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88992517065
· 쪽수 : 374쪽
· 출판일 : 2007-01-30
목차
머리말
제1장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방법
3. 연구의 내용
제2장 관수용 쌀의 수요결정과 배분
1. 관수용 쌀의 수요결정
2. 관수용 쌀의 배분
제3장 관수용 쌀의 유통기관
1. 호조
2. 선혜청
3. 상평청
4. 진휼청
5. 양향청
6. 균역청
7. 군ㆍ현
제4장 관수용 쌀의 수송시스템
1. 조운제도
2. 건국초기의 조운제도
3. 조선 전기의 조운체계
4. 조선 후기의 조운체계
5. 조운제도의 운영과 관리
6. 조운선의 항해일지
제5장 관곡의 검사ㆍ계량ㆍ저장ㆍ조제
1. 미곡의 검사
2. 미곡의 계량
3. 세곡의 하역과 입창
4. 관곡의 저장
5. 미곡의 보관과 조제
제6장 민수용 쌀의 유통시스템
1. 조선 전기의 미곡 유통
2. 조선 후기의 미곡유통
3. 한성의 미곡시장 규모
4. 한성의 미가와 미곡의 유통경로
5. 경강주인의 시장지배
6. 쌀의 종류와 등급
제7장 쌀을 이용한 물가정책과 사회정책
1. 물가정책과 상평창
2. 구휼정책과 진휼청
3. 각급 관청과 군영의 환곡운영
제8장 조선 말기 재정위기와 조운시스템의 붕괴
1. 조운제도의 붕괴와 재정위기
2. 농업생산성의 하락
3. 임오군란과 조운제도의 개선
4. 기선의 도입
5. 갑오경장과 조운제도의 폐지
6. 외획제도에 의한 쌀 공급
7. 철도에 의한 미곡수송
8. 초기의 선물시장 : 미두
제9장 미곡의 수입ㆍ수출과 원조
1. 조선시대의 쌀 교역과 원조
2. 개항 전후의 미곡 수출과 수입
3. 강남미와 안남미의 수입
제10장 미곡유통시스템의 문제점
1. 세곡 수송선의 난파
2. 선재의 부족과 조선 공급의 차질
3. 선박의 구조와 항해기술
4. 육상수송의 비효율
5. 세곡 수송 중의 부정행위
6. 도량형제도의 혼란
7. 세곡의 검사와 수납시의 문제
8. 환곡운영의 문제점
9. 미곡시장의 비효율
10. 화폐의 유통과 미곡시장
제11장 미곡유통시스템의 효율개선을 위한 정책
1. 운하의 건설
2. 도량형 개선
3. 화폐의 발행
4. 수레의 이용
5. 산군주민을 위한 작전납의 허용
6. 구휼미의 신속수송을 위한 네트워크
7. 사선고용제도의 도입
8. 기선의 도입
9. 방곡령의 금지
제12장 결론
참고 문헌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