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국문학사/국문학개론
· ISBN : 9788956404738
· 쪽수 : 302쪽
· 출판일 : 2006-09-10
목차
책머리에
[ 제1부 ]
제1장 한국 현대시에 투영된 전통문화와 모국어 의식
Ⅰ. 새로운 세기와 전통문화
Ⅱ. T.S. 엘리엇의 초기비평과 한국 현대시
1. 신석초의 시
2. 구자운의 시
Ⅲ. 시인의 모국어 의식과 시세계
1. 모국어 의식의 중요성
2. 김현승의 시
3. 백석의 시
Ⅳ. 전통문화 재검토의 의미
제2장 김소월의 유작시에 투영된 전통과 미의식
Ⅰ. 민족 고유의 에토스의 반영
Ⅱ. 1920년대 문단과 전통주의
1. 전통주의의 개념
2. T.S 엘리엇의 전통
Ⅲ. 김소월 유작시에 드러난 전통과 미의식
1. 불연속적 세계관의 표상:「서울의 거리」
2. 사물에 대한 인신론적 추구:「마주석」
3. 전통과 민속적 토대:「궁인창」
Ⅳ. 김소월 유작시의 의미
제3장 나혜석의 시
Ⅰ. 논으의 필요성
Ⅱ. 나혜석의 사상과 예술
Ⅲ. 나혜석 시 분석
Ⅳ. 시적 의미와 가치
제4장 허영자 시의 주체적 특성
Ⅰ. 논의의 필요성
Ⅱ. 허영자 시의 주제적 특성
1. 극기와 절제
2. 전통적 서정의 시화
3. 사랑의 시학
4. 휴머니즘의 시학
5. 이성과 감성의 조화
제5장 만해 시의 상징
Ⅰ. 문제의 제기
Ⅱ. 1920년대 시대적 배경과 만해의 시적 편력
Ⅲ. 만해 시에 활용된 상징
Ⅳ. 만해 문학의 문학사적 의미
Ⅴ. 결론
[ 제2부 ]
제1장 현대시와 조각ㆍ건축물의 상호조명
Ⅰ. 최근 비교문학의 흐름
Ⅱ. 문학과 건축
Ⅲ. 현대시와 건축의 상호 조명
1.「광화문」을 시의 소재로 한 경우
2.「불국사」를 시의 소재로 한 경우
Ⅳ. 현대시와 건축의 상호조명의 시적 의의
Ⅴ. 영원과 휴머니즘의 추구
제2장 김동명과 바쇼오의 대비
Ⅰ. 국학 논의의 새로운 패러다임
Ⅱ. 김동명과 바쇼오의 문학적 편력
1. 김동명
2. 마츠오 바쇼오
Ⅲ.김동명과 바쇼오의 대비
1. 우주공동체 실현의 문제
2. 작품에 반영된 방랑의식
3. 자연에의 몰입과 자연시 확립
4. 바쇼오의 기레지와 김동명의 영탄법
Ⅳ. 김동명과 바쇼오의 시적 성과
제3장 현대 여성시인들의 시와 가톨리시즘
Ⅰ. 문제의 제기
Ⅱ. 우리 현대시와 가톨리시즘
1. 가톨리시즘 수용의 사적 개관
2. 가톨릭시의 정의
Ⅲ. 여성시인들의 시와 가톨리즘
1. 홍윤숙의 시와 긍정적인 생사관
2. 김후란의 시와 고통의 의미
3. 유안진의 시와 이웃사랑
4. 김남조의 시와 사랑과 평화의 세계
5. 강은교의 시와 구원의 삶 추구
6. 이행인의 시와 구도자의 삶
7. 신달자의 시와 성모마리아에 대한 사랑과 존재 의미에 대한 깨달음
Ⅳ. 여성 가톨릭시의 시적 의미와 한계
제4장 박두진의 생태시와 기독교사상
Ⅰ. 박두진 시 재조명
Ⅱ. 생태론과 기독교 사상
Ⅲ. 박두진의 생태시「인간밀림」분석
1. 자연과 친화력:상생과 조화
2. 생태 파괴와 인간 중심주의의 자양 및 그 극복:
에코토피아의 실현
3. 박두진의 시적 기법
Ⅳ. 박두진 생태시의 의미
제5장 최승호의 생태시
Ⅰ. 문제의 제기
Ⅱ. 최승호의 생태시 분석
1. 묵시록적 상상력:종말론적 예고
2. 현대 문명의 비판
3. 인간의 세속적 욕망에 오염된 종교의 타락
4. 섭식관게의 인식을 통한 생명의 소중함
Ⅲ. 최승호 생태시의 의미
참고문헌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