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의 이해
· ISBN : 9788974790967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15-03-09
책 소개
목차
서문
I. 붓다의 생애와 가르침
1장 종교로서의 불교
1절 | 종교란 무엇인가
2절 | 종교로서의 불교의 특성
2장 붓다의 생애
1절 | 역사적인 붓다의 일생
2절 | 탄생과 성장
3절 | 출가와 정각
4절 | 설법 - 가르침을 베풀다
5절 | 마지막 여행과 입멸
3장 붓다의 근본 가르침
1절 | 윤회와 업보
2절 | 사성제 - 네 가지 거룩한 진리
3절 | 무아
II. 불교의 역사와 문화
1장 새로운 불교 운동 - 대승불교
1절 | 대승불교의 출현
2절 | 대승경전의 성립
3절 | 보살의 등장
4절 | 서원과 회향
5절 | 대승불교의 철학
2장 인도와 동남아시아 불교의 역사와 문화
1절 | 인도 불교
2절 | 동남아시아 불교
3장 동북아시아와 티베트 불교의 역사와 문화
1절 | 중국 불교
2절 | 티베트 불교
3절 | 일본 불교
4장 한국 불교의 역사와 문화
1절 | 불교의 전래와 전개
2절 | 문화와 유산
3절 | 경주와 불교
III. 불교와 현대사회
1장 불자의 신행과 실천
1절 | 출가수행자
2절 | 재가신자
2장 선과 명상
1절 | 명상의 이해와 실천
2절 | 선과 명상
3절 | 명상과 심리 치유
3장 불교와 현대사회
1절 | 현대사회와 불교 윤리
2절 | 불교의 비폭력 평화운동
4장 불교와 미래
1절 | 불교와 서양
2절 | 불교와 미래
색인
사진 정보
저자소개
책속에서
붓다는 인간의 현재와 미래는 다름 아닌 인간 자신이 행하는 행위가 결정한다고 가르쳤다. 현재는 과거 행위의 결과이고 현재 행위는 미래 결과의 원인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사상을 업설(業說)이라고 하는데, 붓다는 업설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를 인간의 의지라고 보았다. 인간의 의지가 개입하지 않은 행위는 결과를 초래하지도 않는다고 하여, 인간의 의지를 인간 자신의 현재와 미래를 좌우하는 결정적 요소로 보았다.
“너희들 개개인은 자신을 자신의 섬으로 만들어야지, 다른 어떤 것도 의지처로 삼지 마라. 너희들 개개인은 법을 자신의 섬으로 만들어야지, 다른 어떤 것도 의지처로 삼지 마라.”
사성제는 고성제(苦聖諦)·고집성제(苦集聖諦)·고멸성제(苦滅聖諦)·고멸도성제(苦滅道聖諦)로 이루어져 있으며, 줄여서 고성제·집성제·멸성제·도성제라고 한다. 고통의 원인과 그 해결에 관한 가르침이다. 사성제는 인생의 ‘고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사가 병을 치료할 때와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 의사가 먼저 병을 진단하듯이 붓다는 인생의 ‘괴로움’을 말하고[고성제], 병의 원인을 찾아내듯이 괴로움의 원인을 규명한다[집성제]. 그리고 병 치료 후의 건강 상태를 말하듯이 괴로움이 소멸된 상태, 즉 열반을 설명했고[멸성제], 마지막으로 병의 치료 방법을 말하는 것처럼 열반에 이르는 길을 제시했다[도성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