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연구/문화이론
· ISBN : 9788974742638
· 쪽수 : 332쪽
· 출판일 : 2004-09-10
책 소개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국제관계에서의 문화
1.문화란 무엇인가?
2.국제관계에서의 문화
3.문화와 문명
제3장 문화의 변화
1.내발적 변화와 외발적 변화
2.문화진화론
3.문화변용론
제4장 문화의 접촉과 변용: 문화접변
1.문화접변 연구의 등장
2.외래 문화요소의 전파와 선택
3.문화 운반자
제5장 문화접변에의‘저항’
1. 외래 문화요소의 수용
2. 문화적 저항
3. 저항운동
제6장 문화접변의 결과
1.문화요소의 재해석
2.문화의 재구성
3.문화접변의 결과
4.문화접변의 창조력
제7장 저항으로서의 문화접변
1. 적대적 문화접변
2. 문화접변과 내셔널리즘
3. 비서구의 근대화
제8장 문화접변론에서 본 근대 아시아와 일본의 문화
1.근대 서구의 영향:사회진화론을 중심으로
2.잡거문화·잡종문화·순수문화
3.전후 일본의 문화
제9장 문화변용과 문화교류
1.사람의 국제이동:현상
2.국제교류·문화교류:활동
3.지구문화론
제10장 결론
1.문화와 국제관계
2.문화의 다양성과 보편성
3.문화접변의 의의
책속에서
문화요소의 기능에 관해서는 이미 여러 번 언급했다. 하나의 문화를 구성하는 무수히 많은 문화요소 하나하나가 특유한 기능을 수행한다. 그 기능 사이의 관련성이 강한 문화요소끼리 서로 이웃하여 구조를 만들어 내기 때문에 문화 전체가 체계로서 성립하고 존속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관계와 구조 속에서 문화요소는 문화 전체에서 하나하나 특유한 의미를 갖는다고 말할 수 있으므로 문화요소의 '기능'을 '의미'로 바꿔 부를 수도 있다. 문화접변 과정에서 외래 문화요소가 충분히 수용되려면 그 문화요소의 의미가 재해석되어야만 한다. - 본문 143쪽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