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취업/진로/유망직업 > 국내 진학/취업
· ISBN : 9788958612513
· 쪽수 : 340쪽
· 출판일 : 2025-06-3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최소한의 준비로 최대의 효과를 올리는 면접 전략 • 004
PART 1 _____ 면접은 선택이다
자기진단과 선택을 위한 면접 질문 30
1. 회사에 대한 첫인상을 묻는 질문을 받는다면 당신의 답변은? • 011
2. 개인적인 단점을 묻는 질문에 대한 당신의 답변은? • 017
3. 만약 면접에서 불합격한다면 그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묻는 질문에 당신의 답변은? • 024
4. 학교생활에서 이룬 가장 중요한 업적은 무엇인가? • 030
5. 사람들 만나는 것을 좋아하는 편인가? • 037
6. 좋아하는 취미는 무엇인지 묻는 질문에 대한 당신의 답변은? • 043
7. 입사 동기를 묻는 질문에 대한 기본적인 답변 전략은? • 050
8. 인생에서 가장 어려운 일은 무엇이었는지 묻는 질문에 대한 답변은? • 057
9. 리더로서 활동할 때 가장 보람이 있었던 일은 무엇이었는지 묻는 질문에 대한 답변은? • 063
10. 지원하는 직종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지 묻는 질문에 대한 답변은? • 070
11. 직장생활에서 예상되는 어려움에 대한 개인적인 해결 방법을 묻는 질문의 답변은? • 076
12. 입사한 후 조직문화에 어떻게 적응할지 묻는 질문에 어떻게 답변해야 할까? • 083
13. 입사 후 3년간 지방 혹은 해외 오지에서 의무적으로 근무하라고 한다면? • 089
14. 지원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의 장단점을 예로 들어 보라는 질문에 대한 당신의 답변은? • 096
15. 학창시절 공부 스타일에서 남달리 탁월했던 점이 있다면? • 102
16. 종교생활에 대한 질문에 당신의 답변은? • 109
17. 존경하는 사람에 대해 묻는 질문에 대한 답변은? • 115
18. 입사 후 3년 안에 이루고자 하는 최고의 업적이 있다면? • 121
19. 신입사원 6개월이 지난 시점, 뇌물에 대한 유혹이 발생한 경우 대처 방법은? • 127
20. 사장님과 식사를 할 경우, 사장님이 팀장에 대해 어려운 점을 말하라고 한다면? • 134
21. 가장 좋아하는 색상은 무엇이냐는 질문에 답변은? • 141
22. 가장 좋아하는 동물은 묻는 질문에 대한 답변은? • 149
23. 가장 좋아하는 취미는 무엇인지 묻는 질문에 대한 답변은? • 155
24. 친구들과의 대인관계 스타일에 대한 질문의 답변은? • 161
25. 점이나 사주팔자, 부적 등을 믿느냐는 질문에 대한 답변은? • 168
26. 지금까지 살아오는 동안 느꼈던 가장 어려운 문제는? • 174
27. 개인적으로 대중 앞에서 발표를 할 때 제일 좋아하는 주제는 무엇인가? • 180
28. 가장 만나고 싶지 않은 사람은 누구인가? • 185
29. “열정을 무엇이라 정의하고 싶은가?” 라는 질문에 대한 당신의 답변은? • 191
30. “본인이 합격할 것 같은가?” 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은? • 197
PART 2 _____ 면접은 방향이다
면접 답변의 오해들을 파악하라
1. 왜 하필 그 질문을 내게만 했을까? • 209
2. 합격 ‘욕심’이 지나쳐 ‘탐욕’이 되어 버린 면접 • 212
3.복잡할수록 단순하게 : 뱀처럼 지혜로운 면접 • 215
4. 면접 답변을 하는 중에 ‘아차’ 하고 느끼는 순간 • 219
5. 다른 지원자와의 보이지 않는 전쟁 • 223
6. 인재상, 머리보다는 마음으로 • 225
7. 공기업과 사기업, 나의 베스트 초이스는 어디로? • 228
8. 채용설명회의 질문 수준 • 233
9. 면접관은 ‘생각 답변’보다 ‘경험 답변’에 감동한다 • 237
종이 한 장 차이로 달라지는 면접 결과
1. 합격이 불합격으로 바뀌는 면접 • 241
2. 불합격이 합격으로 바뀌는 답변 • 243
3. 압박질문 되받아 치기 • 246
4. 면접에서 돌발 상황이 생기면 합격의 기회로 • 250
5. 장기근속을 보장하는 면접 • 252
6. 대인 공포를 넘어서는 면접 초이스 • 254
7. 100퍼센트 오해를 받게 될 면접 금기어 • 258
8. 조심해야 할 면접 표현 • 260
9. 질문하기조차 싫은 지원자 • 264
합격의 DNA를 파악하라
1. 지원자가 반드시 넘어야 할 면접의 세 산맥 • 268
2. 취업면접 준비 점수 ‘3, 6, 9’ • 272
3. 면접문항 키워드 ‘핵심 역량’ • 276
4. 신입사원 미래모습 ‘셋둘셋둘’ • 280
5. 면접 족보를 참고하는 지원자 • 283
6. 베끼고 외우기 : “베어지고 외면당하기” • 287
7. 자기소개서, 버려지거나 외면당하지 않기 • 288
8. 면접관을 파악하여 ‘탁월한 답변’ 만들기 • 291
9. 면접 달인 초이스 : 관점 전환 • 293
준비된 전략 안에서 움직여라
1. 객관적 ‘장점’과 ‘단점’ 이용 전략 • 296
2. 적성검사와 면접 100퍼센트 활용 전략 • 299
3. 여러 단계의 복수 면접을 치를 때 일관성을 유지하는 비법 • 304
4. 집중도가 높은 면접 답변, 흐리멍덩한 답변 • 308
5. 면접의 주도권 잡기 전략 • 312
6. 면접 분위기 조절 3박자 전략 • 319
7. 대학 1학년부터 시작하는 합격 확신 취업준비 전략 • 322
8. 불합격 회피 취업준비 전략 • 328
9. 면접 긴장을 에너지로 이용하는 전략 • 332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 이유
①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할 수 있다.
•면접에서 첫인상에 관한 질문은 지원자의 관찰력과 태도를 평가하는 질문이다.
•좋은 점을 강조하면 지원자가 긍정적인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으며 조직에 잘 적응할 가능성이 높다는 인상을 준다.
② 회사에 대한 관심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특정한 좋은 점을 지적하면 사전조사를 했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고, 이는 면접관에게 “우리 회사에 대해 제대로 조사하고 왔구나.”라는 신뢰를 준다.
③ 불필요한 리스크를 줄인다.
•②번의 좋은 점과 아쉬운 점 대비나 ④번의 부족한 점에 대한 지적은 부정적인 인상을 줄 가능성이 높다.
•면접관이 지원자의 의견을 받아들이기보다는 “우리 회사의 단점을 면전에서 지적하다니…” 라고 부정적인 생각을 하게 될 수 있다.
■ 피해야 할 답변
•높은 학점 강조 : 면접관이 원하는 건 실제 업무이다. 학점은 서류 평가에서 이미 확인됨.
•동아리 및 복수전공 강조 : 리더십을 보여줄 수는 있어도 실무경험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부족함.
•해외연수 및 특별한 경험 강조 : 해외 경험이 직무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면 효과가 떨어짐.
⓿ 결론
•면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직무 관련 실무 경험!’
•인턴, 아르바이트, 프로젝트 경험을 통해 실무 역량을 강조하는 것이 가장 높은 합격률을 보장하는 답변 전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