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키질하던 어머니는 어디 계실까?

키질하던 어머니는 어디 계실까?

(그리운 우리 문화 마중하기)

김영조 (지은이)
인물과사상사
1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1,700원 -10% 2,500원
650원
13,550원 >
11,700원 -10% 2,500원
0원
14,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키질하던 어머니는 어디 계실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키질하던 어머니는 어디 계실까? (그리운 우리 문화 마중하기)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민속/한국전통문화
· ISBN : 9788959062270
· 쪽수 : 372쪽
· 출판일 : 2012-12-17

책 소개

<하루하루가 잔치로세>의 김영조 저자가 감히 묻는다. 우리 문화를 얼마나 사랑하느냐고. 이 책은 그동안 소개했던 아름다운 전통문화를 주제별로 엮었다. 각 장에서 우리 옛사람들이 어떻게 살았는지 나긋나긋하고 재미난 말로 풀어냈다.

목차

머리말 천상의 음악 수제천을 들으며
1장 풍속 편 - 옛사람은 어떻게 살았나?
2장 먹거리 편 - 옛사람은 무얼 먹고 살았나?
3장 옷과 꾸미개 편 - 옛사람은 무얼 입고 살았나?
4장 민속품 편 - 옛사람의 소박한 물품
5장 미술 편 - 옛사람의 멋이 느껴지는 그림
6장 국악 편 - 서양음악과 다른 우리 음악의 매력
7장 조선 철학 편 - 아름답고 슬기로운 옛이야기
8장 24절기와 명절 편 - 24절기에서 배우는 옛사람의 지혜
- 명절에서 배우는 옛사람의 지혜
찾아보기

저자소개

김영조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0년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를 설립하여 유구한 역사와 전통에 빛나는 한국문화 알리기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2011년에는 한국문화사랑협회 (서울시 비영리단체 단체 제1259호)를 설립하여 회장을 맡아오고 있으며, 2015년 한국문화를 중심으로 한 인터넷신문 <우리문화신문>을 창립, 발행인을 맡아 운영하고 있다. 2004년 6월부터 현재까지 우리문화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를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써서 1만여 명의 독자에게 보내 현재 4,800회가 넘었다. 공무원 교육, 도서관 강의 등을 이어오며, 국악방송 “일요초대석”, 국군방송 “국민과 함께 국군과 함께”, MBCTV충주방송 “자연과 사람이 하나되는 음식” 1시간 토크방송 등에 3~5개월 고정 출연하기도 했고, 기타 다수 방송출연을 해왔다. 지은 책으로는 《맛깔스런 우리 문화 속풀이 31가지》, 《하루하루가 잔치로세(2011년 문화관광부 우수도서)》, 《아무도 들려주지 않는 서울문화 이야기》, 《키질하던 어머니는 어디 계실까?》, 《나눔을 실천한 한국의 명문종가》, 《아름다운 우리문화 산책》 등을 펴냈다.
펼치기

책속에서

키는 탈곡이 완전히 기계화되기 전까지 농가에서는 없어서 안 되는 도구였습니다. 곡물과 함께 섞여 있는 겉껍질, 흙, 돌멩이, 검부러기 등을 털어내는 중요한 도구이기 때문입니다. 키로 곡물을 까불러서 이물질을 없앴지요. 키는 지방에 따라서 칭이, 챙이, 푸는체로도 부르는데 앞은 넓고 편평하고 뒤는 좁고 우굿하게 고리버들이나 대쪽 같은 것으로 결어 만듭니다. (중략)
경상남도에서는 정초에 처음 서는 장에 가서는 키를 사지 않는데 키는 까부르는 연장이므로 복이 달아난다고 믿었기 때문입니다. 만약 모르고 사온 경우라면 집안어른이 키를 부수어버립니다. 또 제주도에서는 섣달 그믐날 키로 점을 칩니다. 부엌을 깨끗이 치우고 키를 엎어두었다가 새해 아침에 그 자리를 살펴봅니다. 쌀알이 떨어져 있으면 쌀이, 조가 떨어져 있으면 조가 그해에 풍년이 들 것이라고 했지요.


등등거리는 소매가 없어 등배자(藤褙子)라고도 부르는데 등나무 줄기를 가늘게 쪼개서 얼기설기 배자 모양으로 엮어 만든 것으로 여름철 모시 적삼 밑에 받쳐 입습니다. 등등거리를 입으면 땀이 흘러도 옷이 살갗에 직접 닿지 않아 적삼에 배지 않고, 등등거리가 공간을 확보해주기에 공기가 통하여 시원합니다.
이 등등거리는 등나무 가지로 만든 팔에 차는 등토시와 함께 여름나기에 중요한 옷이었지요. 등등거리를 입은 선비는 쥘부채(합죽선)를 부쳐가며 책을 읽다가 죽부인을 안고 화문석 돗자리에 누워 잠을 청했습니다.


제주도에 ‘탐라인의 미소’라 불리는 수막새도 있습니다. 여인의 얼굴이 조각되어 있는 이 수막새는 1960년대 초기에 한 절터에서 발견된 것입니다. 이 수막새는 척박한 땅, 바람 많은 고장에서 시달리며 살아온 제주 여인의 얼굴이 기와 와당으로 들어간 모습입니다. 풍요로운 얼굴에서 원만하고 너그러우며 포근한 제주 여인의 심성을 엿볼 수 있으며, 빼어난 예술성을 느낄 수 있습니다. 얼핏 보면 아이들이 그려 놓은 해님의 모습과도 비슷합니다. 제주민속박물관에 전시된 이 ‘탐라인의 미소’는 제주도 돌하르방과 함께 탐라인의 소탈한 모습을 볼 수 있는 귀중한 유물입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