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북한의 대중문화 (이해와 만남, 소통을 위한 모색)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통일/북한관계 > 북한학 일반
· ISBN : 9788991990647
· 쪽수 : 223쪽
· 출판일 : 2007-08-30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통일/북한관계 > 북한학 일반
· ISBN : 9788991990647
· 쪽수 : 223쪽
· 출판일 : 2007-08-30
책 소개
북한의 문화를 어떻게 평가하고 자리매김시켜야 할 것인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책. 북한의 대중문화와 관련하여 받았던 인터뷰 내용을 중심으로 생각을 정리하였다. 문화적 다양성을 인정하면서 공유할 수 있는 문화의 틀을 만들어가는 문화적 통일을 염두하고 남북 문화교류의 실마리를 제시한다.
목차
프롤로그
제1부 북한 대중문화 이해를 위한 길라잡이
같아야 같고, 달라야 다른 것이 아니다
인민을 위한 수령, 수령을 위한 인민의 사회
북한에서 문화는 어떻게 생성되고 유통되는가
아름다움에도 휴전선은 있다
예술에서 보편성과 민족성은 어떤 관계인가
제2부 북한 대중문화와의 만남
정치와 예술
영화·드라마
교예
남북문화 교류
제3부 남북 문화의 흐름과 소통
남북의 문화 소통은 가능한 일인가
남북 문화교류 어디까지 어떻게 왔나
남북 문화교류의 한계는 무엇인가
남북 문화교류 앞으로 어떻게 될까
남북 문화교류 어떻게 풀어야 하나
다시 남북 문화교류를 돌아보다
저자소개
책속에서
북한의 문화정책은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그러나 현대적 의미라는 것은 지속적으로 현대성만을 강조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현대적 의미의 발굴과 함께 원작이 갖고 있는 의미에 대한 천착이 병행될 때 그 가치가 빛나기 마련이다. 한편의 가치만을 강조하는 것은 민족문화 발전의 한 축을 잃어버린 것에 다름 아니다.-p51 중에서
북한의 교예창작과 공연에서는 체육적 요소와 예술적인 요소, 양자를 바르게 결합시킬 것을 강조한다. 교예의 기본을 이루는 체육적 동작과 기교에 예술적인 조형율동미가 배합된 교예를 강조하고 있으며, 특히 사실주의적인 면에 생동감을 더한 연기가 요구되고 있다.-p170 중에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