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사회문제 일반
· ISBN : 9788959061068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09-02-23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돈벌이 패러다임에서 ‘승자’는 없다
제1부 자본주의의 끝에서 외치는 ‘살림의 경제학’
01 모든 인간이 ‘노동력’으로 평가되는 사회
아이의 탄생은 제2세대 노동력의 확충 23 | 학교는 ‘노동력’을 키우고 강화하는 공장 25 | 규율과 복종을 배우는 군대 28 | 노동능력이 떨어지면, 쓰레기처럼 버려진다 29 | 돈벌이 위주의 경제구조가 파괴하는 7가지 인간적 조건 34
02 인류 공멸과 자본주의의 치명적 오류
생산활동이 많아질수록 파괴활동도 커진다 44 | 자본이 노동에서 얻는 이윤은 줄어들 수밖에 없다 46 | ‘돈 놓고 돈 먹는’ 사회의 종말 49 | 자본주의의 종말에 어떻게 대비할 것인가 53 | 자본주의 돈벌이를 넘어서는 패러다임은 없을까? 61 | 인간의 욕구는 정말 무한한가? 64 | ‘줄이며 사는 것’도 방법이다 69
03 인간을 위한 경제논리와 살림의 경제학
살림의 경제에 필요한 5가지 근본 원칙 74 | 살림의 경제와 효율성 76 | 새로운 체제로의 이행을 돕는 10가지 테제 79 | ‘살림의 경제’ 구축을 위한 방향성 86 | 사회구조의 변화를 위한 사회적 실천 89
제2부 과도한 경쟁과 죽음을 부르는 시장 논리
04 죽음을 부르는 경쟁과 이윤의 법칙
경쟁 논리의 내면화 94 | 사회적 다윈주의와 사다리 질서 98 | ‘ADD 증후군’을 통해 본, 경쟁과 이윤의 그늘 101 | ‘원탁형 구조’가 절실하다 104
05 병든 사회를 부르는 부자강박증
한국 사회의 부자 열풍은 ‘집단 광기’ 110 | 2007년 태안사건과 돈벌이 경제의 비극 113 | 탐욕 시스템이 아닌 지속가능 시스템으로 120 | 경제성장이 인류 행복의 필수 조건인가? 124
06 한국의 집단적 일중독증과 성장중독증
한국 사회는 일중독 사회 128 | 일중독과 소비중독이라는 쌍두마차 132 | 일중독과 소비중독으로부터의 해방 134 | 개발주의와 신개발주의, 과연 누구를 위한 개발인가? 138 | 개발에 대한 국민적 환상과 성장중독증 143 | 녹색 사회로의 이행 148
제3부 허울 좋은 세계화와 신자유주의
07 초국적자본이 지배하는 인간성 상실의 세계화
세계화는 자립적 삶과 문화를 어떻게 파괴하는가 158 | 자본의 세계화와 노동의 세계화: 이주노동의 문제 162 | 세계화는 비민주적 획일화 과정 164 | 세계화는 무한축적 본능과 생태계 파괴 169 | 바닥을 향한 경주와 저항의 세계화 175
08 생존경쟁을 가속화하는 한미 FTA
가장 무서운 건 ‘초국적자본’의 세계 지배 183 | 시장이 자유화될수록 인간의 삶은 부자유스럽다 187 | 자유무역의 자유는 돈벌이의 자유 191 | ‘세계화’를 빙자한 미국의 평화와 경제 번영 193
09 국민의 99%가 바라는 ‘복지사회’?
성장과 복지의 상관관계 199 | ‘참된 복지’란 무엇인가? 202 | 기존 복지국가의 물적 토대 비판 206 | 노동, 가치, 돈에 대한 성찰과 자율사회의 전망 211
제4부쪾죽임의 현실을 바꾸는 행복 경제학
10 돈벌이 패러다임과 살림살이 패러다임
대증요법 아닌 근본요법이 필요하다 222 | ‘배부른 임금 노예’에서 벗어나기 229 | 파이의 크기, 분배, 그리고 원천 232 | 살림의 경제학은 ‘삶의 식민화’에 대한 대안 236 | 삶의 구조를 바꾸는 ‘저항과 대안의 변증법’ 242 | 대안사회를 열기 위한 노동진영의 과제 245 | 체제 안정화 속의 진보운동을 넘어 249
11 희망을 만드는 ‘나부터’ 실천과 연대
지역사회와 마을에 주목한다 252 | 나부터 실천하는 밥상혁명 255 | 나부터 실천하는 교육혁명 260 | 나부터 실천하는 생활혁명 264 | 운동 간 소통과 연대가 절실하다(One No, Many Yeses!) 287 | 소통과 연대의 방법 292
에필로그: 인간다운 사회를 위하여 297
주 316
참고문헌 325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진정 우리가 행복하게 살려면 돈벌이가 아닌 살림살이 관점으로 경제행위와 구조를 재창조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우선 사람들이 경제가치로부터 사회가치와 생명가치를 중시하는 삶의 태도로 바뀌어야 하며, 그래야만 만족과 충분함을 알면서도 높은 삶의 질을 영위하는 새로운 삶이 가능하다. 새로운 사회경제 제도와 구조는 이같은 삶의 태도 위에 구축될 때 서로 상호작용하며 발전할 수 있다. - 본문 71쪽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