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어떤 민주주의인가 (한국 민주주의를 보는 하나의 시각, 민주주의총서 06)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민주주의
· ISBN : 9788990106506
· 쪽수 : 334쪽
· 출판일 : 2007-10-29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민주주의
· ISBN : 9788990106506
· 쪽수 : 334쪽
· 출판일 : 2007-10-29
책 소개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와 같은 저작으로 한국 정치와 민주주의 문제에 대해 이야기 온 최장집 교수를 비롯한 세 명의 정치학자들이 만들어 낸 공동 작업물. 정치의 대중 참여적 기반을 넓게하고 정당 체제의 대표성을 확대해야한다는 논의와 함께 국가의 책임성을 어떻게 구현할 수 있는가 등의 문제를 다룬다.
목차
서문
이 책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총론
최장집, 그는 민주주의를 어떻게 말하는가
1부 한국 민주주의, 무엇이 문제이고 무엇이 문제가 아닌가
1장 민주주의를 둘러싼 오해에 대한 정리: 절차적 민주주의의 재조명
2장 왜 정당이 중심이 되는 민주주의를 말하는가
3장 원내 정당론과 국민 참여 경선제가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하기 어려운 이유
4장 강력한 대통령제는 한국 민주주의 발전에 얼마나 기여하는가
2부 민주주의 대 민주주의
5장 법치 민주주의 대 정치적 민주주의
6장 탈정당-전문가 정치론 대 대중정당 정치론
3부 한국 민주주의의 방향 전환이 필요한 이유
7장 한국의 87년 체제 : 민주화 이후 정당 체제를 어떻게 볼 것인가
8장 정당 없는 민주주의는 왜 문제인가
리뷰
책속에서
민주주의란 한 공동체 내에서 공적 결정을 만드는 틀이라 할 수 있다. 민주주의에 내용을 불어넣고 만드는 것은 그 틀에 참여하는 복수의 정당이기 때문에 우리는 정당을 중심 메커니즘으로 하는 민주주의를 생각한다.-p27 중에서
민주주의는 기본적으로 자율, 즉 자기 결정의 원리에 기초한다. 이런 자기 결정의 원리가 의미를 가지려면 결정의 과정에 평등하게 참여할 수 있는 권리가 보장됨과 동시에 의사 결정의 '결과'와 그 '내용'이 열려 있어야 한다. 따라서 민주주의라는 의사 결정 방식에 대해서는 항상 일부에서는 두려움이 일분에서는 불만이 있을 수 밖에 없을 것이다.-p229 중에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