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중어중문학
· ISBN : 9788928506439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5-04-10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1장 서론
1. 왜 『삼국지연의』를 연구해야 하는가?
2. 『삼국지연의』 연구사와 연구의 경향
2장 중국의 『삼국지연의』의 성립과 장르 변모
1. 삼국고사의 역사적 기록과 변이
1) 『삼국지』
2) 『삼국지·주』
3) 『자치통감資治通鑒·삼국지』
2. 삼국고사의 희곡적 변용
1) 송대宋代 화본과‘ 설삼분說三分’
2) 원대元代 잡극‘ 삼국희三國戱’와 『삼국지평화三國志平話』
3) 명대明代의 삼국三國 전기傳奇
4) 청대淸代 경극‘ 삼국희’
3. 삼국고사의 소설적 변용
1) 나관중의 『삼국지통속연의三國志通俗演義』
2) 모종강毛宗崗의 『삼국지연의』
3장 한국의 『삼국지연의』의 수용과 장르 변모
1. 『삼국지연의』의 유입과 수용
1) 『삼국지연의』의 유입과 그 배경
2)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의 번역과 개작
2. 『삼국지연의』의 판소리적 변용
1) 판소리 「적벽가」의 이본
2) 「적벽가」의 서사적 특성
3) 「적벽가」의 향유층
3. 『삼국지연의』의 소설적 변용
1) 판소리 사설의 정착본 「화용도」
2) 「화용도」의 서사적 특성
3) 「화용도」의 인물 형상
4) 「화용도華容道」의 표현 기법
4장 경극 「적벽오병」과 판소리 「적벽가」의 비교
1. 경극과 판소리의 공연 방식 편차
2. 「적벽오병」과 「적벽가」의 생성 배경과 전승 방식
3. 두 작품의 서사구조상 특성
4. 두 작품의 인물 형상과 주제
5장 장르 변모를 통해서 본 『삼국지연의』의 문학사적 의의
6장 결론
부록
1.『삼국지연의』의 신화적 모티프 수용
2.『삼국지연의』의‘적벽대전’에 대한 역사적 고찰
3. 조조형상曹操形象의 변모 양상
참고문헌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