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통일/북한관계 > 통일문제
· ISBN : 9788926820971
· 쪽수 : 560쪽
· 출판일 : 2011-04-05
책 소개
목차
서문
제1편 안보
제1장 세계화의 의미와 논쟁
제1절 세계화의 다의성
제2절 세계화 논쟁: 다양한 시각들
제3절 선택인가, 현실인가?
제2장 세계화와 정치적 현실주의
제1절 국가와 세력정치
제2절 국가와 시장
제3장 세계화와 국제정치경제
제1절 개념적 설명
제2절 자유주의적 관점
제3절 세계체계론적 관점
제4절 패권안정이론
제5절 글로벌경제의 미래
제4장 세계화와 국가 그리고 거버넌스
제1절 국가의 조직과 역할
제2절 국가와 정부 그리고 거버넌스
제3절 국가의 변형: 적응과 쇄신
제5장 세계화와 국제체계
제1절 국제체계구조의 본질
제2절 세계화와 미국의 역할
제6장 세계화와 국가안보
제1절 국가안보의 본질
제2절 패권세력과 국가안보
제3절 국가안보의 패러다임
제4절 문명충돌론
제5절 인간안보론
제7장 남북한 관계와 국가안보
제1절 세계화와 한반도
제2절 한반도의 분단과 지속
제3절 한국 안보의 특수성과 가치
제4절 한국의 안보 전략
제5절 역사와 지정학을 넘어서
제8장 한국의 국방력 건설
제1절 안보환경의 불확실성
제2절 국가안보와 국방력
제3절 ‘이데아(Ideas)’와 국가안보
제4절 군, 국가 및 시민사회
제9장 한국의 안보와 외교
제1절 국가안보와 외교
제2절 안보외교의 유형화
제3절 안보외교의 전략기조
제4절 안보외교의 범주
제5절 안보외교의 체계
제2편 평화
제10장 세계화: 평화와 전쟁
제1절 평화 개념의 논의
제2절 평화실현의 방법과 역사
제3절 세계화와 평화
제11장 한반도의 안정과 평화
제1절 평화의 특수성
제2절 평화의 두 트랙(track) 전략
제3절 공존과 정치적 협상
제4절 교류와 소통과 협력
제12장 한반도 평화정착의 과제
제1절 평화정착의 의의
제2절 평화체제의 구축과정
제3절 평화체제의 보장
제13장 한반도 경제공동체의 구상
제1절 평화와 공동체이론
제2절 경제공동체에 대한 논의
제3절 경제공동체의 조건들
제14장 한반도 군비통제와 비핵화
제1절 평화와 군비통제
제2절 한반도의 군비통제
제3절 한반도의 비핵화
제3편 통일
제15장 통일의 의미와 가치
제1절 안보, 평화, 통일
제2절 통일문제의 인식
제3절 민족정체성과 통일
제16장 통일의 전략적 접근법
제1절 기능주의와 신기능주의
제2절 과정적 접근과 제도적 접근
제17장 연합제와 연방제
제1절 개념 및 역사
제2절 남북연합방안
제3절 고려연방제방안
제4절 비교와 한계성
제18장 통일의 이론과 실천
제1절 세계화와 통일
제2절 통일과 민주주의
제3절 통일: 유토피아인가
책의 저술을 끝내면서
참고문헌
색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