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우리말사전
· ISBN : 9788956390741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05-09-20
책 소개
목차
고조선시대
결초보은(結草報恩) 고수레 공주(公主) 교활(狡猾) 군(君)과 양(孃) 굿과 무당 금실(琴瑟)-이 좋다 단오(端午) 도탄(塗炭)-에 빠지다 모순(矛盾) 박사(博士) 반지(斑指) 백년하청(百年河淸) 봉건(封建) 부인(夫人)과 유인(孺人)과 부인(婦人)과 처(妻) 북망산(北邙山) -가다 분야(分野) 및 28수[宿] 비녀 비단(緋緞) 빈축(嚬蹙)-을 사다 사대부(士大夫) 사면초가(四面楚歌) 사직(社稷)과 종묘(宗廟) 상인(商人) 서민(庶民) 소설(小說) 및 소설가(小說家) 수저-숟가락과 젓가락 숙맥(菽麥) 심상(尋常)-치 않다 십간(十干), 십이지(十二支) 쌀 아킬레스건(Achilles 腱) 여사(女史) 오십보백보(五十步百步) 우물 안 개구리 쟁기 조장(助長)-하다 조카 차이나(China) 팔등신(八等身) 황제(皇帝), 제(制), 조(詔), 짐(朕), 옥새(玉璽) 횡설수설(橫說竪說)-하다
부족국가~통일신라시대
가마 가시나 가야금(伽倻琴) 가위와 바늘 가지 가톨릭(Catholic), 천주교, 서학(西學) 간장, 된장 갓 갖신 거문고 격구(擊毬) 씨름 고아(孤兒) 고희(古稀) 공양(供養) 공화국(共和國) 국수(國手) 국어(國語) 국화(菊花) 군계일학(群鷄一鶴) 귤(橘) 기우(杞憂) 대감(大監) 대구(大丘)와 대구(大邱) 만두(饅頭) 모란(牡丹) 무색(無色)-하다 백미(白眉) 보리 부처 불야성(不夜城) 사(寺) 야합(野合)-하다 역사(歷史) 연(鳶) 오리무중(五里霧中) 오이 옥편(玉篇) 완벽(完璧)-하다 유리(琉璃) 인삼(人參), 인삼(人蔘), 심 자석(磁石) 장기(將棋) 점심(點心) 조강지처(糟糠之妻) 종이 차(茶) 차례(茶禮) 출신(出身) 퇴고(推敲)-하다 파죽지세(破竹之勢) 파천황(破天荒) 한양(漢陽)·한성(漢城)·경성(京城)·서울·서우얼(首爾)→서울 해어화(解語花) 효시(嚆矢)
고려시대
감투 검열(檢閱) 경기(京畿) 계(契) 『계림유사』에 등재된 우리말 과거(科擧) 과자(菓子) 국수 김치 나침반(羅針盤) 만두(饅頭) 모시 무 무명 물레 미장이 바둑 배추 보라 복마전(伏魔殿) 불꽃놀이 사돈(査頓) 상추 샌님 설렁탕 설탕 소주(燒酒) 속담(俗談) 수라(水刺) 수박 시치미-떼다 약방(藥房) 양반(兩班) 엽전(葉錢) 율무 족두리 중구난방(衆口難防) 지폐(紙幣) 철면피(鐵面皮) 총(銃) 콩나물 퇴짜(退字)-를 놓다 파경(破鏡) 호두나무 화약(火藥) 환갑잔치 후추
조선시대
가게 깍쟁이 감자 강냉이·옥수수 개평 개피떡 객주(客主) 거덜-나다 검시관(檢屍官) 경치다(?-치다) 고구마 고추 곤장(棍杖) 기별(奇別)-하다 기생(妓生) 낙관(落款)-을 치다 낙동강(洛東江) 담배 당근 대원군(大院君) 대책(對策) 도루묵 도무지 동동주 두문불출(杜門不出) 두부(豆腐) 땅콩 땡전 땡추 막걸리 망나니 메리야스 모내기 목화(木花) 백색 테러(白色 terror) 백일장(白日場) 보모(保姆)·유치원 교사 보부상(褓負商) 봉사(奉事) 빈대떡 사이렌(siren) 샴페인(Champagne) 색주가(色酒家) 샌드위치(sandwich) 서커스(circus) 선달(先達) 섭씨(攝氏) 소방서(消防署)·금화도감(禁火都監) 수청(守廳)-들다 숙주나물 술래 시계(時計, 자명종) 시금치 시조(時調) 실루엣(silhouette) 아편(阿片) 안경(眼鏡) 어사화(御賜花) 어음 영감(令監) 옹고집(壅固執) 원숭이와 잔나비와 납 이판사판(吏判事判) 잡동사니(雜 ― 동사니) 전당포(典當鋪) 족보(族譜) 좌익(左翼) 주일학교(主日學校, sunday school) 차비(差備)-를 하다 청국장(淸麴醬) 촌수(寸數) 취재(取材)-하다 쾌지나 칭칭 나네 탄핵(彈劾) 탕평채(蕩平菜) 토마토(tomato) 판소리 팔도(八道) 팥죽 푼돈 한글·훈민정음 한량(閑良) 함흥차사(咸興差使) 행주치마 호로(胡虜)-새끼 화냥년 흥청거리다
개화기
가마니 가발(假髮) 가방 간호사(看護士)·간호원(看護員)·간호부(看護婦) 갈보 고무 광고(廣告) 교복(校服) 교회(敎會) 구두 초등학교(初等學校) 극장(劇場) 기자(記者) 노다지 다방(茶房) 대통령(大統領) 동물원(動物園) 두루마기 딸기 레미콘 레코드 마고자 마누라 미역국을 먹다 바가지 쓰다 박물관(博物館) 백화점(百貨店) 변호사(辯護士) 병원(病院) 보육원(保育院) 보이콧(boycott) 보험(保險) 비누 사과나무 사상의학(四象醫學) 사이다(cider) 사진(寫眞) 상수도(上水道) 상표(商標) 상호(商號) 서양음악(西洋音樂) 서점(書店) 선교사(宣敎師) 성냥 시멘트(cement) 신문(新聞) 아까시 혹은 아카시아(acacia) 양배추 양복(洋服) 양복점(洋服店) 양산(陽傘) 언니 여관(旅館) 열차(列車) 영화(映畵) 오빠 올케 우체국(郵遞局) 우체부(郵遞夫)·집배원 우편엽서(郵便葉書) 우표(郵票) 운동회(運動會) 원(元), 원(圓), 환(?), 원 유도(柔道) 유리창(琉璃窓) 유성기(留聲機) 유치원(幼稚園) 은행(銀行) 을씨년스럽다 의사(醫師) 이발사(理髮師) 인력거(人力車) 전등(電燈) 전보(電報) 전차(電車) 전화(電話) 조끼 카메라(사진기) 칸델라(kandelaar) 커피(coffee) 통조림 특허(特許) 피아노(piano) 호텔(hotel) 화랑(畵廊) 화투(花鬪)
일제강점기
고무신 공중전화(公衆電話) 공항(空港) 광복군(光復軍) 권투 그, 그녀 단발머리 대하소설(大河小說) 대학(大學) 댐(dam) 라디오(radio) 로봇(robot) 마라톤(marathon) 마지노선(Maginot 線) 만화(漫畵) 맥주(麥酒) 목욕탕(沐浴湯) 몸뻬 미장원(美粧院) 방송(放送) 배구(排球) 버스(bus) 변사(辯士) 분(粉) 비행기(飛行機) 비행장(飛行場) 선술집 수영복 수표(手票) 승용차(乘用車) 신파극(新派劇) 십팔번(十八番) 아나운서(announcer) 아파트 야시장(夜市場) 야학(夜學) 양로원(養老院) 어린이 영화배우(映畵俳優) 운동화(運動靴) 유성영화(有聲映畵) 장구춤 조종사(操縱士) 중국(中國) 지퍼(zipper, slide fastener) 카네이션(carnation) 타자기(打字機) 탁아소(託兒所) 택시(taxi) 파마(permanent) 하숙(下宿) 함바(はんば)
광복 이후
가구(家口) 경운기(耕耘機) 계엄(戒嚴) 고등학교 고문관(顧問官) 고속도로(高速道路) 공해(公害) 광통신(光通信) 국제원자력기구(IAEA: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기네스북(The Guinness Book of Records) 나일론(Nylon) 냉장고(冷藏庫) 녹음기(錄音器) 두유(豆乳) 라면 레크리에이션(recreation) 미네랄워터(mineral water)·광천수 미니스커트(mini skirt) 바코드(bar code) 방송광고(放送廣告) 배드민턴(badminton) 버스 토큰(bus token)·교통카드 병아리 감별사 보호감호소(保護監護所) 복권(福券) 볼링(bowling) 볼펜(ballpen) 분유(粉乳) 비닐하우스(vinyl house) 비무장지대(非武裝地帶) 비키니(bikini) 삐삐 사물놀이 사쿠라 생활보호법(生活保護法) 샴푸(shampoo) 서머타임 서울→한양(漢陽)·한성(漢城)·경성(京城)·서우얼(首爾) 선거(選擧) 세탁기(洗濯機) 슈퍼마켓(supermarket) 시험관 아기 신용카드(credit card) 신장이식(腎臟移植) 씨팔 혹은 씹할 약사(藥師) 양궁(洋弓) 에어로빅(aerobic) 연립주택(聯立住宅) 연탄(煉炭) 연필(鉛筆) 예비군(豫備軍) 오토바이(autobi) 오피스텔(Officetel) 우루과이라운드(Uruguay Round) 우편번호(郵便番號) 원자력발전(原子力發電) 위성통신(衛星通信) 유선방송(有線放送) 유전공학(遺傳工學) 육군(陸軍) 윤중제(輪中提) 의료보험·건강보험 인구시계탑(人口時計塔) 점보제트기(jumbo jet 機) 제야(除夜)의 종 주민등록증(住民登錄證)·도민증(道民證)·호패(號牌·戶牌) 지구촌(地球村) 지프(jeep) 지하철(地下鐵) 청양고추 청와대(靑瓦臺)·경무대(景武臺)·미군정장관 관저·일제 총독 관저 체육관(體育館) 치약(齒藥) 컴퓨터(computer) 컴퓨터 바이러스(computer virus) 컴퓨터 통신(인터넷) 콘도미니엄(condominium) 크리스마스(Christmas) 탤런트(talent) 텔레비전(television) 텔레비전 방송 트위스트(twist) 판탈롱(pantaloon) 패스트푸드 체인점(fast food chain 店) 편의점(便宜店, convenience store) 한의학(韓醫學) 합성세제(合成洗劑)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형광등(螢光燈)
책속에서
완벽(完璧)-하다
생성시기 - 중국 한나라, 서기전 91년(무제2년)
나이 - 약 2096살
유래 - 춘추전국시대에 유명한 보석 '화씨의 벽'을 말한다. 초나라 백성이 처음 발견한 이 '화씨의 벽'이 흘러흘러 조나라에 들어갔는데, 이를 탐낸 진나라 왕이 땅과 보석을 바꾸자고 꾀었다. 힘이 약한 조나라는 할 수 없이 인상여라는 사람에게 보석을 갖다 주고 땅을 받아오라고 했다. 하지만 진나라 왕은 보석만 받고 땅을 주지 않았다. 이에 인상여는 보석에 흠이 있다면서 달라고 하여 일단 받아든 다음 진나라가 땅을 주지 않으면 보석을 땅에 던져 산산조각내겠다고 왕을 위협했다. 그러고는 왕이 며칠간 목욕재계를 한 다음 보석을 인수인계하자고 하여, 진나라 왕이 목욕재계를 하는 동안 진나라를 탈출하여 보석을 빼앗기지 않았다. 이때 보석을 하나도 손상시키지 않고 원래 그대로 완벽(完璧)을 가져왔다고 하여 이때부터 쓰이기 시작했다. <사기>, '인상여열전(藺相如烈傳)'에 나온다.
- 본문 86쪽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