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의학
· ISBN : 9788962624007
· 쪽수 : 260쪽
· 출판일 : 2021-11-11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여는 글
저자 소개
1부 진화하는 바이러스, 막을 수 있을까
01. 바이러스 변이체는 얼마나 위협적일까
02. 면역 체계는 돌연변이를 방어할 수 있을까
03. 신속하면서 정확한 새로운 진단 기법
04. 초기 감염 병리기전을 밝히다
05. 인체 면역 반응의 양상과 특징
06. 반려동물도 바이러스를 옮길까
2부 백신과 치료제, 게임 체인저가 되다
07. 백신의 탄생과 패러다임 전환
08. 백신의 종류와 특징
09. 백신 개발 키워드, RNA는 어떤 물질인가
10. mRNA 백신 개발 원리와 전망
11. 모더나의 백신 개발: 팀사이언스의 힘
12. 약물 재지정을 통한 치료제 발굴 전략
13. 항체치료제 개발 경과와 전망
14. 자연에서 발견한 치료제 후보물질
3부 위드 코로나, 전환의 기로에서
15. 데이터 분석 기반의 방역정책 수립
16. 팬데믹이 기후에 미친 영향
17. 정신건강을 위한 ‘마음 방역’의 필요성
18. 인포데믹에 맞서는 국제사회
대학생이 본 팬데믹
맺는 글
저자소개
책속에서
지금이야 ‘위드 코로나’가 정부 정책으로 검토되고 있지만, 작년 초만 해도 쉽게 상상하기 힘든 미래였다. 고규영 단장은 과학자로서 현실을 냉정히 분석하여 합리적 대안을 제시한 것이다. 이러한 과학적 지식과 직관이 『코로나 사이언스』를 관통하는 주제였다.
_ ‘여는 글’ 중에서
팬데믹과 바이러스의 역사를 살펴보면, 대개 바이러스는 돌연변이로 인해 전파력은 증가되고 병독성은 약화된다. 코로나19 팬데믹이 종식될 때까지 계속 출현할 새로운 변이체들도 거시적으로는 이러한 규칙을 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_ ‘면역 체계는 돌연변이를 방어할 수 있을까’ 중에서
기존 코로나19 병리기전 연구 역시 감염 초기보다는 중·후반기에 치우쳐 있었다. 이는 비유하자면 전투가 끝난 뒤 폐허가 된 전쟁터를 살펴보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전투에서 승리하거나, 전쟁 자체가 일어나지 않도록 미리 막는 것이다.
_ ‘초기 감염의 병리기전을 밝히다’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