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교회개척/성장론
· ISBN : 9788985738361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05-05-06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왜 신앙계승운동인가?
프롤로그
- 왜 화해를 말하는가?
1. 계승과 도전의 시기 (1884-1945)
01. 1885년의 청년들
02. 청년 자리 만들기
03. 105인 사건과 한국 인권운동의 세계화
04. 3.1 독립운동과 기독학생의 연합운동
05. 기독청년과 농촌운동
06. 일제의 한국 기독교 분열책동, 신사참배
2. 분열과 태동의 시기 (1945-1960)
07. 해방, 단절과 계승의 시작
08. 해방 후 10년, 기독청년들의 수난시대
09. 한국기독학생운동과 세계기독학생운동의 연대
10. 기독학생 민주화운동 기반 : LMC 프로그램
11. 한국 IVF의 설립과 영국 복음주의 학생운동
12. 한국 CCC의 설립과 미국 복음주의 운동의 네트워크
3. 민주화와 복음화운동의 시기 (1960-1987)
13. 4.19, 학생운동의 점화와 군부정권의 등장
14. 1964년, 민주화운동과 복음화운동 시동
15. 1966년, 기독학생운동의 협력기관들 설립
- 한국기독자교수협의회와 국가조찬기도회
16. 한국기독학생운동의 세계기독교운동 수용과 발전
- KSCF 탄생과 학생사회개발단운동
17. 기독학생의 노동운동과 전태일 분신사건
18. 기독학생의 전도운동과 한국 민족복음화
19. 민주화를 위한 기독학생의 선거운동
20. 기독학생의 새로운 선교 의제, 인권운동
21. 민청학련사건과 유신정권
22. 민청학련사건과 기독학생
23. 민청학련사건과 세계의 반응
24. 한국 기독학생의 교인전도훈련, 엑스플로 '74
25. 엑스플로 '74와 한국 교회 성장
26. 기독학생들이 진보 교회를 통해 견인한 민주화운동
- EYC 창립과 교회 구심력으로 계승되는 진보기독학생운동
27. 기독학생의 보수 교회 지성신앙화 자극
- 한국 IVF의 캠퍼스토착화운동과 문서선교운동
28. 기독학생과 YH 사건
29. 기독학생과 YWCA 위장결혼사건
30. 5.18 광주민주화운동과 기독학생
31. '80 세계복음화대회, 준비와 한계
32. 1982년의 기독학생들
33. 정체성 논쟁, 진영화운동의 필연적 결과
34. 정체성 논쟁과 진보기독학생 진영의 분열
4. 통일연합과 해외선교운동의 시기 (1987- )
35. 보수 진영 기독학생의 정체성 혼란 - 복음주의그룹 형성
36. 복음주의 학생들의 사회참여
37. 1987년의 기독학생들
38. 1980년대 진보기독학생의 통일운동
39. 1980년대 보수기독학생의 해외선교 연합운동
40. 시민운동의 등장과 기독학생운동
에필로그
- 한국 근현대사 120년 견인의 원동력, 기독청년학생운동
부록
인물
운동단체와 기관
교회
성명서
'RGG' Article '세계기독학생선교운동'
저자소개
책속에서
곧이어 1982년 5월 18일에는 광주 EYC와 기장 전남교회 공동주최로 '제2주기 5.18 추모예배'가 광주 YWCA 회관에서 개최된다. 예배 후엔 참석자들이 광주민주화운동 때 희생자가 가장 많았던 분수대까지 행진하려했으나, 경찰이 충돌하여 참석자 18명이 연행되었고 EYC 회장 등 4명이 구속되었다. 이 사건은 광주 지역의 목회자, 기동청년들의 항의를 촉발시켰다.
이처럼 1982년 한 해에는 1980년 5월 이후 침체되었던 기독청년들의 실천적인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광주민주화운동 이후 한.미관계를 비롯한 외세 및 민족자존의 문제에 대해 심화된 인식을 하게 되고, 결국 한국기독청년들이 민중, 민족, 민주운동을 지향하는 운동의 성격을 명확히 하는 데 기여하였다. - 본문 159쪽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