후기, 당시 한반도의 최북방인 함경북도는 주거와 농경 지역이 점차 확대되면서 인구가 증가하고 상업이 발달하였다. 조선의 항복으로 끝난 병자호란 이후에도 조선과 청나라 간에 갈등의 불씨는 남아 있었지만, 18세기 초 백두산 정계(定界)에 따라 조선은 백두산 일대와 폐사군(廢四郡) 지역을 확고히 영유할 수 있었고 청나라의 재침에 대한 우려도 불식되었다. 이와 함께 조선의 지식인들 사이에서는 청나라의 학술, 문물, 기술을 적극 받아들여 조선의 경제를 풍요롭게 할 것을 주장하는 북학(北學)의 학풍이 나타났으며 북방의 옛 영토에 대한 관심도 높아져 갔다. 그 관심은 함경북도만이 아니라 백두산 일대와 두만강 너머의 만주 지역을 포함한 옛 강토까지 확장된 것이었다. 그 결과 북방 지역에 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북새기략》, 북관 지역에 관한 여러 정보와 의견을 기록한 《북관기사》, 북간도 지역이 조선의 영토임을 입증하고자 편찬한 《북여요선》이 저술되었다. 이 책들은 조선 후기의 북방에 대한 인식 수준을 알려 줌과 동시에 북방의 역사, 지리, 생활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