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생활환경계열 > 식품영양학/조리
· ISBN : 9788960819979
· 쪽수 : 1013쪽
· 출판일 : 2015-08-30
목차
제1장. 식품산업 동향 및 전망
1. 국내ㆍ외 식품산업 동향
1-1. 국내 식품산업 동향
1) 시장규모
2) 업체현황
3) 생산실적 현황
4) 업종별 생산실적 현황
5) 품목별 생산실적 현황
6) 지역별 생산실적 현황
7) 업체별 생산 및 매출 현황
8) 경영성과 분석
1-2. 국내경제 동향
1) 경제성장
2) 고용
3) 소비
4) 물가
5) 금융ㆍ환율
1-3. 세계 식품산업 동향
1) 세계시장 동향
2) 국제곡물 가격 동향
2. 식품별 동향 및 전망
2-1. 배추
1) 수급 동향
2) 수급 전망
2-2. 무
1) 수급 동향
2) 수급 저망
2-3. 양배추
1) 수급 동향
2) 수급전망
2-4. 당근
1) 수급 동향
2) 중국 동향
3) 수급 전망
2-5. 농산버섯
1) 동향
2) 수급 전망
2-6. 오이
1) 수급 동향
2) 수급 전망
2-7. 호박
1) 수급 동향
2) 수급 전망
2-8. 수박
1) 수급 동향
2) 수급 전망
2-9. 참외
1) 수급 동향
2) 수급 전망
2-10. 토마토
1) 수급 동향
2) 수급 전망
2-11. 딸기
1) 수급 동향
2) 수급 전망
2-12. 팥
1) 작물 특성
2) 수급 및 가격 실태
3) 유통 실태
2-13. 조
1) 작물 특성
2) 수급 및 가격 실태
3) 유통 실태
2-14. 수수
1) 작물 특성
2) 수급 및 가격 실태
3) 유통 실태
2-15. 양념채소
1) 마늘
2) 양파
3) 파
4) 건고추
2-16. 쌀
1) 수급 전망
2-17. 복숭아
1) 국제 수급 및 교역 여건
2) 국내 수급
3) 수급 전망
2-18. 사과
1) 국제 수급 및 교역 여건
2) 국내 수급
3) 수급 전망
2-19. 배
1) 국제 수급 및 교역 여건
2) 국내 수급
3) 수급 전망
2-20. 단감
1) 국제 수급 및 교역 여건
2) 국내 수급
3) 수급 전망
2-21. 포도
1) 국제 수급 및 교역 여건
2) 국내 수급
3) 수급 전망
2-22. 감귤
1) 국제 수급 및 교역 여건
2) 국내 수급
3) 수급 전망
제2장. 식품 지원정책 및 안전관리
1. 농축산 지원사업
1-1. 취약농가인력지원사업
1) 사업개요
2) 사업시행 주요내용
3) 표준프로세스(SP)에 따른 담당기관 역할
4) 사업신청 수요조사 및 기타사항
1-2. 녹비작물종자대지원사업
1) 사업개요
2) 사업시행 주요내용
3) 표준프로세스(SP)에 따른 담당기관 역할
4) 사업신청 수요조사 및 기타사항
1-3. 축산사업
1) 축사시설 현대화 사업
2) 조사료생산기반 확충사업
3) 가축분뇨처리 지원사업
1-4. 축산종합지도(HACCP)지원사업
1) 사업개요
2) 사업시행 주요내용
3) 표준프로세스(SP)에 따른 담당기관 역할
4) 사업신청 수요조사 및 기타사항
1-5. 축산물 브랜드 컨설팅 지원사업
1) 사업개요
2) 사업시행 주요내용
3) 표준프로세스(SP)에 따른 담당기관 역할
4) 사업신청 및 지원대상자 선정 안내
2. 식품안전관리
2-1. 안전한 식품의 제조ㆍ유통기반 조성
1) 식품등의 영업허가 및 관리
2) 즉석판매제조ㆍ가공업체 관리
3) 식품 위탁 제조ㆍ가공업체 관리
4) 축산물위생관리법 관련 업무 처리
5) 식품위생검사기관 관리
7) 의약품제조시설의 식품제조ㆍ가공시설 이용 기준
8) HACCP 제도 운영
9) 식품이력추적관리제도 운영
10) 식품등 선행조사
11) 식품분야 통계관리
12) 영ㆍ유아용식품 품질안전관리 가이드 배포
2-2. 생산에서 소비까지 먹을거리 안전관리 강화
1) 유통 식품등 안전관리 활동
2) 수입식품 안전관리체계 구축
3) 주류 안전관리 강화
4) 식품안전정보원 설립ㆍ운영
5) 소비자 정확한 정보 제공을 위한 식품표시체계 개선
6) 시품안전관리 인증(HACCP) 활성화
2-3. 식품관련업체관리 기본방향
1) '14년 식품안전관리 기본방향
2) 식품안전관리 체계
3) 식품제조가공업체 등 안전관리
4) 식품접객업체 등 안전관리
5) 유통식품 등 안전관리
6) 부정ㆍ불량식품 등 특별 관리
7) 부정ㆍ불량식품 민원업무 처리
8) 주류 제조업체 등 안전관리
9) 영양성분 표시관리 및 교육ㆍ홍보
10) 기타사항
2-4. 사전예방을 통한 식ㆍ의약품 안전관리체계 구축
1) 위해우려물질에 대한 선행조사
2) 식품 제조ㆍ조리ㆍ가공 중 생성되는 유해물질에 대한 저감화
2-5. 수입식품등 검사 및 사후관리
1) 수입식품 등의 검사
2) 수입식품 등의 사후관리
3) 수입건강기능식품의 검사
4) 수입건강기능식품의 사후관리
5) 부적합 수입식품에 대한 신속대응
6) 수입식품 신속통관
7) 보세창고 수입식품 위생관리
8) 수입식품 현황(사진) D/B 구축
9) 수입자 등 교육 홍보 강화
10) 수입식품 검사업무 담당공무원 전문성 향상
11) 수입식품 사전 안전 관리
2-6. 건강기능식품관리
1) 건강기능식품 제조업 영업허가 및 관리
2) 건강기능식품 수입업ㆍ판매업 영업신고 및 관리
3) 우수건강기능식품제조기준(GMP) 운영 관리 및 활성화
4) 건강기능식품 품질관리
5) 의약품제조시설의 건강기능식품제조시설 이용 및 관리
6) 영업자 및 품질관리인 교육관리
7) 기능성 표시 및 광고 관리
8) 건강기능식품 관련정보 공개
2-7. 식품안전관리 정책 추진 방향
제3장. 관련뉴스
제4장. 식품제조가공기업
제5장. 관련법률
식품위생법
식품위생법 시행령
식품위생법 시행규칙
식품안전기본법
식품안전기본법 시행령
식품산업진흥법
식품산업진흥법 시행령
식품산업진흥법 시행규칙
식품기부 활성화에 관한 법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