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 일반
· ISBN : 9788947542098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17-05-30
책 소개
목차
발간사
머리말
1장 기업구조조정의 제도와 틀
기업부실과 기업구조조정의 의의
기업구조조정제도 분석: 워크아웃절차와 회생절차
2장 기업의 부실화 과정과 실패 사례
기업의 부실화 개요
부실 원인에 따른 사례
기업주가 주의해야 할 경영 판단 요인
기업주가 반드시 사전 파악해야 하는 기업의 부질징후들
3장 부실기업 재건 사례: 채무 조정과 갱생에 성공한 기업들
사모펀드 자금 유치를 통한 기업 갱생
사모펀드의 채권 매집으로 회생기업 정상화
상생할 수 있는 변경회생계획안을 통한 기업 갱생
주요 채권자들의 회생절차 참여 유도를 통한 기업 갱생
구조조정 전문가의 기업 분석을 통한 기업 갱생
담보권자의 출자전환을 통한 경영 정상화
경영 위기를 회생절차로 극복, 경영권 승계 성공
기업분할을 통한 기업 갱생
의료재단의 신규출연자 유치를 통한 갱생
골프장 정상화 사례
4장 기업회생을 제대로 준비하는 법
기업회생절차를 제대로 활용하는 법
기업회생, 이렇게 하면 실패한다
회생 성공률을 높이는 회생계획안 작성 요령
5장 경영 위기에서 정상화까지 한계기업의 대처 방안
경영 위기 단계별 대처 전략
회생계획의 재구성과 사업계획 수립
회생기업의 정상화를 위한 전략
회생기업의 M&A
기업 친화적 기업구조조정 프로그램 소개
6장 기업회생절차의 발전 방향
채무자회생법 이전의 제도
회생절차의 새로운 패러다임
기업구조조정 자본시장의 조성
저자소개
책속에서
한계기업이란, 존속에 필요한 적정 규모의 이익을 창출하기 어려운 기업으로서 3년 연속 이자보상비율이 100% 미만인 기업을 말한다(출처: 한국은행 금융안정보고서). 즉, 이자비용을 영업이익으로 감당할 수 없는 채무불이행 상태가 3년째 지속됐다는 의미로 잠재적 부실기업이라는 뜻이다.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이하‘자본시장통합법’) 에서는 부실기업, 한계기업 등의 의미를 재무구조개선기업이라고 명칭하고 있다.
-P22
부실에 이르게 되는 기업들은 재무적 문제로 부실에 이르게 되지만, 면밀히 관찰해보면 문제의 발단은 보다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서 재무적 문제가 본격적으로 불거지기 휠씬 이전부터 진행되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부실의 징후들은 특정 시점이나, 특정 요소에 국한되기보다는 상당 기간 동안 다양하고도 복합적인 요인들이 상호작용된 결과로 나타난다. 따라서 기업주들은 다양한 시각에서 부실징후들을 파악해야 한다.
-P43
회생절차를 처음 접하는 부실기업들의 대부분은 일단 회생계획안이 통과되어야만 부도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기 때문에 채권자들이 영업현금 창출 능력을 벗어난 회생계획안을 요구하더라도 어쩔 수 없이 수용할 수밖에 없다. 결국 비현실적인 회생계획안이 통과되어도 2~3년 이내의 원금 변제기일이 도래되면 이를 이행하지 못하고 회생
절차가 폐지될 위기에 봉착하게 된다. 이를 모면하기 위해서 변경회생계획안을 통해 다시 한 번 기회를 부여받을 수는 있으나, 단순한 회생계획안 변경은 대부분 채권자들의 반대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벌처펀드 등의 엔젤투자자의 조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기업은 최초 회생계획안 인가에 안주하지 말고 향후 회생계획안 변경을 위한 조력자의 모색이 필요하다.
-P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