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역학 > 점성학/타로
· ISBN : 9788958365303
· 쪽수 : 495쪽
· 출판일 : 2005-09-15
책 소개
목차
서설단상
단상:시
세조 때 제주도 천상에는 - 구중회(공주대 국어교육과 교수)
일화·설화
왕조실록 - 편집부
고전
지봉류설 - 이수광
성호사설 - 이익
생활민속
삼재·12지일·노두와 제웅 - 서울대 출판부
특집논문
고대 천문학과 역법학(번안) - 구중회(공주대 국어교육과 교수)
동양천문학 - 장태상(한국현공풍수학회 고문)
천간지지론 - 화풍정(대연역림학회 고문)
서양점성술의 작은 이해 - 류래웅(고려기문학회장)
서양점성학과 사주학 - 박영창(동방대 민속문화학과 교수)
동양점성학(자미두수)의 기원과 특징 - 김선호(자미두수학회 고문)
육합의 구조에 의거한 점성학적 상징의 의미 관련성에 대한 고찰 - 김고은(한의사)
역법과 정치 - 김태균(수원과학대학 사회복지과 교수)
우리 역사 속의 천문과학 - 박창범(고등과학원 물리학부 교수)
현대 천문학의 현황과 과제 - 김칠영(공주대 지구과학교육과 교수)
일반논문
음양론과 이기론의 상관성 - 김일환(공주대 한문교육과 교수)
기(氣)와 과학 - 류해일(공주대 사범대학 화학교육과)
무아레 무늬를 이용한 지구 자기장의 시각화 모델과 기(氣) - 육근철(공주대 사범대학 물리교육과 교수)
위기관리의 리더십, 이순신에게 배워라! - 김덕수(공주대 사범대학 사회교육과 교수)
편집번역
점성술의 이해와 올바른 사용(영어판) - 강용구(공주대 영어교육과 교수)
현대인의 점성술에 대한 믿음(불어판) - 진종화(공주대 불어불문학과 교수)
저자소개
책속에서
시각과 절기의 방위를 정확히 알아내는 일은 농경민들에게나 유목 또는 해양민들의 생활에 있어 모두 필수적인 과제들이다. 따라서 당시의 지식인과 지배 계층은 자연히 이러한 의무와 특권을 지니게 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요인으로 말미암아 우리나라가 위치한 동북아시아에서도 수천 년 전부터 천문학이 정치와 종교에 결부되어 제왕의 학문으로서 발달하게 되었다. - 본문 324쪽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