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외국어 > 한자 > 한자일반
· ISBN : 9788964950418
· 쪽수 : 307쪽
· 출판일 : 2012-10-22
책 소개
목차
1. 머리말
2. 제1장 육서
3. 제2장 부수
4. 부록 #1 부수의 명칭 및 획수 색인
5. 부록 #2 총획수로 찾기
6. 부록 #3 기초한자 훈음 찾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제1장 육서(六書)
먼저 부수를 공부하기 전에 한자의 형성과정을 알아 둘 필요가 있다.
육서(六書)란 전한(前漢) 말경부터 생긴 한자분류법으로 기본구성법과 응용의 법에 따라 구분되는 여섯 가지 기본원칙을 말한 것이다.
1. 상형(象形) ; 사물의 모양을 본떠 만든 글자
눈에 보이는 사물의 구체적인 모양을 회화적(繪畵的)으로 본떠, 그 모양에서 뜻을 이끌어낸 방법을 상형이라고 한다.
예) 日(날 일) ; 해의 모양을 본떠 만든 글자이다. 해는 둥글지만 옛날에는 죽간(竹簡 ; 대나무로 만든 것)에 글자를 파서 새기다 보니 원형은 힘들어서 네모 모양으로 만들었다. 한자에 유일하게 없는 원이(○) 그러한 이유에서이다.
月(달 월) ; 달의 모양을 본뜬 글자이다.
山(뫼 산) ; 산의 모양을 본떠 만든 글자이다.
川(내 천) ; 물이 흘러내리는 모양을 본떠 만든 글자이다.
2. 지사(指事) ; 생각이나 뜻을 부호나 도형으로 나타낸 글자
눈에 보이지 않는 추상적인 생각이나 사물의 뜻을 구체적인 부호나 도형으로 나타내어 그 뜻을 가리키게 하는 방법을 지사라고 한다.
예) 上(위 상) ; 기준선 ━ 위에 점을 찍어 위를 뜻한 글자
下(아래 하) ; 기준선 ━ 아래에 점을 찍어 아래를 뜻한 글자
本(근본 본) ; 나무의 줄기를 가리켜 근본을 뜻한 글자
末(끝 말) ; 나무의 끝 부분을 가리켜 끝을 뜻한 글자
3. 회의(會意) ; 두 개 이상 글자의 뜻과 뜻을 합해 만든 글자
상형과 지사의 방법을 통해 이미 만들어진 두 개 이상의 한자를 결합해서 새로운 한 글자를 만드는 방법으로, 그 글자들의 뜻을 모아 처음의 글자들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뜻을 가진 글자를 만드는 것을 회의라고 한다.
예) ① 日(날 일) +月(달 월) → 明(밝을 명)
明은 ‘日’과 ‘月’ ‘두 글자가 결합된 글자로’ 해와 달이 합치면 더욱 밝다는 뜻이 된다.
② 人(사람 인) + 言(말씀 언) → 信(믿을 신)
사람(人)의 말(言)은 마땅히 믿음직스러워야 하므로 ‘人’과 ‘言’ 두 글자를 결합해서 ‘믿다’ 라는 뜻을 지닌 ‘信’이라는 글자를 새롭게 만들어낸 것이다.
4. 형성(形聲) ; 두 개 이상 글자의 음과 뜻을 합해 만든 글자
상형과 지사의 방법을 통해 이미 만들어진 두 개 이상의 한자를 결합해서 새로운 한 글자를 만드는 방법으로, 한 글자는 뜻을, 다른 한 글자는 소리와 함께 아울러 뜻도 나타내도록 하는 것을 형성이라고 한다.
전체 한자의 80% 이상이 형성자로 이루어진 한자이므로 유의하면서 학습하도록 한다.
예) ① 水(물 수) + 靑(푸를 청) → 淸(맑을 청)
물(水)이 푸르게(靑) ‘맑다’는 뜻에서 ‘淸’이라는 글자가 생겨났는데, ‘水’가 뜻 부분 의 역할을 하고 ‘靑’이 音(소리음) 부분의 역할을 한 것이다.
② 刃(칼날 인) + 心(마음 심) → 忍(참을 인)
칼날(刃)을 뜻하는 인(刃)에서 音(소리 음) 부분의 역할을 맡았고 ‘칼끝에 찔리는 아픔을 참아낸다’는 뜻으로 ‘心’ 마음 심이 역할을 맡아 ‘참을 인(忍)’이라는 글자가 만들어진 것이다.
5. 전주(轉住) ; 새로운 뜻으로 파생, 전용되어 쓰이는 글자
이미 만들어진 한자의 뜻을 확대하여 쓰이는 방법으로 본래의 뜻을 변화시키고 끌어내어 본래의 뜻과 연관이 있는 뜻으로 바꾸어 쓰는 것을 전주(轉住)라고 한다. 보통 한 글자에서 두 가지 이상의 음으로 쓰이는 것이 대표적이다.
예) 樂 ; 본음은 ‘악’ ① 풍류 악 ② 즐길 락 ③ 좋아할 요
降 ; 본음은 ‘강’ ① 내릴 강 ② 항복할 항
省 ; 본음은 ‘성’ ① 살필 성 ② 덜 생
6. 가차(假借) ; 뜻은 전혀 상관없이 음(音)만 빌려 쓰는 글자
이름을 글자로 표기할 경우, 관계가 없는 뜻을 가진 글자라고 하더라도 소리가 같으면 빌려 쓰는 방법을 가차(假借)라고 한다.
예) ① Asia → 亞細亞(아세아) ② Paris → 巴利(파리)
③ Buddha → 佛陀(불타) ④ America → 美國(미국)
- 본문 ‘제1장 육서(六書)’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