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문학일반
· ISBN : 9788984336438
· 쪽수 : 366쪽
· 출판일 : 2008-04-28
목차
책머리에
제1부 고려속요
고려 공중 음악의 외래적 점유 속에서 속악의 위치와 성격
1.서론
2.전사(前史)
3.고려 시대
4.속악의 위치와 성격
5.결론
<정과정> 과 향가의 거리
1.통설의 의문
2.원 <정과정> 과 향가와의 거리
3.현전 <정과정> 과 향가와의 거리
4.반성과 전망
<서경별곡(西京別曲)> 의 구조적 긴밀성과 그 의미
1.서론
2.부질없는 집착
3.체념의 슬픔
4.애증 그리고 각성적 체념
5.결론
<쌍화점(雙花店)> 형성에 관여한 외래적 요소
1.서론
2.충렬왕
3.원의 문화적 상황과 원곡(元曲)
4.<쌍화점> 에 침윤된 외래적 요소들
5.겨론
제2부 선초악장
선초 악장의 정립 과정과 그 의미
1.서론
2.고려 시대
3.조선 초기 악장의 정립 과정과 의미
4.결론
한국 중세 정치 사상과 문학
1.서론
2.합리적인 군주와 <용비어천가>
3.초월적 영웅과 <월인천강지곡>
4.신권과 왕권
5.결론
제3부 시조와 가사-강호시가-
<강호사시가(江湖四時歌)> 의 창작 시기와 세계상
1.서론
2.좌절과 모색
3.결론
16·17세기 강호가사(江湖歌辭)의 변모 양상과 그 의미
1.서론
2.누정(樓亭),선(仙) 그리고 자긍의식
3.와실(蝸室),전가(田家) 그리고 자긍의식의 퇴조
4.강호가사사의 전개
5.결론
<성산별곡(星山別曲)> 의 시공간과 인간
1.서론
2.공간과 시간 그리고 인간
3.결론
<월선헌십육경가(月先軒十六景歌)> 에 나타난 의식 지향
1.문제제기
2.갈등
3.전가의 흥취와 자족적인 삶
4.부정과 동경
5.취홍과 부귀공명
6.전망
<일민가(逸民歌)> 의 의식 지향과 시사가적 의미
1.서론
2.지향 의식
3.시사가적 의미
4.결론
<상춘곡(賞春曲)> 의 결어(結語) 재해석과 시가사적 위치
1.서론
2.결어 분석
3.시가사적 위치
4.결론
제4부 서론(書論)
『조선가요집성』의 성격과 위치
1.서론
2.성격
3.김태준의 연구사적 위치
4.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서경별곡> 의 시작 단락이다. 여성 화자가 자기를 버리고 떠나가는 님에게 님이 나를 사랑하신다면 고향에 정든 일을 버리고서라도 따라가겠다고 말한다.
-본문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