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고대사(선사시대~진한시대)
· ISBN : 9788988473795
· 쪽수 : 765쪽
· 출판일 : 2006-01-05
책 소개
목차
번역을 마치며
한국의 독자들에게
저자 서문
이끄는 말
1장. 중국 사관의 천관 기능과 천인이론
중국 사관의 천관 기능
'주역'의 천인우주관
음양오행학파의 오덕종시설
춘추공양학의 삼통순환론
한왕조 개제 과정에서의 이론초점
2장. 공자 '춘추'의 왕도문화 철학
공자가 '춘추'를 지었다는 문화인식
'춘추'의 문화적 의의에 대한 맹자의 이해
왕도문화 전통의 내적 함의
'춘추' 삼전의 취지
공자와 육경
'사기'의 문화적 위치
3장. 전국 시대의 사림문화와 사관문화
전국 시대 사림문화와 사관문화의 관계
전국 시대 사림문화의 연원
전국 시대 사림의 가치관
전국 시대 사림의 문화심리
'역전'과 '중용'의 초월철학
4장. 사마천의 생명체험과 문화심리
젊은 시기의 생명체험
전국 시대 사림문화의 유풍
사마천의 정신적 지주
사마천과 자아실현자의 비교
피로 물들인 개인풍채
궁형을 당한 사마천의 심리 분석
죽음에 대한 사마천의 생각
사마천의 문화적 복수심리
'사기'는 사찬서인가 관찬서인가
5장. 사마천이 바라본 하늘의 도
'사기'의 신학목적론
'사기'의 천인감응론
'사기'의 역사순환론
'사기' 팔서의 통변론
'사기'의 경제순환론
'사기'의 천명숭고론
'사기' 천명관의 반례에 대한 분석
'사기'의 진화론에 관한 자료분석
'사기'의 역사적 사실주의 정신
6장. 사마천이 바라본 제왕의 도
역대 제왕정치에 대한 사마천의 평가
한무제의 유학부흥정책에 대한 논의
한무제의 사이 정벌에 대한 논의
한무제의 봉선에 대해 논의
한무제의 경제정책에 대한 논의
한무제의 통치방식을 논하다
정치와 문화의 괴리
천도와 왕도의 교통로
천도관과 왕도관의 모순적 통일
7장. 사마천이 바라본 선비의 도
'사기'의 예외적 사례에 대한 분석
하층사림의 위대한 공적
인물 평가에 대한 '사기'의 비도덕적 경향
공명을 이루지 못한 자의 비애
대장부에 대한 예찬
8장. '사기'는 비방서인가
사마천은 근본적으로 한왕조를 옹호하였다.
한왕조를 폄손하는 '사기'의 두 근거
궁형과 '사기'의 관계
방서설의 실상
9장. '사기'의 사상은 '역전'에 가깝다
진한 교체기의 학술 추세
'사기'와 역학
'역전'과 '사기'의 우주관
'역전'과 '사기'의 통변론
'역전'과 '사기'의 상덕사상
'역전'과 '사기'의 인생관
10장. 사마천은 동중서의 제자인가
동중서와 사승관계였다는 학설은 성립되지 않는다
사마천과 동중서의 공통점
사마천과 동중서의 차이점
몇 가지 결론
11장. 중국 사관문화에 대한 '사기'의 공헌
'사기'는 중국 사관문화의 총결산이다
'사기'의 정수
주 석
'사기' 찾아보기
'인명'서명 찾아보기
책속에서
사마천이 치욕을 참아내고 살아남았던 것은 <사기>를 저술하여 문화복수를 하기 위해서이다. 한왕조의 성세盛世가 <사기> 저술의 원동력이었다면, 한왕조가 쇠퇴의 길로 접어들면서 영웅주의와 낭만주의의 열정이 연기처럼 사라진 뒤에도 계속 <사기>를 저술하고 그것을 완벽에 가까울 정도로 완성할 수 있었던 원동력은 궁형으로 인한 문화복수심리에서 비롯된 것이다.
물론 문화복수를 위해 사마천이 큰 대가를 치렀던 것도 사실이다. 그는 치욕을 참고 구차하게 비인간적인 생활을 영위하면서 "속세와 발맞추어 부침浮沈하며, 때에 더불어 부앙俯仰하면서 어리석음을 거듭했던" 것이다. 그의 진실된 자아는 <사기> 속에 깊숙이 투영되어 생명의 '이전移轉'을 완성하였다. 이는 사마천의 비극이자 또한 중국 고대의 모든 정직하고 뜻 있는 선비들의 공통된 운명이었다. - 본문 261쪽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