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군무원/부사관
· ISBN : 9788963930909
· 쪽수 : 440쪽
· 출판일 : 2010-02-10
책 소개
목차
part 1 행정의 이해/11
chapter 01 행정은 무엇인가/12
제1절 변화하는 행정의 이해/12
제2절 미래의 행정에 대한 이론/13
제3절 거버넌스(Governance)의 이해/14
제4절 시민헌장의 이해/15
제5절 우리나라 행정의 이해/16
제6절 행정의 위상:행정과 정치 그리고 경영의 관계/20
chapter 02 행정은 무엇을 하는가/26
제1절 우리나라 정부의 규모 논쟁/26
제2절 시장실패와 정부실패/27
제3절 우리나라 정부실패와 소정부화의 접근과 전략/31
제4절 공공서비스는 적정하게 공급되고 있는가?/33
chapter 03 행정학의 연구 방법론/38
제1절 연구 방법론의 의의/38
제2절 관리기술적 접근방법:능률성 강조/39
제3절 행태적 접근/41
제4절 생태론적 접근/41
제5절 체제적 접근/44
제6절 비교행정학/46
제7절 발전행정/48
제8절 후기행태주의/48
제9절 신행정학/49
제10절 현상학적 접근과 비판행정학/51
제11절 공공선택이론/52
제12절 신제도론/55
제13절 신공공관리론(New Public Management)/59
제14절 신공공관리론과 뉴거버넌스의 비교/60
chapter 04 행정이념(행정이 추구하는가치)/62
제1절 정 의/62
제2절 공 익/62
제3절 합법성/63
제4절 민주성/64
제5절 능률성/64
제6절 효과성/65
제7절 효율성/66
제8절 사회적 형평성/66
제9절 가외성/67
제10절 대응성/68
제11절 투명성/69
제12절 적합성과 적정성/72
-기출 및 적중예상문제/73
part 2 정책학/95
chapter 01 정책학의 개념/96
제1절 정책학이란/96
제2절 정책과정/96
chapter 02 정책의 유형/98
제1절 알몬드와 포웰/98
제2절 로위의 정책유형론/99
제3절 솔즈베리의 정책유형론/101
제4절리플리와 프랭클린의 정책유형/102
chapter 03 정책의제 채택론(agenda-setting)/104
제1절 개 념/104
제2절 정책의제채택의 과정/105
제3절 이론적 시각/105
제4절 정책의제채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110
chapter 04 정책결정/113
제1절 개 념/113
제2절 정책결정과정의 참여자/114
제3절 정책결정의 과정/115
제4절 정책목표의 설정/116
제5절 대안의 비교평가기법:비용편익분석/118
제6절 정책결정의 이론적 모형/122
제7절 우리나라의 품의제/131
chapter 05 정책집행론/132
제1절 고전적 행정학의 집행 연구:사각지대/132
제2절 정책집행연구의 대두배경/133
제3절 나카무라와 스몰우드의 정책집행의 유형/134
제4절립스키의 일선관료제/138
chapter 06 정책평가/139
제1절 의 의/139
제2절 타당도/140
제3절 신뢰도/142
제4절 사회실험/143
제5절 정책평가의 유형/146
chapter 07 정책결정요인론/149
-기출 및 적중예상문제/151
part 3 행정관리론/169
chapter 01 조직행정/170
제1절 조직 형성의 원리/170
제2절조직이론의 유형 /177
제3절 관료제/181
제4절 탈관료제/186
제5절 조직과 인간/196
제6절 조직의 과정/201
제7절 조직문화이론/207
chapter 02 인사행정/211
제1절 인사행정의 의의/211
제2절 인사제도/212
제3절 공직의 분류/219
제4절 채 용/230
제5절 능력 발전/233
제6절 사기 앙양/241
제7절 근무 규율/244
chapter 03 재무행정/248
제1절 예산의 기초/248
제2절 예산결정이론/262
제3절 예산과정론/266
제4절 예산제도의 발달/275
제5절 재정의 개혁(선진국의 재정개혁과 시사점)/286
-기출 및 적중예상문제/288
part 4 지방행정/337
chapter 01 지방행정의 이념과 가치/338
제1절 지방자치와 자치권/338
제2절 지방행정의 경영성/340
제3절 행정서비스 공급의 민간위탁/342
chapter 02 지방자치에서의 주민참여/347
제1절 주민통제의 본질/347
제2절 주민투표제도/348
제3절 주민발안 제도/351
제4절 주민소환제도/353
chapter 03 지방자치단체의 사무배분/355
제1절 의 의/355
제2절 기능배분의 원칙/355
제3절 기능배분의 방식/356
제4절 우리나라 기능배분의 기준/357
제5절 우리나라 기능과 사무배분의 현황/358
제6절 지방분권촉진에 관한 특별법/360
chapter 04 계층구조와 행정구역/362
제1절 계층제/362
제2절 한국의 적정 행정계층 구조/363
제3절 신중앙집권과 신지방분권/364
제4절 광역행정/365
제5절 특별지방자치단체-지방자치단체조합/368
chapter 05 정부 간 관계/371
제1절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중앙정부의 통제/371
chapter 06 지방자치단체 행정기관의 구성/374
제1절 지방자치단체의 기관구성 형태/374
제2절 지방의회의 구성과 권한/375
chapter 07 지방재정의 이해/378
제1절 지방재정의 현실/378
제2절 지방재정의 구성/378
제3절 참여 정부 지방재정의 개혁/379
제4절 지방재정의 향후 과제/380
-기출 및 적중예상문제/382
part 5 행정의 환류/393
chapter 01 행정의 윤리/394
제1절 의 의/394
제2절 행정권의 오용과 행정윤리/394
제3절 행정윤리의 저해요인과 확보방안/396
제4절 관료부패의 평가/397
제5절 부패에 대한 몇 가지의 시각/398
chapter 02 행정통제/400
제1절 서 론/400
제2절 행정통제의 이론적 논의/400
제3절 책임의 유형/401
제4절 통제의 실제:행정통제의 유형/402
chapter 03 행정개혁/405
제1절 서 론/405
제2절 개혁의 접근/405
제3절 저항의 양상/406
제4절 개혁에 대한 저항의 원인/406
제5절 저항극복방안/407
chapter 04 옴부즈만 제도/410
제1절 서 론/410
제2절 특 징/410
제3절 한국의 도입가능성/411
-기출 및 적중예상문제/413
-부 록 실전모의고사 /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