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기초과학/교양과학
· ISBN : 9788956051857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07-06-15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우주와 인간 사이에 질문을 던지며
1부 우주, 그 거대한 물음표
01 우주대폭발의 흔적은 아직 남아 있는가 이명균
02 밤하늘의 무수한 별은 우리에게 어떤 메시지를 들려주는가 정무광
03 우주는 얼마나 무거운가 김정욱
04 우주에는 우리만이 살고 있을까 박석재
05 우주를 지배하는 '궁극의 자연법칙'은 존재하는가 최기운
2부 자연, 과학의 시선이 머물다
06 지구 내부는 어떤 모습일까 조문섭
07 수학은 자연이 만들어내는 패턴 속의 질서를 드러낼 수 있을까 김홍종
08 초끈이론은 우주 만물의 이론인가 이수종
09 시간이란 무엇인가 김성원
3부 생명, 그 경이로움을 해부하다
10 생명은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천종식
11 유전자는 우리의 운명을 지배하는가 유향숙
12 생명공학은 인간의 모습을 어떻게 바꾸어놓을까 유장렬
13 단백질 구조의 변신은 유죄인가 무죄인가 유명희
14 진화는 진보적인가 전중환
15 공룡을 둘러싼 논쟁 언제쯤 끝날까 이용남
4부 과학, 논쟁 속에서 진검승부를 하다
16 과학은 신의 존재를 증명할 수 있을까 박희주
17 동양의 정신문명은 서양의 과학문명과 만날 수 있는가 양형진
18 한국 의학과 동아시아의 '세계화'란 무엇인가 이종찬
19 초심리학의 세계란 무엇인가 맹성렬
20 과학적인 것은 언제나 객관적이고 합리적인가 오세정
21 생물정보학의 '근본적인' 전망은 무엇인가 이상엽, 이동엽
5부 인간, 그들의 발자국을 더듬다
22 한국인은 어디에서 왔는가 김욱
23 물질은 어떻게 마음을 창조했나 김재진
24 과학이 사회현상을 설명할 수 있을까 정하웅
25 예술 활동은 인간만의 영역인가 정재승
26 인공지능은 인간지능을 앞지를 것인가 양현승
27 정신질환은 마음에서 오는가, 뇌에서 오는가 권준수
에필로그 과학은 모든 의문에 답할 수 있는가 장회익
리뷰
책속에서
외계인이 있든 없든 외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매우 중요하다. 우리국민들은 미국의 CIA 요원이 외계인을 추적했다고 하면 고개를 끄덕이면서도, 우리 국가정보원 요원이 외계인을 추적했다고 하면 코웃음을 친다. 우리의 인식 속에서 외계인은 꼭 백인 어린이가 만나야지 우리나라 어린이가 만나면 안 되는 것이다. 이런 수준을 넘지 못하면 우리는 외계에 대한 올바른 인식에 이를 수 없을 것이다.-p41 중에서
현대과학은 세상이 상호연관과 의존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광범위한 증거를 제시한다. 상호연관과 상호의존의 구조로 이루어진 우주 속에서 살아가는 우리는 스스로의 힘만으로 살아갈 수 있는 존재가 아니기 때문에 세상의 다른 모든 것과 인연을 맺으면서 살아간다. 지금 이 순간에도 우리는 우주 안에 존재하는 모든 것과 더불어 살아간다. 그 모든 것이 지금의 우리를 있게 하고, 우리가 또 그 모든 것을 있게 한다는 것은 우리가 사는 우주의 존재 법칙이다.-p166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