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중어중문학
· ISBN : 9788974648169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13-02-25
책 소개
목차
서 론 9
제1장 현대중국어 어휘의 구성
제1절 형태소와 단어 13
제2절 숙어와 고정구 22
제3절 형태소와 숙어, 고정구의 어휘적 성질 25
소 결 31
제2장 현대중국어 어휘 분류
제1절 기본어휘와 일반어휘 35
제2절 단음절어, 다음절어, 단일어, 복합어 42
제3절 첩음어 47
제4절 구래어, 신조어, 방원어, 외래어 52
소 결 57
제3장 단어구성법과 조어법
제1절 현대중국어 단어구성법 61
제2절 복합어(合成?)의 구조층위 68
제3절 현대중국어 조어법 71
소 결 77
제4장 현대중국어 단어의미
제1절 단어의미와 그 성질 81
제2절 단어의 단의와 다의 86
제3절 단어의미의 분석 89
제4절 단어의미 간의 관계 94
제5절 단어의 부가의미 106
제6절 단어의미의 변천 121
제7절 단어의미와 사전편찬 131
소 결 136
제5장 현대중국어의 숙어(熟?)
제1절 성어 141
제2절 관용어 150
제3절 헐후어 156
소 결 166
제6장 어휘와 문화
제1절 어휘 체계의 구성요소에 대한 문화의 영향 169
제2절 문화가 단어의 형식에 미친 영향 174
제3절 문화가 단어의미에 끼친 영향 178
제4절 문화를 반영하고 전승하는 단어 181
소 결 184
제7장 동음어와 동형어
제1절 동음어 187
제2절 동형어 193
소 결 196
제8장 현대중국어 단어의 축약과 통칭
제1절 축약의 의미와 유형 199
제2절 축약어의 특징 207
제3절 축약어의 사용 209
제4절 단어의 통칭 211
제5절 축약어와 통칭어의 생성 기제 215
소 결 216
제9장 현대중국어 어휘의 체계성
제1절 체계성의 구현 219
제2절 어휘 체계의 자기 조절 기능 223
제3절 어휘체계의 자기조절 기능의 표현 225
제4절 어휘 체계성의 의미 이해 229
소 결 231
제10장 어휘의 차용
제1절 차용의 원인과 특징 233
제2절 차용방식 236
제3절 차용원인 246
소 결 250
제11장 현대중국어 어휘의 규범화
제1절 규범의 필요성 253
제2절 규범의 동태성과 상대성 255
제3절 규범의 내용과 기준 257
제4절 새 단어와 체계 없는 단어의 창조 262
소 결 265
책속에서
‘현대한어시리즈 교재’는 중국 교육부 ‘21세기를 향한 고등교육과정교재’의 한 항목으로 복단대학(復旦大學)의 중점과정인 ‘현대한어’가 만든 내용 가운데 하나이다.
1960년대 초 교육부가 인문교재를 편찬한 이래로 ‘현대한어’라는 과목을 중심으로 편집 출판된 <현대한어>교재는 일찍이 수십 여 종에 이른다. 이는 무에서 유를 창조하여 크게 번성한 양상이다.
그렇다면, 왜 ‘현대한어시리즈 교재’를 편찬해 내게 되었는가?
교재는 교육 및 연구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따라서 교재는 시대와 함께 부단히 새로워져야 하며, 국가가 현대화된 인재를 양성하는데 더 잘 부합되어야 한다.
최근 20년 동안 개혁개방정책이 시행됨에 따라 현대한어의 교재와 연구, 교재편찬이 비록 두드러진 변화와 발전은 있었지만 여전히 문제가 많기 때문에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또, 언어연구의 새로운 이론, 새로운 방법과 현대한어 각 분과연구의 새로운 성과가 끊임없이 소개되고 있어서 우리가 시야를 넓히고 사고를 여는데 도움을 준다.
21세기를 맞이하는 중국의 고등교육은 더 높은 수준의 현대화된 인재를 더 많이 양성해야 하며, 교육내용과 교과과정체계를 개혁하고 또한 이에 부합하는 과목별 교재를 편찬 출판해야 한다. 이렇듯 우리가 ‘현대한어시리즈 교재’를 편찬하는 것은 객관적으로 새로운 수요에 부응하고, 완성도를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2001년 1월 ‘현대한어시리즈 교재’는 교육부 ‘21세기를 향한 교과과정교재’ 출판심의를 통과했다.
이 ‘현대한어시리즈 교재’는 어떤 특색이 있는가?
우리들은 ‘연속성’과 ‘참신성’을 기초로, 계승과 창조, 기초와 응용, 안정성과 선진성, 통일성과 다양성 등에 중점을 두었다. 반세기 동안 출판된 <현대한어>교재를 살펴볼 때, 그 내용은 대부분 시대의 제약을 받으며, 약간은 진부하고 단순하게 보인다. 그러나 긍정하고 칭찬할 만한 부분 또한 적지 않다. 더욱이 근래 새로 출판된 몇 권은 내용의 깊이와 넓이에서 새로운 성과가 있었으며 한 단계 발전했다고 할 수 있다. 교재는 일반 저작과 달리 내용상 계승성, 안정성을 반드시 지녀야 한다. 본 시리즈 교재의 집필진은 열람과 연구의 기초 위에 과거의 교재 중에서 오늘날 여전히 적용할 수 있는 지식을 총괄하여 흡수하려고 시도했다. 예를 들어 호유수(胡裕樹) 교수가 편찬한 <현대한어>는 1960년대 초 초판본이 출판된 이후로 1970년대 수정본을 출판하였고, 1980년대 증정본이 출판되었으며 1990년대 중정본이 출판되었다. 오랜 시간 동안 다듬고 수정하였기 때문에 이 교재는 독자와 학계로부터 기초적인 지식과 언어응용능력을 배양하는 등의 측면에서 비교적 좋은 교재로 인정을 받았고 이미 40쇄가 인쇄되어 각 판본의 인쇄 총 부수는 200만 권에 달하며 지금까지도 여전히 국내외에서 발행되고 있다. 본 시리즈 교재의 편찬과정 중에 이 책의 일부 내용과 장점을 흡수하였다. 기타 교재에 대해서도 그렇게 하였다.
동시에 제자리걸음을 하면서 낡은 틀에만 매달릴 수는 없다. 본 시리즈 교재의 내용을 새롭게 하고 수준을 제고시켜서 현대한어의 각 분과 학문의 최근 연구 성과를 반영해야 한다. 이것은 이미 출판된 교재와 비교했을 때 본 교재가 새로운 내용을 더했음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본 시리즈는 각 분과 학문에 따라 단독으로 편찬하였으므로 편찬자의 자율성이 비교적 크다. 편폭에 엄격한 제한을 두지 않았기 때문에 각 장과 절의 내용 역시 비교적 상세한 편이다. 교재의 사용범위가 넓기 때문에 교재의 사용자는 일반 대학교의 중문과와 타 전공의 대학생 또는 대학원생이 될 수도 있고, 방송대학, 통신대학, 독학사시험을 준비하는 학생 및 일반 독자가 될 수도 있다. 무릇 현대한어지식에 흥미를 느끼는 사람이면 모두 본 시리즈의 교재를 읽고 참고하여 각자 필요한 것을 가져갈 수 있을 것이다. - 머리말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