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과학의 이해 > 과학사/기술사
· ISBN : 9788953296862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06-09-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과학사 여행을 떠나면서
제1장 고대 과학과 로마 과학
1 이집트와 바빌로니아 과학 - 실용적 목적에서 출발한 과학문명
2 서양학문의 시조, 그리스 과학 - 철학적 사유에서 과학적 활동으로
3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철학
4 헬레니즘 시기의 과학
5 로마 과학과 고대 과학의 쇠퇴
제2장 이슬람 과학과 중세 과학
1 이슬람 과학 - 동서양의 과학을 연결하다
2 십자군 전쟁과 중세유럽의 과학 - 유럽에서 새로운 과학이 시작되다
제2장 르네상스와 과학혁명
1 르네상스 시대의 과학 - 그리스 과학이 부활하다
2 과학혁명이 시작되다, 천문학혁명 - 새로운 패러다임, 태양중심설
3 천상에서 지상으로, 역학혁명 - 근대 역할이 출현하다
4 하비와 생리학혁명 - 인체 혈액순환의 발견
5 근대적 과학 방법의 확립 - 새로운 세계관과 과학 방법의 출현
6 과학단체의 출현과 새로운 과학 활동 - 과학자들을 위한 단체 탄생
7 뉴턴주의와 계몽주의 - 시느이 영역에 도전한 뉴턴
제4장 18, 19세기 과학 및 현대과학
1 라부아지에와 근대 화학혁명 - 연금술에서 화학으로
2 지질학의 황금시대 - 지구의 역사를 찾아서
3 다윈의 진화론과 생물학의 발전 - 종의 변화와 진화론
4 과학의 전문직업화와 과학 연구 - 아마추어 과학에서 전문가 과학으로
5 산업혁명과 과학기술 - 과학과 기술의 만남
6 열역학과 전자기학의 성립 - 물리학적 세계관의 통합
7 의학과 생물학 분야의 전문화 - 실험적 방법과 생물학의 만남
8 20세기 현대 과학의 발전 - 미시세계와 새로운 과학
과학사 연표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뉴턴의 사과나무 일화는 누구나 잘 알고 있는 이야기이나 그 이야기를 알고 있는 사람들 중 사과나무 아래에서 일어난 당시의 사건이 왜 중요한지에 대해 알고 있는 경우는 드물다. 17세기에 과학자들이 가장 중요하게 다루던 문제는 "달이 어떻게 지구 주위를 돌 수 있는가?" 혹은 "행성이 어떤 힘의 법칙에 의해 타원 궤도를 돌고 있는가?"이다.
당시에 케플러가 케플러 법칙을 통해 행성의 운동이 어떤 모습인지에 대해 밝혔으나, 그 후 오랫동안 행성의 운동이 일어나는 물리적 원인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경우는 없었다. 캐플러가 그 원인으로 태양이 발산하는 자기적 현상을 설명했으나 사람들의 호응을 얻지 못했을 정도였다.
그러한 상황에서 뉴턴은 그 답으로 사과가 낙하하는 모습에서 힌트를 얻어 만유인력을 제시했다. - 본문 192쪽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