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교원임용시험 > 특수교육
· ISBN : 9788962513943
· 쪽수 : 588쪽
· 출판일 : 2018-01-31
목차
chapter 01 시각장애
I. 시각장애 정의 25
1. 시각 25
2. 시각장애의 정의 30
Ⅱ. 시각장애 원인 32
1. 눈의 구조와 기능 32
2. 안질환과 교육적 조치 34
Ⅲ. 시각장애 특성 44
1. 신체 · 운동발달과 교육적 요구 44
2. 인지발달과 교육적 요구 45
3. 정서 . 사회 . 인성발달과 교육적 요구 45
Ⅳ. 시각장애 판별 47
1. 시력검사 47
2. 시야검사 48
3. 색각검사 52
4. 대비감도 검사 52
Ⅴ. 시각장애 교육 53
1. Lowenfeld(1973)의 특수 방법의 원리 53
2. 일반교과 지도 54
Ⅵ. 점자 지도 62
1. 점자의 필요성과 목적 62
2. 점자의 구성 원리와 기호 62
3. 점자 찍기와 읽기 70
4. 점자 지도의 실제 73
Ⅶ. 방향정위와 이동 74
1. 방향정위와 이동훈련의 목적과 필요성 74
2. 방향정위 지도 74
3. 이동기술 지도 79
4. 맹아동 교수 공학 87
Ⅷ. 저시각 아동 교육
90
1. 시각과 관련된 기본 개념 90
2. 저시각 아동을 위한 교육원칙 및 교육접근 92
3. 저시각 아동을 위한 읽기와 쓰기 지도 93
4. 저시각 아동의 시기능 활용을 위한 보조공학 94
Ⅸ 시각중복장애아동 지도 102
1. 농맹학생의 의사소통 방법 102
chapter 02 청각장애
Ⅰ. 청각장애 정의 114
1. 청각장애의 법적 정의 114
2. 장애인 복지법 정의 114
3. 미국 장애인 교육법 114
Ⅱ. 청각기관과 청각장애의 원인 및 분류 115
1. 청각기관의 구조 115
2. 청각장애의 원인 118
3. 청각장애의 분류 120
Ⅲ. 청각장애 아동의 언어특성 128
1. 음운론적 발달 특성 128
2. 의미론적 발달 특성 129
3. 구문론적 발달 129
4. 화용론적 발달 130
Ⅳ. 청각장애 판별 131
1. 음차 검사 131
2. 순음청력검사 133
3. 어음청력검사 144
4. 차폐 148
5. 링의 6개음검사 152
6. 객관적 청력검사 및 유아청각검사 155
Ⅴ. 청각장애 교육 157
1. 구화법 157
2. 수화와 지화 176
3. 종합적 의사소통법 185
4. 이중언어-이중문화 접근법(bi cultureㆍbi langual) 185
Ⅵ. 청각장애아동의 통합교육 지원 186
chapter 03 사정과 평가
Ⅰ. 특수 교육 평가 200
1. 평가의 개념 200
2. 평가의 단계 200
3. 측정의 기본 개념 204
4. 사정방법의 종류 211
Ⅱ. 장애 아동의 진단 도구 231
1. 지능 231
2. 적응행동 249
3. 학습 및 교육진단 257
4. 정서 및 행동 267
5. 자폐 스펙트럼 장애 276
6. 언어 281
7. 지각 및 운동 287
8. 영유아 발달 291
9.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 299
chapter 04 지체장애
Ⅰ. 지체 장애 정의와 하위유형 312
1. 지체장애 정의 312
2. 지체장애 하위 유형 312
Ⅱ. 지체장애 특성 335
1. 지적 특성 335
2. 지각 특성 335
3. 의사소통적 특성 338
4. 사회 . 정서 특징 339
5. 신체적 특성 339
Ⅲ. 지체장애 판별 343
1. 지체 장애 판별 343
2. 검사도구 343
3. 진단과 평가 344
Ⅳ. 자세와 앉기 345
1. 자세의 개념 345
2. 자세의 특성 345
3. 자세와 앉기 지도 346
4. 자세와 앉기 보조 기기 352
Ⅴ. 보행 및 이동 358
1. 보행 및 이동용 보조 기기의 종류 358
Ⅵ. 일상생활의 기본동작 367
1. 호흡지도 367
2. 식사 기술 367
3. 용변 기술 374
4. 착탈의 기술 376
5. 몸단장 및 개인위생 379
6. 치아관리 379
7. 영양관리 380
chapter 05 건강장애
Ⅰ. 건강 장애의 개념 385
1. 건강장애 정의와 특성 385
2. 건강장애의 유형 385
3. 교육적 지원 391
4. 심리ㆍ정서적 지원 393
5. 학교 복귀 교수 전략 393
chapter 06 특수교육공학
Ⅰ. 교육공학과 특수교육공학
405
1. 교육공학의 정의 및 영역 405
2. 특수교육공학의 정의 및 영역 407
Ⅱ. 접근성에 대한 이해 411
1. 장애인의 정보접근권 관련 법률 411
Ⅲ. 보편적 학습 설계 414
1. 보편적 설계 414
2. 보편적 학습 설계 417
3. UDL의 적용과 실행 424
Ⅳ. 특수교육과 컴퓨터의 활용 430
1. 컴퓨터 보조수업 430
2. 멀티미디어 활용 수업 431
Ⅴ. ICT 활용 교육 436
1. ICT와 교육 436
2. ICT와 특수교육 437
Ⅵ. 보조공학의 이해 438
1. 보조공학의 정의 및 이점 438
2. 보조공학 사정 및 유형 444
Ⅶ. 발달장애 및 지체장애 학생을 위한 보조공학 451
1.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보조공학 451
2. 지체장애 학생을 위한 보조공학 452
3. 기타 보조공학 장치 461
Ⅷ. 감각 장애 학생을 위한 보조공학 462
1. 청각장애 학생을 위한 보조공학 462
2. 시각장애 학생을 위한 보조공학 467
chapter 07 의사소통 장애
Ⅰ. 의사소통 장애 정의와 기관 483
1. 의사소통 정의 483
2. 말.언어 연쇄 483
3. 말.언어 산출 기관 484
4. 의사소통 장애 정의와 유형 485
Ⅱ. 말장애 원인과 치료법 487
1. 조음.음운장애 487
2. 유창성 장애 500
3. 음성 장애 507
Ⅲ. 언어 장애 원인과 치료 510
1. 언어 장애 정의 510
2. 언어의 구성 요소 510
3. 언어 장애 유형 512
4. 언어 장애 판별 520
5. 언어장애 교육 550
chapter 08 보완대체 의사소통
Ⅰ. 보완 및 대체의사소통지도(AAC) 568
1. 정의 568
2. 의의 및 목적 568
3. 보완대체 의사소통 체계의 구성요소 569
4. 보완ㆍ대체 의사소통 평가 580
5. 보완 대체 의사소통 지도 방법 58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