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생활환경계열 > 가정학
· ISBN : 9788992938211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08-09-05
목차
머리말
제1장 가족에 대한 이해
1.가족에 대한 이론적 관점
2.현대가족의 변화
3.가족의 사회적 기능
4.가족문제
5.다양한 가족의 유형 및 실태
6.다양한 가족에 대한 사회적 지원체계
제2장 건강가정에 대한 이해
1.건강가정의 등장 배경 및 이념
2.건강가정의 특징
3.건강가정의 기능
4.가족 건강성
제3장 건강가정기본법
1.건강가정기본법의 출현 배경
2.건강가정기본법의 지향성
3.건강가정기본법의 효과와 사회적 기여
제4장 건강가정 생활문화
1.가정생활문화
2.여가생활문화
3.여가생활문화의 실태 및 전망
4.여가활동의 효과성
5.여가생활문화의 향상을 위한 건강가정사의 과제
제5장 건강가족의 생활교육
1.가족생활교육이란 무엇인가?
2.가족생활교육의 다양성
3.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4.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의 실행 및 평가
5.부모교육
제6장 건강가정 정책
1.건강가정 정책에 대한 이해
2.한국 가정정책의 현황
3.건강가정정책 실현을 위한 사업
4.외국 가정정책의 현황
5.가정정책 실천을 위한 과제
제7장 건강가정지원센터
1.건강가정 전달체계로서의 건강가정지원센터
2.건강가정지원센터의 역할과 그 기능
3.건강가정지원센터의 과제
4.건강가정지원센터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
제8장 건강가정사업과 프로그램
1.건강가정사업의 개념
2.건강가정사업의 특성
3.건강가정사업의 목적과 기능
4.건강가정사업의 내용
5.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제9장 건강가정사의 실천기술
1.건강가정사의 역할과 정의
2.건강가정사의 자격
3.건강가정사의 실천기술 및 현장실습
제10장 가족치료에 대한 이해
1.가족치료 이론의 발달
2.가족치료 이론의 주요개념
3.개인치료와 가족치료의 비교
제11장 가족치료
1.Murray Bowen의 가족치료
2.Jay Haley의 전략적 가족치료
3.Salvador Minuchin의 구조적 가족치료
4.Virginia Satir의 경험적 가족치료
5.해결중심 가족치료
6.가족치료의 결과 평가
부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