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현대사회문화론
· ISBN : 9788944984570
· 쪽수 : 300쪽
· 출판일 : 2020-08-26
책 소개
목차
제1부 다문화사회에 대한 이해
제1장 서론/들어가면서 ·14
제2장 유럽 다문화사회의 위기와 시사점 ·18
1. 난민 유입문제의 복합성 ·18
2. 난민·다문화사회 위기의 시사점 ·22
제3장 한국 난민현황과 제주 예멘난민 사태의 교훈 ·27
1. 한국의 난민 현황과 법제도 ·27
2. 제주 예멘 난민 사태의 교훈 ·45
제4장 다문화주의의 이해 ·55
1. 다문화주의의 등장 배경 ·55
2. 다문화주의의 개념과 유형 ·60
3. 다문화주의의 이론과 비판 ·73
제5장 민족의 정체성과 다문화 역사 ·82
1. 머리말 ·82
2. 민족 정체성과 다문화주의·83
3. 한반도 역사 속의 다문화 이야기 ·86
4. 맺음말 ·92
제6장 다문화사회 형성과 다문화정책 ·93
1. 다문화사회의 형성과정 ·93
2. 이민정책과 다문화정책 ·100
제2부 한국 다문화사회의 적용
제7장 노동이주 정책의 전개와 과제·122
1. 머리말 ·122
2. 이주노동자 개념과 현황 ·123
3. 이주노동자 정책의 변화와 과제 ·128
4. 맺음말 : 이주노동자 정책의 방향 ·138
제8장 결혼이민자 및 다문화가족 지원 현황과 과제·140
1. 머리말 ·140
2. 결혼이민자의 정의와 제도적 장치 ·141
3. 결혼이민자의 현황과 다문화가족의 문제점 ·147
4. 맺음말 : 결혼이주민과 다문화가족의 사회적응 ·161
제9장 탈북이주민의 현황과 정책: 보호에서 자립·자활에로·162
1. 머리말 ·162
2. 탈북이주민의 개념과 현황 ·163
3. 탈북이주민 정책의 변화와 과제 ·173
4. 맺음말 : 탈북이주민 정책의 방향 ·182
제10장 다문화가정의 교육지원 실태와 개선방안·184
1. 머리말 ·184
2. 다문화교육의 이해 ·185
3. 다문화교육의 실태 ·187
4. 맺음말 : 다문화교육의 개선방안 ·192
제11장 결론:‘포용적’다문화사회로의 패러다임 전환·194
※부록 1. 난민문제와 EU의 위기: EU의 위기관리에 관한 비판적검토 ·202
※부록 2. EU의 이민자 사회통합 위기와 종합정책적 시사점 ·236
※부록 3. 제주 예멘 난민사태와 인간안보 ·270
※본문참고문헌 ·293
※색인 · 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