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세계사 일반
· ISBN : 9788990828705
· 쪽수 : 480쪽
· 출판일 : 2014-09-03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 세계 역사에 대한 이해가 달라진다
01 구석기 수렵인은 야만인인가
-인류 탄생과 평화로운 공동체
사람이 살기 시작하다 / 도구와 무기를 만든 ‘능력 있는’ 사람들
-야만과 문명의 경계를 넘어
구석기인에 대한 오래된 편견 / 더불어 사는 평화로운 원시공동체 / 지금 우리의 삶을 돌아보며
02 농사를 짓고, 나라를 세우다
-씨 뿌리고 가축을 기르니
농사, 삶의 방식을 대대적으로 바꾸다 / 사냥 대신 목축으로 고기를 얻다
-국가의 탄생
계급이 생기다 / 가부장제의 정착 / 고대국가가 세워진 이유 / 전쟁의 시대가 열리다 / 국가 건설은 인간에게 축복이었을까
03 그리스 민주주의의 재발견
-민주주의를 향한 열망
민주주의의 상징 아테네 / 민주정 이전의 아테네 / 솔론, 아테네 민주정치의 깃발을 들다 / 클레이스테네스와 페리클레스 시대의 민주정 / 귀족 세력의 과두정치 반란과 민주정 회복 / 민주정을 둘러싼 철학자들의 입장
-직접 민주주의는 현대사회에 부적합한가
투표율은 왜 점점 낮아질까 / 현대사회에서 추첨제도는 사용할 수 없는가
04 로마제국은 왜 멸망했는가
-로마제국의 번영과 몰락
로마제국의 멸망에 관한 세 가지 견해 / 경제적 불균형에 주목해야
05 진시황의 중국 통일과 왕권 강화의 허구
-중국 최초의 황제
진시황 이전의 중국 / 진시황, 중국을 통일하다
-절대권력을 위하여
일사불란한 정치체제와 엄격한 법 집행 / 책을 불태워 사상을 통제하다 / 만리장성을 쌓은 또 다른 목적
-왕권 강화는 언제나 선한가
단명으로 허무하게 끝난 진나라 / 21세기에 드리운 진시황의 그림자
06 십자군 전쟁은 종교전쟁인가
-중세 봉건제와 십자군 전쟁
중세 유럽 봉건사회의 모습 / 평범한 사람이 어떻게 학살자가 되는가
-십자군 전쟁은 과연 종교전쟁인가
문명 충돌 관점의 한계 / 이제 문명 공존을 이야기할 때
07 몽골제국은 어떻게 세계를 제패했는가
-칭기즈 칸, 가장 큰 제국을 건설하다
칭기즈 칸의 통일 전략 / 중국 정복에 나서다 / 이슬람 정복 / 러시아와 동유럽 정복 / 저물어가는 세계 제국
-몽골은 어떻게 단기간에 세계 제국을 형성했는가
기동력을 갖춘 강력한 군대 / 무자비한 파괴와 학살? / 문화적 포용 정책 / 합리적인 제도와 정책
08 이슬람 문명의 빛과 그림자
-이슬람의 어제와 오늘
이슬람에 대한 오랜 편견 / “알라 외에 신은 없다” / 점점 커지는 이슬람 세력 / 테러와 보복 전쟁의 악순환
-이슬람에 대한 두 가지 시각
이슬람은 테러 세력인가 / 이슬람은 여성의 인권을 탄압하는가
09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의 반란
-프랑스 혁명의 이면
프랑스 혁명, 근대사회를 열어젖히다 / 누구를 위한 자유였는가 / 무엇이 평등해진 것인가 / 박애의 실종을 보여준 프랑스 혁명 / 자유, 평등, 박애는 지금 우리의 과제
-제국주의라는 괴물의 탄생
민족이라는 개념이 등장하다 / 민족의 이름으로 벌어지는 전쟁 / 민족주의와 자본주의의 관계
10 대공황과 2차 세계대전의 원인
-세계 대공황은 왜 일어났는가
거품의 붕괴 / 세계를 휩쓴 10년 동안의 대공황 / 대공황은 왜 일어났고,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는가
-2차 세계대전은 왜 일어났는가
패전과 대공황 사이의 독일 / 히틀러는 독일인의 희망? / 인류에게 더 이상의 세계대전은 없을까
11 사회주의는 우리에게 무엇을 남겼나
-자본주의 품에서 자라난 사회주의
사회주의가 등장하다 / 스탈린의 권력 장악과 급격한 변화 / 냉전시대 그리고 동유럽 사회주의의 몰락
-사회주의가 세계 민족해방 운동에 미친 영향
식민지 해방을 지원하다 / 여러 나라가 사회주의를 지향한 이유 /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에 대한 소련의 간섭
-사회주의로 인해 달라진 자본주의
12 프랑스 68혁명, 민주주의 개념을 뒤흔들다
-전 세계를 요동치게 한 68혁명
“우리는 모든 억압에 반대한다” / 전 세계로 확산된 혁명의 열기
-68혁명이 남긴 과제
68혁명은 현재진행형 / 다양한 요구는 변혁에 도움이 되는가 / 축제와 혁명 사이 / 학생은 사회 변화의 주체가 될 수 있는가
-이것을 민주주의라고 할 수 있을까
불구가 된 민주주의 / 진정한 민주주의를 실현하기 위하여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