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34114444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15-04-27
책 소개
목차
추천사 (이승호 박사: 영남신학대학교 신약학 교수) / 5
시리즈 서문 / 6
저자 서문 / 8
역자 서문 / 9
약어표 / 12
참고문헌 / 13
-서론
1. 히브리서의 수수께끼 / 24
2. 고대 교회에서의 히브리서 / 25
3. 저자 / 30
4. 독자들 / 34
5. 목적지 / 38
6. 연대 / 42
7. 히브리서의 목적 / 47
8. 배경 / 58
9. 히브리서의 신학 / 68
-본문 주석
I. 기독교 믿음의 우월성(1:1-10:18) / 89
1. 아들을 통한 하나님의 계시(1:1-4) / 89
2. 천사들보다 뛰어난 아들의 우월성(1:5-2:18) / 104
1) 그리스도는 그의 본성에서 더 우월하다(1:5-14)
2) 표류하지 말라는 권면(2:1-4)
3) 예수님의 겸비와 영광(2:5-9)
4) 사람을 위한 예수님의 사역(2:10-18)
3. 모세보다 뛰어난 예수님의 우월성(3:1-19) / 142
1) 종 모세와 아들 예수님(3:1-6)
2) 모세 아래 있던 하나님의 백성의 실패에 대한 강조 (3:7-19)
4. 여호수아보다 뛰어난 예수님의 우월성(4:1-13) / 162
1) 여호수아가 확보할 수 없었던 더 큰 안식(4:1-10)
2) 그 안식을 추구해야 하는 절박성(4:11-13)
5. 우월한 대제사장(4:14-9:14) / 176
1) 우리의 위대한 대제사장(4:14-16)
2) 아론과의 비교(5:1-10)
3) 도전적인 막간(5:11-6:20)
4) 멜기세덱의 계열(7:1-28)
5) 새 언약의 사역자(8:1-13)
6) 새 질서의 더 큰 영광(9:1-14)
6. 중보자(9:15-10:18) / 279
1) 그의 죽음의 의의(9:15-22)
2) 그는 하늘 성소에 들어갔다(9:23-28)
3) 그는 다른 사람들을 위해 자신을 제물로 드렸다(10:1-18)
II. 권면(10:19-13:25) / 308
1. 신자의 현재 상황(10:19-39) / 308
1) 새롭고 살아 있는 길(10:19-25)
2) 또 하나의 경고(10:26-31)
3) 과거 경험의 가치(10:32-39)
2. 믿음(11:1-40) / 330
1) 믿음의 본질(11:1-3)
2) 과거의 본보기(11:4-40)
3. 훈육과 그 유익(12:1-29) / 364
1) 훈육의 필요성(12:1-11)
2) 도덕적인 불일치를 피하라(12:12-17)
3) 새 언약의 유익(12:18-29)
4. 결론적인 충고(13:1-25)·393
1) 사회 생활과 관련된 권면(13:1-3)
2) 개인 생활과 관련된 권면(13:4-6)
3) 신앙 생활과 관련된 권면(13:7-9)
4) 기독교의 새 제단에 대하여(13:10-16)
5) 결어(13:17-25)
책속에서
이 책은 다양한 이유로 신약성경의 다른 어느 책보다도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연구자가 반드시 제기하는 질문들 가운데 많은 질문이 만족스럽게 해결될 수 없다. 이 책은 누가 기록했는가? 원래의 독자들은 누구였는가? 이 책은 정확하게 어떤 역사적 상황에서기록되었는가? 언제 기록되었는가? 이 책의 주요한 배후의 영향은 무엇이었는가? 이 질문들은 (비록 어떤 것은 다른 것처럼 그렇게 많이 애매하지는 않더라도) 확실하게 대답할 수 없는 질문들 중의 일부이다.
히브리서는 그리스도의 사역을 아론 계열의 제사장직의 관점에서 묘사하는 클레멘트에게 특별한 호소력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비록 그가 히브리서의 저자와는 아주 다른 접근 방식을 취하더라도 말이다. 이렇게 이른 시기에 클레멘트가 히브리서를 중시한 것은 그 이후 시기의 서방 교회들이 히브리서를 무시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더더욱 두드러진다. 히브리서는 4세기 말에 이르러서야 이 교회들의 인정을 받게 되었다.
히브리서 저자가 강조하는 것은 이 말이 예수님에게는 적용되지만 천사에게는 적용될 수 없다는 것이다. 만약 하나님이 메시아에게 이런식으로 말씀하신다면, 메시아는 천사들보다 더 우월해야 한다. 그러나 오늘 내가 너를 낳았다는 말은 어떤 의미로 이해해야 하는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