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도시/환경공학 > 도시계획/설계
· ISBN : 9788947231725
· 쪽수 : 413쪽
· 출판일 : 2013-03-19
책 소개
목차
제1편 도시형성과 발달과정
제1장 도시론 17
1.1 도시의 개념과 본질 18
1.1.1 인구.시설적 측면/18 1.1.2 행정적 측면/19
1.1.3 사회.문화적 측면/20 1.1.4 기능적 측면/20
1.2 도시의 분류 21
1.2.1 인구규모에 의한 분류/21 1.2.2 기능에 의한 분류/22
1.2.3 기타 도시성격에 의한 분류 /23
1.3 도시공간의 구성요소와 범위 23
1.3.1 도시공간의 구성요소/23 1.3.2 도시공간구조의 형성요인과 과정/24
1.3.3 도시공간구조의 제이론/27 1.3.4 도시공간의 변화와 성장패턴/29
1.3.5 도시의 구역/29 1.3.6 광역도시권 /30
1.4 도시화와 도시문제 33
1.4.1 도시화 현상/33 1.4.2 현대도시의 출현과 성격/34
1.4.3 현대도시의 문제와 과제/35
제2장 서양도시의 형성과 발달 37
2.1 도시의 기원과 발달요인 38
2.1.1 도시의 기원/38 2.1.2 도시의 발달요인/38
2.2 산업혁명이전의 도시발달 40
2.2.1 고대도시의 성립/40 2.2.2 그리스와 로마도시/42
2.2.3 중세도시 /46 2.2.4 근세도시 /48
2.3 산업혁명과 근대도시의 발달 51
2.3.1 산업도시형성의 배경/51 2.3.2 도시성장과 도시문제의 대두/51
2.3.3 근대도시계획의 배경/52 2.3.4 미국도시의 발달과 특징/53
2.4 현대도시의 발전과 도시계획 56
2.4.1 선상도시와 전원도시/57 2.4.2 래드번 시스템과 근린주구론/60
2.4.3 위성도시론과 지역계획/62 2.4.4 콜뷔제와 CIAM /65
2.4.5 신행정수도계획 /66 2.4.6 독시아디스와 ENTOPIA /69
2.4.7 건축가 그룹의 활동/71
제3장 동양도시의 발달과 특징 73
3.1 중국도시의 발달 74
3.1.1 고대도시의 성립과 발달/74 3.1.2 중세도시 /76
3.1.3 근세도시 /77 3.1.4 근대도시 /79
3.1.5 현대도시의 발달과 도시계획/80
3.2 일본도시의 발달 82
3.2.1 고대도시의 성립과 발전/82 3.2.2 중세도시 /83
3.2.3 근세도시와 죠가마찌(城下町) /84 3.2.4 근대도시 /85
3.2.5 현대도시의 발달과 도시계획/87
3.3 동남아 도시의 발달과 특징 88
3.3.1 도시의 성립과 발달과정/88 3.3.2 도시구조적 특징/88
3.3.3 동남아 도시의 역사적 교훈/90
제4장 한국도시의 형성과 발전 91
4.1 도시의 성립과 발달 92
4.1.1 고대취락과 도시의 성립/92 4.1.2 삼국.통일신라시대의 도시/93
4.2 고려시대의 도시 95
4.3 조선시대의 도시 96
4.3.1 조선전기 /96 4.3.2 조선후기 /98
4.3.3 조선시대 도시발달의 특징/100 4.3.4 개항기의 도시변용/101
4.4 일제시대의 도시 103
4.4.1 도시의 성장/103 4.4.2 시구개정과 시가지 정비/103
4.4.3 도시계획과 신시가지 개발/104
4.5 해방후의 도시발달(1945??1960) 105
4.6 1960년 이후의 도시화와 도시계획 106
4.6.1 도시화의 특징과 문제점/106 4.6.2 도시계획제도의 변천/107
4.6.3 신도시 개발/109 4.6.4 신시가지 조성/111
4.6.5 기성시가지 정비/114 4.6.6 도시설계(지구단위계획) /117
제2편 도시계획과 시행
제5장 도시계획의 체계와 내용 121
5.1 도시계획의 이념과 역할 122
5.1.1 도시계획의 개념과 의의/122 5.1.2 도시계획의 이념과 목표/124
5.1.3 도시계획의 내용과 범위/125 5.1.4 도시계획의 역할/127
5.2 국토공간체계와 도시계획 128
5.2.1 우리나라의 공간계획체계/128 5.2.2 국토종합계획 /131
5.2.3 도종합계획 /136 5.2.4 지역계획 /136
5.2.5 부문별계획 /137 5.2.6 농촌계획 /137
5.3 도시계획의 법적 체계 139
5.3.1 도시계획의 법적 체계/139 5.3.2 위계열 도시계획의 성격/142
제6장 도시계획의 입안과정과 지표설정 145
6.1 도시계획의 입안과정 146
6.2 도시계획의 주요내용 147
6.2.1 광역도시계획 /147 6.2.2 도시기본계획 /149
6.2.3 도시관리계획 /154 6.2.4 지구단위계획 /157
6.3 도시계획 조사와 분석 163
6.3.1 도시계획 조사의 의의/163 6.3.2 조사방법 및 내용/163
6.3.3 도시공간정보와 GIS /169 6.3.4 도시발전 잠재력(SWOT 분석) /171
6.4 계획의 목표와 지표설정 171
6.4.1 계획목표 /171 6.4.2 인구지표 /172
6.4.3 경제지표 /177 6.4.4 환경지표 /182
제7장 부문별 도시계획 183
7.1 공간구조의 설정 184
7.1.1 도시의 공간체계/184 7.1.2 공간구조의 기본구상/184
7.2 생활권설정 및 인구배분계획 187
7.2.1 생활권계획의 의의/187 7.2.2 생활권계획의 목표/188
7.2.3 생활권의 단위/189 7.2.4 생활권의 위계와 공공시설/192
7.2.5 생활권설정과 인구배분/193
7.3 토지이용계획 194
7.3.1 토지이용계획의 의의와 내용/194 7.3.2 토지이용의 결정요인과 종류/195
7.3.3 토지이용계획의 수립과정/196 7.3.4 토지공간수요의 예측/197
7.3.5 토지용도별 입지배분/200 7.3.6 토지이용계획의 실현/202
7.4 교통계획 203
7.4.1 도시와 교통/203 7.4.2 도시교통수단의 종류/205
7.4.3 교통계획의 수립과정/207 7.4.4 가로계획과 거주환경/212
7.4.5 도시교통계획의 과제와 방향/218 7.4.6 도시교통의 문제와 대책/221
7.5 기반시설계획 223
7.5.1 도시공공시설의 의의/223 7.5.2 도시기반시설의 종류와 체계/223
7.5.3 시설의 수요추정/224 7.5.4 시설의 배치/226
7.6 공원녹지계획 227
7.6.1 도시 오픈 스페이스의 의의/227 7.6.2 오픈 스페이스 체계의 형성/228
7.6.3 공원녹지의 계획기준/231
7.7 경관계획 235
7.7.1 도시경관의 의의/235 7.7.2 도시경관의 형성과 전개/236
7.7.3 도시경관의 계획기준/237
7.8 환경보전 및 방재계획 238
7.8.1 도시와 환경/238 7.8.2 환경보전계획 /239
7.8.3 방재계획 /241
제8장 도시계획의 시행 및 평가 243
8.1 도시계획구역 244
8.1.1 도시계획구역의 의의/244 8.1.2 도시계획구역의 설정기준/245
8.2 토지이용규제(지역제) 246
8.2.1 지역제의 의의/246 8.2.2 지역.지구.구역의 지정/248
8.2.3 지역.지구.구역 안에서의 행위제한/251
8.3 도시계획사업 256
8.3.1 도시계획사업의 의의 및 종류/256 8.3.2 도시개발사업 /257
8.3.3 토지구획정리사업(환지개발방식) /260 8.3.4 도시.주거환경정비사업 /263
8.3.5 도시계획시설사업 /265
8.4 도시계획시행 관련제도 268
8.4.1 개발행위허가제 /268 8.4.2 기반시설연동제 /269
8.4.3 토지적성평가 /271 8.4.4 환경성검토 /274
8.4.5 교통성검토 /275 8.4.6 토지거래허가 /275
8.5 재 정 276
8.5.1 도시계획과 재원조달/276 8.5.2 재정계획의 수립/277
8.5.3 도시계획과 재정계획/279
8.6 도시계획의 평가.조정 279
8.6.1 계획평가의 개념과 의의/279 8.7.2 계획평가의 유형/280
8.6.3 도시계획의 평가방법/281
제3편 도시개발과 환경조성
제9장 도시의 개발과 관리 285
9.1 신도시개발 286
9.1.1 신도시건설의 의의/286 9.1.2 신도시건설의 변천/287
9.1.3 신도시의 유형/289 9.1.4 외국의 신도시개발사례/290
9.1.5 우리나라의 신도시개발/302
9.2 도시재개발 306
9.2.1 도시재개발의 필요성과 의의/306 9.2.2 도시재개발의 변천과 동향/307
9.2.3 도시재개발의 목적과 유형/309 9.2.4 도시재개발의 수법/310
9.2.5 외국의 도시재개발 사례/311 9.2.6 우리나라의 재개발/315
9.3 도시성장관리와 규제 317
9.3.1 도시성장관리의 의의와 목표/317 9.3.2 우리나라의 도시개발 규제/318
9.3.3 외국의 도시개발제도/318
제10장 주거환경의 정비 323
10.1 주거환경의 제문제 324
10.1.1 인구증가와 주택부족/324 10.1.2 주거수준과 주거환경 문제/325
10.1.3 과밀현상과 스프롤/328
10.2 신주택지의 계획방향 330
10.2.1 주택단지개발의 과제와 방향/330 10.2.2 획지 및 가구/332
10.2.3 생활편익시설 /337 10.2.4 환경친화적 단지계획기법/340
10.3 주거환경의 개발과 정비 342
10.3.1 주거계획이념의 전환/342 10.3.2 고층주택의 거주환경/343
10.3.3 방재성의 향상/345 10.3.4 커뮤니티 중심의 주거환경정비/346
제11장 매력있는 도시공간의 창출 349
11.1 도시의 매력과 경관 350
11.1.1 거대도시의 한계/350 11.1.2 인상적인 도시경관/351
11.2 가로와 도시경관 355
11.2.1 가로의 구성/355 11.2.2 담장과 가로경관/356
11.2.3 간판과 가로경관/357 11.2.4 교통표지판의 정비/358
11.3 보행공간의 창출 358
11.3.1 보행공간의 의의/358 11.3.2 보행공간의 확장/360
11.3.3 보행자천국 /361 11.3.4 쇼핑몰 /362
11.3.5 주택지의 보행자전용도로와 보차공존도로/363
11.4 수변공간의 개발 366
11.4.1 수변공간의 재인식/366 11.4.2 강변 및 해안의 토지이용 변화/367
11.4.3 템즈강변의 황폐와 재생/369 11.4.4 수변공간의 창출/370
11.5 문화공간의 조성 372
11.5.1 열린 문화공간의 의미/372 11.5.2 문화공간의 유형/372
11.5.3 문화거리의 조성/374
11.6 매력있는 도시공간들 376
11.6.1 작은 공간의 효과/376 11.6.2 광장.미니파크 /377
11.6.3 지하공간 /379 11.6.4 옥상공원.화단 /380
제12장 미래 도시비전과 개발방향 381
12.1 21세기의 도시 비전 382
12.1.1 도시화의 전망/382 12.1.2 생활양식의 변모/383
12.1.3 정보화와 도시공간의 변모/383 12.1.4 가상공간의 도시/384
12.2 도시계획의 새로운 패러다임 386
12.2.1 정보화 시대의 도시계획.관리/386 12.2.2 지속가능한 개발/387
12.2.3 도농통합적 계획체계/388 12.2.4 기능통합적 토지이용계획/389
12.2.5 시민참여의 확대/391
12.3 도시의 개발과 환경정비 393
12.3.1 도시개발.정비의 과제와 방향/393 12.3.2 도시공간의 입체화/395
12.3.3 시범도시의 개발/395 12.3.4 도시개성의 창출/ 397
12.3.5 커뮤니티의 재편성/398 12.3.6 도시공간구조와 환경정비/399
12.3.7 공공용지의 확보/401 12.3.8 보행환경의 조성/401
참고문헌 405
찾아보기 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