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도시계획

도시계획

(개정)

박병주, 김철수 (지은이)
형설출판사
2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개 12,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도시계획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도시계획 (개정)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도시/환경공학 > 도시계획/설계
· ISBN : 9788947231725
· 쪽수 : 413쪽
· 출판일 : 2013-03-19

책 소개

1990년 8월에 처음 출판되었던 내용에다 그동안 발전된 도시계획이론과 자료 및 개정된 관련법에 등을 대폭 수정.보완한 것으로서, 주요내용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분되어 모두 12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목차

제1편 도시형성과 발달과정

제1장 도시론 17
1.1 도시의 개념과 본질 18
1.1.1 인구.시설적 측면/18 1.1.2 행정적 측면/19
1.1.3 사회.문화적 측면/20 1.1.4 기능적 측면/20
1.2 도시의 분류 21
1.2.1 인구규모에 의한 분류/21 1.2.2 기능에 의한 분류/22
1.2.3 기타 도시성격에 의한 분류 /23
1.3 도시공간의 구성요소와 범위 23
1.3.1 도시공간의 구성요소/23 1.3.2 도시공간구조의 형성요인과 과정/24
1.3.3 도시공간구조의 제이론/27 1.3.4 도시공간의 변화와 성장패턴/29
1.3.5 도시의 구역/29 1.3.6 광역도시권 /30
1.4 도시화와 도시문제 33
1.4.1 도시화 현상/33 1.4.2 현대도시의 출현과 성격/34
1.4.3 현대도시의 문제와 과제/35
제2장 서양도시의 형성과 발달 37
2.1 도시의 기원과 발달요인 38
2.1.1 도시의 기원/38 2.1.2 도시의 발달요인/38
2.2 산업혁명이전의 도시발달 40
2.2.1 고대도시의 성립/40 2.2.2 그리스와 로마도시/42
2.2.3 중세도시 /46 2.2.4 근세도시 /48
2.3 산업혁명과 근대도시의 발달 51
2.3.1 산업도시형성의 배경/51 2.3.2 도시성장과 도시문제의 대두/51
2.3.3 근대도시계획의 배경/52 2.3.4 미국도시의 발달과 특징/53
2.4 현대도시의 발전과 도시계획 56
2.4.1 선상도시와 전원도시/57 2.4.2 래드번 시스템과 근린주구론/60
2.4.3 위성도시론과 지역계획/62 2.4.4 콜뷔제와 CIAM /65
2.4.5 신행정수도계획 /66 2.4.6 독시아디스와 ENTOPIA /69
2.4.7 건축가 그룹의 활동/71
제3장 동양도시의 발달과 특징 73
3.1 중국도시의 발달 74
3.1.1 고대도시의 성립과 발달/74 3.1.2 중세도시 /76
3.1.3 근세도시 /77 3.1.4 근대도시 /79
3.1.5 현대도시의 발달과 도시계획/80
3.2 일본도시의 발달 82
3.2.1 고대도시의 성립과 발전/82 3.2.2 중세도시 /83
3.2.3 근세도시와 죠가마찌(城下町) /84 3.2.4 근대도시 /85
3.2.5 현대도시의 발달과 도시계획/87
3.3 동남아 도시의 발달과 특징 88
3.3.1 도시의 성립과 발달과정/88 3.3.2 도시구조적 특징/88
3.3.3 동남아 도시의 역사적 교훈/90
제4장 한국도시의 형성과 발전 91
4.1 도시의 성립과 발달 92
4.1.1 고대취락과 도시의 성립/92 4.1.2 삼국.통일신라시대의 도시/93
4.2 고려시대의 도시 95
4.3 조선시대의 도시 96
4.3.1 조선전기 /96 4.3.2 조선후기 /98
4.3.3 조선시대 도시발달의 특징/100 4.3.4 개항기의 도시변용/101
4.4 일제시대의 도시 103
4.4.1 도시의 성장/103 4.4.2 시구개정과 시가지 정비/103
4.4.3 도시계획과 신시가지 개발/104
4.5 해방후의 도시발달(1945??1960) 105
4.6 1960년 이후의 도시화와 도시계획 106
4.6.1 도시화의 특징과 문제점/106 4.6.2 도시계획제도의 변천/107
4.6.3 신도시 개발/109 4.6.4 신시가지 조성/111
4.6.5 기성시가지 정비/114 4.6.6 도시설계(지구단위계획) /117

제2편 도시계획과 시행

제5장 도시계획의 체계와 내용 121
5.1 도시계획의 이념과 역할 122
5.1.1 도시계획의 개념과 의의/122 5.1.2 도시계획의 이념과 목표/124
5.1.3 도시계획의 내용과 범위/125 5.1.4 도시계획의 역할/127
5.2 국토공간체계와 도시계획 128
5.2.1 우리나라의 공간계획체계/128 5.2.2 국토종합계획 /131
5.2.3 도종합계획 /136 5.2.4 지역계획 /136
5.2.5 부문별계획 /137 5.2.6 농촌계획 /137
5.3 도시계획의 법적 체계 139
5.3.1 도시계획의 법적 체계/139 5.3.2 위계열 도시계획의 성격/142
제6장 도시계획의 입안과정과 지표설정 145
6.1 도시계획의 입안과정 146
6.2 도시계획의 주요내용 147
6.2.1 광역도시계획 /147 6.2.2 도시기본계획 /149
6.2.3 도시관리계획 /154 6.2.4 지구단위계획 /157
6.3 도시계획 조사와 분석 163
6.3.1 도시계획 조사의 의의/163 6.3.2 조사방법 및 내용/163
6.3.3 도시공간정보와 GIS /169 6.3.4 도시발전 잠재력(SWOT 분석) /171
6.4 계획의 목표와 지표설정 171
6.4.1 계획목표 /171 6.4.2 인구지표 /172
6.4.3 경제지표 /177 6.4.4 환경지표 /182
제7장 부문별 도시계획 183
7.1 공간구조의 설정 184
7.1.1 도시의 공간체계/184 7.1.2 공간구조의 기본구상/184
7.2 생활권설정 및 인구배분계획 187
7.2.1 생활권계획의 의의/187 7.2.2 생활권계획의 목표/188
7.2.3 생활권의 단위/189 7.2.4 생활권의 위계와 공공시설/192
7.2.5 생활권설정과 인구배분/193
7.3 토지이용계획 194
7.3.1 토지이용계획의 의의와 내용/194 7.3.2 토지이용의 결정요인과 종류/195
7.3.3 토지이용계획의 수립과정/196 7.3.4 토지공간수요의 예측/197
7.3.5 토지용도별 입지배분/200 7.3.6 토지이용계획의 실현/202
7.4 교통계획 203
7.4.1 도시와 교통/203 7.4.2 도시교통수단의 종류/205
7.4.3 교통계획의 수립과정/207 7.4.4 가로계획과 거주환경/212
7.4.5 도시교통계획의 과제와 방향/218 7.4.6 도시교통의 문제와 대책/221
7.5 기반시설계획 223
7.5.1 도시공공시설의 의의/223 7.5.2 도시기반시설의 종류와 체계/223
7.5.3 시설의 수요추정/224 7.5.4 시설의 배치/226
7.6 공원녹지계획 227
7.6.1 도시 오픈 스페이스의 의의/227 7.6.2 오픈 스페이스 체계의 형성/228
7.6.3 공원녹지의 계획기준/231
7.7 경관계획 235
7.7.1 도시경관의 의의/235 7.7.2 도시경관의 형성과 전개/236
7.7.3 도시경관의 계획기준/237
7.8 환경보전 및 방재계획 238
7.8.1 도시와 환경/238 7.8.2 환경보전계획 /239
7.8.3 방재계획 /241
제8장 도시계획의 시행 및 평가 243
8.1 도시계획구역 244
8.1.1 도시계획구역의 의의/244 8.1.2 도시계획구역의 설정기준/245
8.2 토지이용규제(지역제) 246
8.2.1 지역제의 의의/246 8.2.2 지역.지구.구역의 지정/248
8.2.3 지역.지구.구역 안에서의 행위제한/251
8.3 도시계획사업 256
8.3.1 도시계획사업의 의의 및 종류/256 8.3.2 도시개발사업 /257
8.3.3 토지구획정리사업(환지개발방식) /260 8.3.4 도시.주거환경정비사업 /263
8.3.5 도시계획시설사업 /265
8.4 도시계획시행 관련제도 268
8.4.1 개발행위허가제 /268 8.4.2 기반시설연동제 /269
8.4.3 토지적성평가 /271 8.4.4 환경성검토 /274
8.4.5 교통성검토 /275 8.4.6 토지거래허가 /275
8.5 재 정 276
8.5.1 도시계획과 재원조달/276 8.5.2 재정계획의 수립/277
8.5.3 도시계획과 재정계획/279
8.6 도시계획의 평가.조정 279
8.6.1 계획평가의 개념과 의의/279 8.7.2 계획평가의 유형/280
8.6.3 도시계획의 평가방법/281

제3편 도시개발과 환경조성

제9장 도시의 개발과 관리 285
9.1 신도시개발 286
9.1.1 신도시건설의 의의/286 9.1.2 신도시건설의 변천/287
9.1.3 신도시의 유형/289 9.1.4 외국의 신도시개발사례/290
9.1.5 우리나라의 신도시개발/302
9.2 도시재개발 306
9.2.1 도시재개발의 필요성과 의의/306 9.2.2 도시재개발의 변천과 동향/307
9.2.3 도시재개발의 목적과 유형/309 9.2.4 도시재개발의 수법/310
9.2.5 외국의 도시재개발 사례/311 9.2.6 우리나라의 재개발/315
9.3 도시성장관리와 규제 317
9.3.1 도시성장관리의 의의와 목표/317 9.3.2 우리나라의 도시개발 규제/318
9.3.3 외국의 도시개발제도/318
제10장 주거환경의 정비 323
10.1 주거환경의 제문제 324
10.1.1 인구증가와 주택부족/324 10.1.2 주거수준과 주거환경 문제/325
10.1.3 과밀현상과 스프롤/328
10.2 신주택지의 계획방향 330
10.2.1 주택단지개발의 과제와 방향/330 10.2.2 획지 및 가구/332
10.2.3 생활편익시설 /337 10.2.4 환경친화적 단지계획기법/340
10.3 주거환경의 개발과 정비 342
10.3.1 주거계획이념의 전환/342 10.3.2 고층주택의 거주환경/343
10.3.3 방재성의 향상/345 10.3.4 커뮤니티 중심의 주거환경정비/346
제11장 매력있는 도시공간의 창출 349
11.1 도시의 매력과 경관 350
11.1.1 거대도시의 한계/350 11.1.2 인상적인 도시경관/351
11.2 가로와 도시경관 355
11.2.1 가로의 구성/355 11.2.2 담장과 가로경관/356
11.2.3 간판과 가로경관/357 11.2.4 교통표지판의 정비/358
11.3 보행공간의 창출 358
11.3.1 보행공간의 의의/358 11.3.2 보행공간의 확장/360
11.3.3 보행자천국 /361 11.3.4 쇼핑몰 /362
11.3.5 주택지의 보행자전용도로와 보차공존도로/363
11.4 수변공간의 개발 366
11.4.1 수변공간의 재인식/366 11.4.2 강변 및 해안의 토지이용 변화/367
11.4.3 템즈강변의 황폐와 재생/369 11.4.4 수변공간의 창출/370
11.5 문화공간의 조성 372
11.5.1 열린 문화공간의 의미/372 11.5.2 문화공간의 유형/372
11.5.3 문화거리의 조성/374
11.6 매력있는 도시공간들 376
11.6.1 작은 공간의 효과/376 11.6.2 광장.미니파크 /377
11.6.3 지하공간 /379 11.6.4 옥상공원.화단 /380
제12장 미래 도시비전과 개발방향 381
12.1 21세기의 도시 비전 382
12.1.1 도시화의 전망/382 12.1.2 생활양식의 변모/383
12.1.3 정보화와 도시공간의 변모/383 12.1.4 가상공간의 도시/384
12.2 도시계획의 새로운 패러다임 386
12.2.1 정보화 시대의 도시계획.관리/386 12.2.2 지속가능한 개발/387
12.2.3 도농통합적 계획체계/388 12.2.4 기능통합적 토지이용계획/389
12.2.5 시민참여의 확대/391
12.3 도시의 개발과 환경정비 393
12.3.1 도시개발.정비의 과제와 방향/393 12.3.2 도시공간의 입체화/395
12.3.3 시범도시의 개발/395 12.3.4 도시개성의 창출/ 397
12.3.5 커뮤니티의 재편성/398 12.3.6 도시공간구조와 환경정비/399
12.3.7 공공용지의 확보/401 12.3.8 보행환경의 조성/401

참고문헌 405
찾아보기 410

저자소개

박병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25년 부산 출생 1968~1990년 홍익대 도시계획과 교수 홍익대 공대학장 및 대학원장 역임 서울시 문화상(건설부문).현정국토개발학술상.국민 훈장석류장 수상 대한측량협회장 및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회장 역 임(현, 고문) 중앙도시계획위원회('69~'90).국토건설종합심의위원 회 위원 역임 국토연구원 이사장 등 역임 주요 저서 「한국도시개발계획론」(1985), 일지사 「도시계획」(1990), 형설출판사 「한국의 도시」(1996), 열화당
펼치기
김철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홍익대학교 도시계획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1년 이후 계명대학교에서 도시계획학과 교수와 건축대학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석좌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저서로 「공간과 생활」, 「단지계획」, 「도시공간의 이해」, 「도시공간계획사」 등이 있고, 도시계획 및 단지설계 분야에 많은 논문과 작품이 있다. 전세계 6대륙 70여개 나라의 수많은 도시들을 여행하였으며, 사진찍기와 그림 그리기에 취미를 가지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