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과학의 이해 > 과학고전
· ISBN : 9788955866278
· 쪽수 : 160쪽
· 출판일 : 2020-09-10
목차
머리말
제1장 저자에 대하여
제2장 『과학혁명의 구조』의 배경이 된 과학철학
1. 논리실증주의와 ‘수용된 견해’
2. 칼 포퍼의 반증주의
제3장 『과학혁명의 구조』 읽기
1. 서론: 역사의 역할
2. 정상과학에로의 길
3. 정상과학의 성격
4. 퍼즐 풀이로서의 정상과학
5. 패러다임의 우선성
6. 이상 현상 그리고 과학적 발견의 출현
7. 위기 그리고 과학 이론의 출현
8. 위기에 대한 반응
9. 과학혁명의 성격과 필연성
10. 세계관의 변화로서의 혁명
11. 혁명의 비가시성
12. 혁명의 해결
13. 혁명을 통한 진보
제4장 추가 ― 1969
1. 패러다임과 과학자 사회의 구조
2. 집단 공약의 집합으로서의 패러다임
3. 공유된 예제로서의 패러다임
4. 묵시적 지식과 직관
5. 표준례, 동일 표준상 비교 불능성 그리고 혁명
6. 혁명의 상대주의
7. 과학의 성격
후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과학 발전 과정에 대한 혁신적인 분석을 담은 『과학혁명의 구조』는 과학사와 과학철학 분야에 큰 충격을 주었다. 책이 출간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이 책의 내용을 주제로 한 학회가 여러 곳에서 열렸던 것만 보아도 이 책이 준 충격을 짐작할 수 있다.
서문에서 특히 눈이 띄는 부분은 쿤이 … 주로 사회학자들로 구성된 공동체에서 생활하면서 사회과학을 전공하는 사람들과 자연과학을 전공하는 사람들로 이루어진 사회의 차이를 체험한 것이 자신의 과학혁명 이론을 구체화하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고 설명해 놓은 부분이다.
일단 패러다임이 확립되면 과학자들은 패러다임 자체를 정당화하기 위한 연구는 하지 않아도 된다. 그런 일은 교과서 저자들이 할 일이다. 교과서가 만들어지면 연구자들은 교과서가 끝나는 곳에서 연구를 시작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