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연극 > 연극사/연극.희극론/연극비평
· ISBN : 9788956408682
· 쪽수 : 439쪽
· 출판일 : 2011-11-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Ⅰ장 격동기의 연극과 평단의 형성
1. 이진순과 그의 시대
2. 새로움에 대한 열정적 탐구
3. 연극개혁운동과 평단의 형성
4. 공연법과 소극장 폐쇄의 위기
5. 70년대 중반의 창작극 공연과 평론의 도전
6. 허규 연극의 이론과 실제
제Ⅱ장 70년대의 번역극 공연과 평론의 발전
1. 서구연극의 한국적 수용
2. <에쿠우스>, 그리고 기타 번역극론
3. 연출가 임영웅과 <고도를 기다리며>
4. 배우, 연출가, 실험극장 대표 김동훈
제Ⅲ장 70년대 연극의 쟁점과 평론
1. 오태석 연극의 의미와 평가
2. 연극 환경과 극단체제의 개선
3. 충돌과 화해의 연극
4. 연출가, 성좌 대표 권오일의 연극행로
제Ⅳ장 80년대 초반의 연극과 평론
1. 80년대 연극의 전망과 평론
2. 희망과 좌절, 방황하는 연극
3. 마당극과 민중연극론
4. 창작극 활성화와 대한민국 연극제
5. 소설가 최인훈의 변신
6. 지방연극, 1985년 연극과 평론, 통일문화
제Ⅴ장80년대 후반의 연극과 평론
1. 아시안게임 연극제와 연극평론
2. 80년대 후반에 활약한 극작가들
3. 80년 이후 해빙무드와 정치극
4. 80년대 변혁의 시대 - 공연성과의 평론
5. 이해랑 연극의 회고와 평가
제Ⅵ장 90년대 연극과 평론
1. 90년대 연극의 양식적 변화
2. 90년대 사회변동 시대의 연극과 평론
3. 90년대 초 한국연극평론가협회
4. 연극평론가 한상철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1935년 이진순이 일본대학 예술과에 입학하던 해 서울 동양극장이 신축 개관하고, 극예술연구회가 제2기 활동으로 진입했지만 조선총독부는 연극영화 통제계획을 입안하고 우리 문화에 대한 압살정책을 밀고 나갔다. 같은 해 봄, 러시아 땅 모스크바에서는 에드워드 고든 크레이그, 엘빈 피스카토어, 매이 랑황(梅蘭芳), 베르톨트 브레히트(Bertolt Brecht) 등이 스타니슬라브스키, 메이엘 홀드, 타이로프, 오브라초프, 에이젠슈타인 등 당대 쟁쟁한 연극계 인사들을 만나고 있었다. 고든 크레이그 아들의 증언(에드워드 크레이그, 『고든 크레이그의 생애』, 1985)에 의하면 이 자리서 고든 크레이그의 실험극 워크숍 개최와 그의 <맥베드> 공연 등을 논의했다고 한다. 메르힝거가는 그의 『정치연극사』에서 이 만남이 장관(壯觀)이었다고 서술했다. 매이 랑황이 경극(京劇) 연기술을 피로(披露)하고, 브레히트는 서사극 이화효과를 설명하면서 “새로운 시대는 새로운 예술을 필요로 한다”고 역설했다고 한다. 우리 연극은 그 당시 그 “새로운” 연극과는 거리가 멀었다. 그 “새로운” 것을 몽상(夢想)하며 이진순은 일본으로 갔다.
1970년대는 현대 한국연극이 새로운 전환을 모색하는 격동의 시대였다. 이 시기에 우리 연극은 활기에 넘친 활동을 시작했고, 연극의 형태도 다양해지면서 무대 형상화 기술이 새로워지기 시작했다. 그러나 예술활동을 펴나가는 환경은 열악하고 험악했다. 1970년의 정치, 경제, 사회는 반문화적인 기류가 휩쓸고 있었다.
- 본문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