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명상/수행
· ISBN : 9788974791520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08-05-01
책 소개
목차
증보판에 붙이는 말
일러두기
중판에 붙이면서
선입문
一 삶의 주인공은 누구인가
二 인간이란 무엇인가
三 불성이란 무엇인가
四 인간상실과 그 회복의 과제
五 인간회복의 문제점
六 교와선
七 선의 논리
八 화두의 본질
九 화두참구의 기본요건
十 선의 공덕
十一 선의 효용
十二 선병이 있는가
十三 선자의 계명
十四 좌선의 자세와 호흡병
선관책진
선관책진 서
전집 二문
제一 제조법어절요
一 균주 황벽운 선사 시중
二 조주심 선사 시중
三 현사비 선사 시중
四 아호대의 선사 수계
五 영명수 선사 수계
六 황룡 사심신 선사 소참
七 동사연 선사 제자의 행각에 붙임
八 불적 이암신 전사 보설
九 경산 대혜고 선사 물음에 답함
十 몽산이 선사 시중
十一 양주 소암전 대사 시중
十二 처주 백운 무량창 선사 보설
十三 사명 용강연 선사 선인에 답함
十四 원추 설암흠 선사 보설
十五 천목 고봉묘 선사 시중
十六 철산경 선사 보설
十七 천목 단애의 선사 시중
十六 천목 중봉본 선사 시중
十九 사자봉 천여직 선사 보설
二十 지철 선사 성토현문
二十一 여주 향산 무문총 선사 보설
二十二 독봉 화상 시중
二十三 반야 화상 시중
二十四 설정 화상 시중
二十五 앙산 고매우 선사 시중
二十六 구주 걸봉우 선사 오대으 선강주에게 이름
二十七 영은 할당 선사 제에 답함
二十六 대승산 보암단에 화상 시중
二十九 고절 선사 시중
三十 태허 선사 시중
三十一 초석기 선사 시중
三十二 고려 보제 선사 이상국에 답함
三十三 초산기 선사 해제
三十四 천진 독봉선 선사 시중
三十五 공곡융 선사 시중
三十六 천기 화상 시중
三十七 고음금 선사 시중
三十六 이암등 선사 석의집
三十九 월심 화상 시중
(제二 제조고공절략)
一 홀로 정실에 앉다
二 절벽위 아누메 앉다
三 풀을 먹고 나무에 살다
四 허리띠를 풀지 않다
五 송곳으로 찌르다
六 어두운 방에서도 소홀하지 않다
七 저녁이면 울다
六 삼년을 역행하다
九 둥근 목침으로 잠을 경계하다
十 비를 맞고도 모르다
十一 맹세코 눕지 않다
十二 편지를 내던지다
十三 굳게 성발을 맹세하다
十四 잠시도 이연이 없다
十五 잠시도 잊지 않다
十六 물가에 이름을 모른다
十七 침식을 모두 잊다
十六 말도 몸도 모두 잊다
十九 모든 반연을 끊다
二十 문을 닫고 힘써 참구하다
二十一 머리를 기둥에 부딪치다
二十二 관중에서 각고하다
二十三 자리에 눕지 않다
二十四 오직 둔공을 드리다
후집一문
(제경인증절략)
一 대반야경
二 화엄경
三 대집월강경
四 십륙관경
五 출요경
六 대관정경
七 유교경
六 능엄경
九 미타경
十 능가경
十一 금강반야경
十二 보적경
十三 대집경
十四 염불삼매경
十五 자재왕보살경
十六 여래지인경
十七 중아함경
十六 잡비유경
十九 잡아함경
二十 아함경
二十一 법집요령경
二十二 무량수경
二十三 일향출생보살경
二十四 보적정법경
二十五 육도집경
三十六 수행도지경
二十七 보살본행경
二十六 미륵소문경
二十九 문수반야경
三十 반주삼매경
三十一 사십이장경
三十二 관약왕약상 이보살경
三十三 보운경
三十四 정법염처경
三十五 아비담집이문족론
三十六 유가사지론
三十七 대승장엄경론
三十六 아비달마론
三十九 서역기
四十 남해기귀
四十一 법원주림
四十二 관심소
四十三 영가집
四十四 위산경책
四十五 정토참원의
四十六 법계차제
四十七 심부
(부록)
자각종책 선사 좌선의
찾아보기
책속에서
가부좌나 반가부좌일 때 익숙할 때까지는 다리가 쉬이 아프다. 그럴 때는 너무 참지 말고 다리를 바꿔가며 앉도록 한다. 혹 다리가 저릴 때가 있다. 이런 때는 몸을 좌우로 약간 흔들면 가벼워진다. 또한 허리에 힘을 주었을 때는 잠시 힘을 늦춘다. 공부가 순숙하여지면 어느덧 몸이 있는 줄을 모르는 경지에 이르게 되는 것이니 혹 다리나 어깨가 아파오더라도 이것은 좌선이 익을 동안 잠시 지나가는 것으로 알면 된다. (81쪽, '좌선의 자세와 호흡법'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