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공자/논어
· ISBN : 9788991762275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06-08-2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Ⅰ. 자신을 다스리는 자는 천하를 얻는다
1. 깨달음을 얻은 자
2. 시와 인성(人性)
3. 고전에는 현재를 사는 지혜가 담겨 있다
4. 즐겁되 음탕하지 않고 슬프되 상심하지 않는다
5. 내가 부정하다면 하늘이 용서치 않을 것이다
6. 이상(理想)의 중요성
7. 군자, 덕을 수행하는 자
8. 군자와 소인배
9. 젊은 시절 고생은 사서도 한다
10. 선한 사람에게는 사랑을 받고 악한 사람에게는 미움을 받아라
11. 인자만이 사람을 좋아할 수 있고 미워할 수 있다
12. 중용_ 본질을 꿰뚫어 보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다
13. 광(狂), 긍(矜), 우(愚)_ 원대하고 강직하고 순박하라
14. 자신과 세상을 이해하기 위한 노력
15. 지나간 것은 흘러간 강물과 같다
16. 효는 어진 일의 근본이다
Ⅱ. 선하지만 용기 없는 사람은 되지 말라
17. 미소 짓게 하는 순박한 인물
18. 유머러스한 조연
19. 호탕하고 용맹스러운 사람
20. 이상과 실무의 조화
21. 냉철한 역사의식을 가져라
22. 스승을 이해하는 제자
23. 인(仁)을 실천하는 삶
24. 인(仁)을 즐기는 삶
25. 평범한 아버지와 평범하지 않은 아들
26. 썩은 나무는 조각할 수 없다
27. 문화의 전통을 소중히 여겨라
28. 선하지만 용기 없는 사람은 되지 말라
29. 멋쟁이 공서화, 청빈한 원헌
30. 여유 있는 낙천성
31. 능력 있는 속물
32. 소심한 모범생
33. 형식주의와 실질주의
34. 실(實)하되 허(虛)하며 범(凡)하되 계교(計巧)를 사용하지 않는다
Ⅲ. 대중의 소리를 막는 것은 강을 막는 것보다 어렵다
35. 변혁자(變革者) 공자
36. 덕으로 세상을 다스리고 예로 질서를 유지하라
37. 터무니없는 몽상가는 되지 말라
38. 지조를 지키면서도 현실을 외면하지 말라
39. 야심가의 유혹
40. 위기 상황에서 더욱 확고해지는 사명감
41. 이상주의자와 건전한 상식인
42. 전통 문화의 계승
43. 형식보다 정신이 중요하다
44. 평범하지만 평범하지 않은 인물
45. 제신(諸神)과 하늘
46. 공동체를 초월한 사상
47. 덕은 외롭지 않고 반드시 이웃이 있다
48. 사회질서와 문화
49. 타인에 대한 배려
50. 살아 있는 이상주의자
맺음말
책속에서
중용은 본질을 꿰뚫고 있기 때문에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다는 뜻이다. 렌즈의 초점이 정확하게 맞아 전후좌우 어느 쪽으로든 치우치지 않는 상태에 비유할 수 있다. 중용은 흔히 서로 대립하는 두 항목을 균형 있게 유지해 주는데, 예를 들면 문무, 대담함과 세심함이다. 이런 중용, 중행에 해당하는 인물을 찾아 사귀는 것이 가장 좋다. 그러나 그렇게 훌륭한 인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을까? 실제로는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그래서 최선의 선택을 할 수 없는 경우 차선책을 설명하고 있는데, 그것이 이번 장에서 소개한 문장이다.
"중용의 길을 행하는 사람을 얻지 못할 바에는 광견에 해당하는 사람을 택하리라. 그런 사람도 찾기 어렵다면 광에 해당하는 사람 또는 견에 해당하는 사람을 차선책으로 선택할 것이다." 광과 견은 모두 개 견(犬) 변이기 때문에 언뜻 보기에도 꺼림칙하다. 그런데 현실적으로 찾을 수 있는 차선책에 해당하는 인물이 바로 그런 사람이라는 것이다. 공자는 그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광자는 진취적이고 견자는 바위처럼 굳은 절개와 의리가 있어 함부로 행동하지 않기 때문이다."
광자나 견자는 분명히 한쪽으로 치우쳐 있다. 이 두 글자의 개 견 변에서는 인간답지 않은 동물적인 의미를 읽을 수 있다고 시라카와는 말한다. 광자는 적극적인 자세는 있지만 행동이 따르지 않는 사람, 견자는 그와는 반대로 완고한 고집이 있어 함부로 행동하지 않는 사람이라는 것이다. 이들은 최선책인 중용과는 너무 동떨어진 인물이 아닐까? 차선책으로 보기에는 중용에서 너무 동떨어져 있는 듯한 느낌이 든다. 그러나 공자는 대부분의 경우 시류를 저주하는 광자나 견자 속에서 이상을 추구하는 인간의 싹을 발견하려 했다. - 본문 83~84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