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복지학
· ISBN : 9788963564364
· 쪽수 : 358쪽
· 출판일 : 2024-01-25
책 소개
목차
제1장 사회복지실천의 이해 1
1. 사회복지실천의 정의 1
2. 사회복지실천의 목적 2
3. 사회복지실천의 특성 2
[참고 1] 사회복지와 사회사업의 개념 정의 5
1. 사회복지의 개념 5
2. 사회사업의 개념 5
3. 사회복지와 사회사업의 구분 6
4. 사회복지 패러다임의 변화 6
제2장 사회복지실천의 이념과 철학 7
1. 인도주의(박애사상) 7
2. 사회진화론 7
3. 민주주의 7
4. 개인주의 8
5. 다양화 8
제3장 사회복지실천의 구성요소와 지식체계 및 접근방법과 범주 10
1. 사회복지실천의 구성요소 10
2. 사회복지실천의 지식체계 11
3. 사회복지실천의 접근방법과 범주(범위) 12
제4장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14
1. 영국의 선례 14
2. 감상적인 시혜에서 과학적 자선으로(1920년까지) 14
3. 사회사업의 전문직화(1921-1930) 15
4. 진단주의학파와 기능주의 학파의 대립(1931-1945) 15
5. 발전기(1946-1960) 16
6. 통합화(1961-1975) 16
7. 사회복지체계에 대한 사회의 각성(1976-1990) 17
8. 새로운 패러다임의 추구(1991-1993) 17
9. 한국의 사회복지실천의 발달 18
제5장 사회복지실천현장에 대한 이해 19
1. 사회복지실천현장의 개요 19
2. 사회복지사의 역할 22
제6장 사회복지실천의 가치 기반 27
1. 사회복지실천의 가치 27
2. 사회복지실천의 윤리 32
3. 사회복지실천 전문직 역할의 윤리적 모호성(양면성)과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의 윤리적 의사결정과 딜레마 33
제7장 사회복지실천의 지식 기반 44
1. 사회복지실천과 지식 44
2. 사회복지실천 기초지식의 선정기준 48
3. 사회복지실천에서 필요한 지식 유형 48
제8장 사회복지실천의 기술 기반 50
1. 사회복지실천과 기술 50
2. 사회복지실천 시작단계에서의 기초기술 51
3. 사회복지실천의 기술 개발을 촉진하는 방법 52
제9장 사회복지실천의 관점과 이론 54
1. 사회복지실천의 관점 54
2. 사회복지실천의 이론 56
3. 정신분석 이론 57
4. 자아 심리학 58
5. Rogers의 자아이론 59
6. 학습이론: 행동수정(치료) 62
7. 체계이론 63
8. 생태학이론 67
9. 역할이론 70
10. 권한부여이론 71
제10장 전통적 사회복지실천론 73
1. 전문적 접근방법 73
2. 개별사회사업(Case Work) 74
3. 집단사회사업(Groupwork) 79
4. 지역사회조직사업(CO, Community Organization) 86
제11장 통합적 접근방법론 100
1. 통합적 방법론의 등장배경 100
2. 통합적 방법론의 개념 및 특징 101
3. 통합적 방법의 사회복지실천의 구성요소 102
4. 통합적 방법의 이론적 관점 102
5. 통합적 방법의 실천모델 116
6. 통합적 방법의 과정 123
제12장 사회복지실천의 실천모델 125
1. 심리사회 모델 125
2. 기능주의 모델 131
3. 문제해결모델 138
4. 과제중심모델 143
5. 행동주의모델 152
6. 인지행동모델 156
7. 위기개입모델 165
8. 인간(클라이언트)중심모델 169
9. 현실치료모델 176
10. 임파워먼트모델 179
제13장 사회복지실천 관계론 187
1. 전문적 관계의 개념 187
2. Brammer의 원조관계의 주요 차원 189
3. 전문적 관계의 특성과 기본 제요소 빛 유형 189
4. 사회복지실천 관계의 기본 원칙 191
5. 전문적 관계의 형태 195
6. 전문적 관계에 영향을 주는 요인 196
7. 사회복지사의 태도 197
제14장 사회복지실천 면접론 200
1. 사회복지실천 면접의 개념 200
2. 면접의 특성 200
3. 사회복지실천에서의 면접의 특성 201
4. 사회복지실천 면접의 유형 201
5. 효과적 면접을 위한 구조적 요소 201
6. 사회복지실천 면접의 기술 202
7. 의사소통을 방해하는 언어적 행동 207
8. 사회복지실천 면접의 기록 208
제15장 사회복지실천 과정론 217
1. 접수(Intake, 초기면접) 217
2. 사정(Assessment) 218
3. 계약(Engagement) 222
4. 계획(Planning) 223
5. 개입(Intervention) 225
6. 평가(Evaluation) 232
7. 종결(Termination) 234
제16장 사례관리 (Case Management) 238
1. 사회복지실천과 사례관리의 비교 238
2. 사례관리에 대한 기초적 이해 239
3. 사례관리의 이론적 배경 및 모형 249
4. 사례관리의 원칙 259
5. 사례관리의 개입과정과 개입과정별 기법 262
6. 사례관리의 기능 및 역할 267
7. 사례관리의 실천과정 271
[참고문헌] 286
[부록 1] 사회복지실천 면접 기록의 유형별 적용 예시 304
[부록 2]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의 사례관리 과정 요약 및 서식 309
[부록 3]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의 사례관리 과정 진행 예시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