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시론
· ISBN : 9788987122748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6-10-03
목차
Ⅰ. 서론 11
Ⅱ. 이상과 불교의 친연성(親緣性) 28
1. 불교와의 인연 28
2. 불도수행자를 의미하는 자호(自號)들 33
Ⅲ. 원용 사상과 이론 대요(大要) 48
1. 유식사상(唯識思想) 49
1) 정신주체 체계 50
(1) 감각정신주체 전5식 51
(2) 분별정신주체 제6식 52
(3) 사량정신주체 제7식 55
(4) 심층무의식, 근본정신주체 제8식 57
(5) 「종생기」에 나타난 정신주체 체계 60
2) 인식시스템이론과 현상론 63
(1) 인식시스템이론 65
(2) 현상론 66
[1] 삼성(三性)과 비유 66
[2] 삼무자성(三無自性) 68
3) 연기론(緣起論) 70
2. 원효의 기신론(起信論) 74
1) 현상과 인식 발현 체계론 74
2) 현상과 인식 치단(治斷) 체계론 81
(1) 대승불교 수행 52단계 82
[1] 10신위(信位) 82
[2] 10주위(住位) 83
[3] 10행위(行位) 84
[4] 10회향위(廻向位) 85
[5] 10지위(地位) 86
[6] 등각위(等覺位) 87
[7] 묘각위(妙覺位) 88
(2) 정신주체의 생멸 치단과 각성(覺性) 88
(3) 객관현상의 심적 대응과 각성 90
3. 갈무리 93
Ⅳ. 〈오감도(烏瞰圖)〉 해석 97
1. 표제 〈烏瞰圖〉의 의미 101
2. 서사(序辭) _ 「시제1호」 105
3. 심층무의식의 태동 119
1) 주객미분 심층무의식[業識] 태동 _ 「시제2호」 120
2) 심층무의식의 주관[轉識] 발현 _ 「시제3호」 125
3) 심층무의식의 객관[現識] 발현 _ 「시제4호」 128
4. 지식(智識) 현현과 치단 수행론 140
1) 심신(心神)자아집착주체[智識] 현현 _ 「시제5호」 141
2) 지식 치단 수행 148
(1) 하위 수행성과 구계지(具戒地) 추구 _ 「시제6호」 148
(2) 상위 수행성과 원행지(遠行地) 지향 _ 「시제7호」 158
5. 상속식(相續識) 현행과 치단 수행론 172
1) 현상연결정신주체[相續識] 현현 175
(1) 의식의 상관존재집착분별 현행 _ 「시제8호 해부」 175
(2) 의식의 심신자아집착[分別事識] 발아 _ 「시제9호 총구」190
(3) 의식의 심신자아집착 확립 _ 「시제10호 나비」 194
2) 의식상의 심신자아집착 치단 수행 199
(1) 수번뇌(修煩惱) 치단 _ 「시제11호」 206
(2) 수번뇌를 치단한 세계 _ 「시제12호」 209
(3) 견번뇌(見煩惱) 치단 _ 「시제13호」 212
(4) 유여열반(有餘涅槃) 성취 _ 「시제14호」 219
6. 결사(結辭): 6계집(計執) 발현 _ 「시제15호」 232
(1) 자성(自性)이 인(因)이라는 계집 발현 _ 1연 234
(2) 숙작(宿作)이 인이라는 계집 발현 _ 2연 236
(3) 자재(自在)가 인이라는 계집 발현 _ 3연 238
(4) 실아(實我)가 인이라는 계집 발현 _ 4연 240
(5) 무인무연(無因無緣)이라는 계집 발현 _ 5연 242
(6) 자아가 작자수자(作者受者)라는 계집 발현 _ 6연 243
7. 갈무리 248
Ⅴ. 결론 260
■<烏瞰圖>ㆍ「二十二年」ㆍ「診斷 0:1」 영인 273
■찾아보기 28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