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선관책진

선관책진(禪關策進)

(이것이 선의 길이다)

광덕 스님, 운서주굉 (지은이)
불광출판사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선관책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선관책진(禪關策進) (이것이 선의 길이다)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명상/수행
· ISBN : 9788974791520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08-05-01

책 소개

중국 명나라 말에 항주 운서산에 일대 총림을 창설한 운서주굉 스님이 조사법어를 모아 편찬했다. 황벽 스님 이하 역대 조사들의 법문 39문, 여러 조사스님들의 정진담 24조 등 옛 조사 60여 분의 발심, 수도, 오도기연 및 설법을 수록했다. 아울러 대반야경 등 여러 경론 중에서 참선하는 이들에게 필요한 47조를 간추려 모았다.

목차

증보판에 붙이는 말
일러두기
중판에 붙이면서

선입문

一 삶의 주인공은 누구인가
二 인간이란 무엇인가
三 불성이란 무엇인가
四 인간상실과 그 회복의 과제
五 인간회복의 문제점
六 교와선
七 선의 논리
八 화두의 본질
九 화두참구의 기본요건
十 선의 공덕
十一 선의 효용
十二 선병이 있는가
十三 선자의 계명
十四 좌선의 자세와 호흡병

선관책진

선관책진 서

전집 二문

제一 제조법어절요

一 균주 황벽운 선사 시중
二 조주심 선사 시중
三 현사비 선사 시중
四 아호대의 선사 수계
五 영명수 선사 수계
六 황룡 사심신 선사 소참
七 동사연 선사 제자의 행각에 붙임
八 불적 이암신 전사 보설
九 경산 대혜고 선사 물음에 답함
十 몽산이 선사 시중
十一 양주 소암전 대사 시중
十二 처주 백운 무량창 선사 보설
十三 사명 용강연 선사 선인에 답함
十四 원추 설암흠 선사 보설
十五 천목 고봉묘 선사 시중
十六 철산경 선사 보설
十七 천목 단애의 선사 시중
十六 천목 중봉본 선사 시중
十九 사자봉 천여직 선사 보설
二十 지철 선사 성토현문
二十一 여주 향산 무문총 선사 보설
二十二 독봉 화상 시중
二十三 반야 화상 시중
二十四 설정 화상 시중
二十五 앙산 고매우 선사 시중
二十六 구주 걸봉우 선사 오대으 선강주에게 이름
二十七 영은 할당 선사 제에 답함
二十六 대승산 보암단에 화상 시중
二十九 고절 선사 시중
三十 태허 선사 시중
三十一 초석기 선사 시중
三十二 고려 보제 선사 이상국에 답함
三十三 초산기 선사 해제
三十四 천진 독봉선 선사 시중
三十五 공곡융 선사 시중
三十六 천기 화상 시중
三十七 고음금 선사 시중
三十六 이암등 선사 석의집
三十九 월심 화상 시중

(제二 제조고공절략)

一 홀로 정실에 앉다
二 절벽위 아누메 앉다
三 풀을 먹고 나무에 살다
四 허리띠를 풀지 않다
五 송곳으로 찌르다
六 어두운 방에서도 소홀하지 않다
七 저녁이면 울다
六 삼년을 역행하다
九 둥근 목침으로 잠을 경계하다
十 비를 맞고도 모르다
十一 맹세코 눕지 않다
十二 편지를 내던지다
十三 굳게 성발을 맹세하다
十四 잠시도 이연이 없다
十五 잠시도 잊지 않다
十六 물가에 이름을 모른다
十七 침식을 모두 잊다
十六 말도 몸도 모두 잊다
十九 모든 반연을 끊다
二十 문을 닫고 힘써 참구하다
二十一 머리를 기둥에 부딪치다
二十二 관중에서 각고하다
二十三 자리에 눕지 않다
二十四 오직 둔공을 드리다

후집一문
(제경인증절략)

一 대반야경
二 화엄경
三 대집월강경
四 십륙관경
五 출요경
六 대관정경
七 유교경
六 능엄경
九 미타경
十 능가경
十一 금강반야경
十二 보적경
十三 대집경
十四 염불삼매경
十五 자재왕보살경
十六 여래지인경
十七 중아함경
十六 잡비유경
十九 잡아함경
二十 아함경
二十一 법집요령경
二十二 무량수경
二十三 일향출생보살경
二十四 보적정법경
二十五 육도집경
三十六 수행도지경
二十七 보살본행경
二十六 미륵소문경
二十九 문수반야경
三十 반주삼매경
三十一 사십이장경
三十二 관약왕약상 이보살경
三十三 보운경
三十四 정법염처경
三十五 아비담집이문족론
三十六 유가사지론
三十七 대승장엄경론
三十六 아비달마론
三十九 서역기
四十 남해기귀
四十一 법원주림
四十二 관심소
四十三 영가집
四十四 위산경책
四十五 정토참원의
四十六 법계차제
四十七 심부

(부록)
자각종책 선사 좌선의
찾아보기

저자소개

광덕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27년 경기도 화성에서 출생했다. 암울한 민족의 격동기였던 1950년대 범어사에서 당대의 대선지식인 동산(東山) 스님을 만나 참선을 시작, 진리를 위해 몸을 사르겠다는 위법망구(爲法亡軀)의 구도정신으로 수행정진했다. 1974년 9월 불광회(佛光會)를 창립하고, 같은 해 11월 월간 「불광」 창간, 불교의식문 한글화, 경전 번역, 찬불가 작시, 불광사 대중법회 등을 통해 부처님의 가르침을 만인의 품으로 돌려주며 대중을 일깨웠다. 스님은 불교의 생활화·대중화·현대화를 정착시켜 한국불교의 새로운 역사를 썼으며, 우리 시대의 보현보살로 존경받았다. 반야바라밀 구국구세운동을 전개하며 불광을 통해 한국불교의 새 물줄기가 형성되어 정불국토(淨佛國土)가 되어야 한다고 설파했고, 반야바라밀 불광사상을 통하여 세계평화운동을 주도하고자 염원했다. ‘불광평화상’을 제정하고 ‘불광평화연구소’ 건립을 발원했으며, 불광을 중심으로 세계평화와 불국토를 구현하고자 하는 대원력을 세웠다. ‘내 생명 부처님 무량공덕 생명’이라는 절대긍정의 세계를 열어보인 스님은 1999년 세연을 조용히 거두고 입적했다. 지금까지도 스님의 말씀은 끊이지 않는 샘물처럼 오늘 우리의 행복을 창조하는 원천이 되고 있다. 『반야심경 강의』, 『보현행원품 강의』, 『선관책진』, 『육조단경』, 『무문관』, 『생의 의문에서 그 해결까지』, 『행복의 법칙』, 『광덕 스님 명상언어집』을 비롯하여 대중들의 마음을 밝혀주는 주옥같은 역저서 20여 종이 있다.
펼치기
운서주굉 (지은이)    정보 더보기
스님의 이름은 주굉(株宏), 스님의 이름은 주굉(?宏), 자는 불혜(佛慧), 호는 연지(蓮池)다. 명나라 가정(嘉靖) 14년(1535)에 고항 인화현에서 태어나 서른한 살 때 무문성천(無門性天)에게 출가하였고 소암덕보(笑巖德寶)의 법을 이었다. 마흔네 살 때 항주 운서산 복호사 옛터에 총림을 이루니 스님의 교화도량인 운서사다. 스님의 교화 방편은 선학을 창도하고 계율을 부활했으며 정토법을 제창하고 살생을 금하고 방생을 권장하였다. 만력 43년(1615)에 돌아가니 세수는 81, 법랍은 50이었다. 청나라 옹정 때 세종이 정묘진수(淨妙眞修)라는 시호를 내리고 법어집이 어선어록(御選語錄)에 편입되어 돌아가신 후에 성광(聖光)이 더욱 빛났다.
펼치기

책속에서

가부좌나 반가부좌일 때 익숙할 때까지는 다리가 쉬이 아프다. 그럴 때는 너무 참지 말고 다리를 바꿔가며 앉도록 한다. 혹 다리가 저릴 때가 있다. 이런 때는 몸을 좌우로 약간 흔들면 가벼워진다. 또한 허리에 힘을 주었을 때는 잠시 힘을 늦춘다. 공부가 순숙하여지면 어느덧 몸이 있는 줄을 모르는 경지에 이르게 되는 것이니 혹 다리나 어깨가 아파오더라도 이것은 좌선이 익을 동안 잠시 지나가는 것으로 알면 된다. (81쪽, '좌선의 자세와 호흡법'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