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과학과 인문학

과학과 인문학

(몸과 문화의 통합)

에드워드 슬링거랜드 (지은이), 김동환, 최영호 (옮긴이)
지호
4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8,700원 -10% 0원
2,150원
36,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과학과 인문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과학과 인문학 (몸과 문화의 통합)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59090747
· 쪽수 : 584쪽
· 출판일 : 2015-03-16

책 소개

지금 이 시대의 인문학은 우리에게 과연 무엇이며, 무슨 문제가 있는 것일까? 인문학이 문제인가 물신주의의 세상이 문제인가? 이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서는 우선 정신과 몸은 하나인가 둘인가 하는 문제부터 풀어야 한다. 이 책은 바로 그런 질문을 우리에게 던지고, 대답하려 하고 있다.

목차

옮긴이의 말
한국어판 저자 서문
그림목록

서문
서론
두 가지 세계: 유령과 기계
이원론의 초월: 몸에 대한 진지한 수용
수직적 통합
신체화된 인지와 인문학
신체화의 문제
신체화를 위한 길 터기
객관주의의 문제
인간의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설명
실증적 증거의 위상
환원주의의 두려움
신체화는 왜 중요한가

제1부 기계 속의 유령 내쫓기
제1장 비신체화된 인지: 객관주의의 문제
객관주의의 특징
객관주의의 문제
완전히 명제적인 것은 아닌 인간 지식: 암묵적 노하우의 중요성
통일적 주체 없음: 객관주의 인식 자아는 자기 집의 주인이 아니다
인간 인지에서 신체화된 정서: ‘신속하고 간결한’ 발견법의 역할
몸 / 뇌의 목적은 정확한 표상이 아니라 ‘발현적 지각’이다
인간 개념은 주로 지각에 기초한다
원형과 방사 범주
추상적 사고에서 은유의 결정적 역할
객관주의 과학의 문제
쿤 이후의 세계에서 산다는 것이 무슨 의미인가 /
귀납주의와 연역주의
사실과 이론은 명확히 구분되지 않는다
가설은 명확히 반증 가능하지 않다
미결정성: 무수한 가설들과 일치하는 사실
과학의 분열
절대적이고 청렴한 객관성은 환상에 불과한 목표이다
궁지에 몰린 객관주의

제2장 그들은 우리들 속에서 산다: 학계에서 포스트모더니즘 특징짓기
내가 하는 대로가 아니라, 내가 말하는 대로 하라
후기구조주의 이론: 텍스트로서의 세계
표준사회과학 모형: 실재의 사회적 구성
과학학과 상대주의로 빠져듦
유사 실용주의적 전환: 철학적 해석학과 ‘신실용주의’
유사 비이원적 접근법: 후기 라투르
유사 신체화된 접근법: 피에르 부르디외
포스트모더니즘의 임종

제3장 안락사 시키기: 포스트모던 인식론과 존재론 잠재우기
자기 논박과 내적 비일관성
지시의 불투명성, 문체적 순응주의, 정치적 가식
문화적 본질주의와 낭만주의
사고는 언어가 아니다
지각적 패러다임이 모든 세부적인 것까지 결정하는 것은 아니다
빈 서판은 없다: ‘진화적 칸트’ 입장과 마음의 모듈 관점
기본 층위 범주
통속 물리학
통속 생물학과 본질주의
선천적 신체도식
통속 심리학: ‘마음 이론’과 ‘지향적 자세’
통속 수학: ‘수 감각’
인간 상위문화: ‘좋은 요령들’을 비롯한 선천적 모듈
최종: 극단적 회의주의에 대한 실용주의적 대답 또는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진정 잘못된 것


제2부 문화의 신체화
제4장 문화의 신체화: 몸에 기반한 문화적 변이
인지적 유동성
공감각과 인간 창조성
공감각과 은유는 동일한가
개념적 은유: 의도적 / 부분적 / 전달적 공감각
마음속에 몸 넣기: 영상도식으로서 개념
개념적 은유 이론
개념적 은유의 편재성
개념적 은유의 인지적 실재성에 대한 실험 증거
개념적 은유 이론의 한계
정신공간 이론과 개념적 혼성
이중범위 혼성공간: 근원영역에서 목표영역으로의 사상을 넘어서
혼성과 인간 창조성
‘마치 …처럼’ 보기
혼성공간과 정서의 보충 및 변형
고대 중국의 예
다중범위 혼성공간과 차이의 축적: <맹자> 2:A:2
1단계
2단계
3단계
문화적 다양성의 신체화
제동된 혁신
물질문화에서 혼성의 물화
지각적 / 운동 유연성
몸속에 문화 넣기
문화의 역학 모형
미조정과 사소한 위배
보편적인 해독 열쇠로서의 인간 몸-마음


제3부 수직적 통합의 옹호
제5장 실증주의의 옹호: 상식적 실재론과 실용주의적 진리
실용주의: 사고의 ‘모국어’
실증적 편견: 아는 것은 보는 것이다
가능한 반례 1: 인문학
가능한 반례 2: 종교
상식적 경험주의의 확장으로서의 과학
‘수단’을 통한 확장
새로운 영역횡단 사상
진리의 실용주의적 개념
성공적인 목표 달성으로서의 진리
표상에서부터 참여까지
과학의 문제에 대한 실용주의적 답변
미결정성과 오컴의 면도날
진보의 개념 보존하기
관찰 가능한 것과 관찰 불가능한 것에 관한 제한적 실재론
과학, 무엇이 그렇게 대단한가

제6장 누가 환원주의를 두려워하는가 / 다윈의 위험한 생각에 맞서기
다윈의 위험한 생각
환원주의의 악귀
물리주의에서부터 인문학으로: 설명의 층위
설명의 층위와 발현적 특질
자유의지와 의도성의 발현
약한 발현 대 강한 발현: 신비주의로의 이동 차단
물리주의의 한계: 왜 우리는 항상 인문학자여야 하나
물리주의는 왜 문제가 되지 않는가
우리는 우리가 로봇임을 믿지 않도록 설계된 로봇이다
인간의 실재는 실재한다
물리주의의 중요성: 왜 물리주의는 중요하고 동시에 중요하지 않은가
왜 물리주의는 중요한가
이중 의식: 두 길 걷기
수직적 통합의 용인

결론
이중적 대학에서 온전한 보편성으로의 이동
왜 인문학자들은 더 열심히 연구해야 하는가
어떤 점에서 수직적 통합은 진보를 의미하는가
객관주의를 넘어서: 윤리학의 신체화
취향에 대한 설명: 미학에 대한 신체화된 접근법
다른 적용

부록: 문화의 신체화: 정선된 참고문헌과 기타 자료
문화에 대한 신체화된 접근법을 위한 일반 자료
프로그램과 연구소
단행본
특정 분야에 대한 신체화된 접근법
미학
문학
도덕성과 윤리학
종교

참고문헌
색인 인명
주제
전문용어 해설

저자소개

에드워드 슬링거랜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스탠포드대학 졸업 후 UC 버클리대학에서 석사학위, 스탠포드대학에서 종교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금은 캐나다의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아시아학과의 철학 교수이며, 저명한 대학자이다. 아시아 연구 및 심리학의 부속 임명자일 뿐만 아니라 인류 진화, 인지 및 문화 연구 센터(Centre for the Study of Human Evolution, Cognition and Culture)의 공동 소장이고, 종교사 데이터베이스(Database of Religious History; DRH)의 소장이다. 그는 전국시대의 중국 사상과 종교학뿐 아니라 개념적 혼성 이론과 개념적 은유 이론을 중심으로 한 인지언어학, 윤리학, 진화심리학, 인문학과 자연과학의 통섭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슬링거랜드는 《가디언》과 《브레인 픽킹스》가 2014년 최고의 책으로 선정한 《애쓰지 않기 위해 노력하기》(Trying Not to Try)의 저자이자, 또한 《과학과 인문학》(What Science Offers the Humanities)(2008), 《고대 중국의 마음과 몸》(Mind and Body in Early China)(2018)을 집필했으며, 마크 콜라드 박사와 함께 《통섭 창조》(Creating Consilience)(2012)도 엮었다. 이 외에도 다양한 분야의 최고 저널에 수십 편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TEDx 마스트리히트(Maastricht)와 두 개의 구글 캠퍼스를 포함한 전 세계의 여러 곳에서 “자발성의 과학과 힘”에 대한 강연을 했으며, NPR, BBC 월드 서비스, CBC를 포함한 TV, 라디오, 블로그, 팟캐스트에서 수많은 인터뷰를 했다.
펼치기
김동환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해군사관학교 영어과 정교수다. 경북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인문학과 인지과학을 아우르는 융합 학문의 시각으로 오늘날의 복잡다단한 사회 현상을 이해하고 분석하기 위해 연구 중이다. 주요 저서로 《개념적 혼성 이론》(2002,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인지언어학과 의미》(2005, 문화관광부 우수도서), 《환유와 인지》(2019,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 《생태인문학을 향한 발걸음》(2024,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 《인지인문학을 향하여》(2024,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인공지능, 트랜스휴먼, 사이보그》(2024), 《인공지능과 기술적 실업》(2025), 《술과 인간의 확장》(2025) 등이 있다. 주요 번역서로 《우리는 어떻게 생각하는가》(2009,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애쓰지 않기 위해 노력하기》(2018, 세종도서 교양부문 선정), 《생각의 기원》(2019), 《애니메이션, 신체화, 디지털 미디어의 융합》(2020,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 《뉴 로맨틱 사이보그》(2022), 《아티스트 인 머신》(2022), 《휴먼 알고리즘》(2022), 《트랜스휴머니즘의 역사와 철학》(2023), 《생각을 기계가 하면, 인간은 무엇을 하나?》(2023), 《몸의 지혜》(2024), 《실리콘밸리 길들이기》(2025) 등이 있다.
펼치기
최영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해군사관학교 인문학과 교수를 거쳐 명예교수로 있다. 대통령자문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연구위원을 지냈으며, 현재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자문위원,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선임연구원이다. 인문학과 문학비평, 과학을 아우르는 융합학문 시각으로 지적 근육을 기르고 있다. 바다에 대한 인간의 감정을 기록하는 것을 넘어 바다와 함께 느끼고 바다를 통해 사유의 모험을 감행하는 작품을 탐구 중이다. 인공지능시대와 관련해 인지과학과 인문학의 융합지식을 토대로 체화된 인지능력과 사유, 공동체적 삶의 변화 가능성을 중시하며, 주체의 시각적 주관성과 가치판단의 객관성에 방점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