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세무/회계
· ISBN : 9788993657982
· 쪽수 : 675쪽
· 출판일 : 2015-03-02
책 소개
목차
Part 1 회계실무(중소기업회계기준 반영)
01 기초회계실무
제1절 회계의 개념 4
1. 회계의 개념과 장부 4
2. 정보시스템으로서의 회계 4
3. 회계와 부기 5
4. 회계정보이용자 5
5. 재무제표(재무보고서) 5
6. 회계단위와 회계연도 6
7. 중소기업회계기준 7
8. 회계의 순환과정
제2절 재무제표 16
1. 대차대조표(Balance sheet : B/S) 16
2. 손익계산서(Income statement : I/S) 23
3. 손익계산서와 대차대조표의 관계 28
제3절 회계거래의 측정과 기록 30
1. 회계거래 30
2. 숫자로 측정 30
제4절 거래결합과 복식부기 31
1. 거래의 결합(이중성) 개념 31
2. 대차평균의 원리와 복식부기 32
3. 계정과목 35
4. 계정원장의 서식 36
5. 분개 37
6. 전표 39
7. 총계정원장과 원장, 거래처별원장 46
제5절 결 산 51
1. 의의 51
2. 결산 절차 51
3. 합계잔액시산표 57
4. 장부마감 61
02 대차대조표 계정과목해설
제1절 대차대조표 과목 78
1. 자산 과목 78
2. 부채 과목 80
3. 자본 과목 80
제2절 당좌자산 81
1. 현금 및 현금성자산 81
2. 단기투자자산 85
3. 매출채권 95
4. 선급금 105
5. 선급비용 106
6. 미수금 107
7. 미수수익 108
8. 가지급금 109
9. 부가가치세대급금 110
10. 선납세금 111
제3절 재고자산 113
1. 재고자산 개념 113
2. 재고자산 계정과목들 113
3. 재고자산 취득원가 등 123
제4절 투자자산 124
1. 의의 124
2. 투자부동산 124
3. 장기투자증권 124
4. 장기대여금 125
5. 기타 투자자산 125
제5절 유형자산 126
1. 유형자산 의의와 재무제표 표시방법 126
2. 유형자산의 범위 126
3. 유형자산 취득원가 129
4. 법인세법상 취득원가 및 자산의 기준 등 134
5. 정부보조금에 의한 취득 138
6. 감가상각 142
7. 유형자산의 처분(제거) 152
제6절 무형자산 153
1. 무형자산의 정의 153
2. 무형자산의 종류 154
3. 무형자산 취득가액과 상각 158
4. 무형자산의 처분 160
제7절 기타비유동자산 160
1. 임차보증금 161
2. 장기매출채권 162
3. 장기선급비용 163
제8절 유동부채 163
1. 단기차입금 163
2. 매입채무 163
3. 미지급금 164
4. 미지급비용 165
5. 선수금 166
6. 선수수익 166
7. 예수금 167
8. 유동성장기부채 169
제9절 비유동부채 170
1. 장기성매입채무 170
2. 장기차입금 170
3. 사채 171
4. 퇴직급여충당부채 177
5. 퇴직연금 부담금 등 182
제10절 자 본 189
1. 주식회사의 설립과 절차 189
2. 자본의 개념과 분류 190
3. 자본금 191
4. 자본잉여금 195
5. 자본조정 196
6. 이익잉여금 198
03 손익계산서 해설
제1절 손익계산서 계정과목과 작성기준 211
1. 수익 계정과목 211
2. 비용 계정과목 212
3. 손익계산서 작성기준 213
제2절 매출액과 매출원가 214
1. 매출액 214
2. 매출원가 222
제3절 판매비와 관리비 242
1. 급여 242
2. 퇴직급여 244
3. 복리후생비 248
4. 여비교통비 248
5. 접대비 249
6. 감가상각비 251
7. 통신비 252
8. 수도광열비 253
9. 세금과공과 253
10. 지급임차료 254
11. 수선비 255
12. 보험료 255
13. 차량유지비 256
14. 운반비 256
15. 교육훈련비 256
16. 도서인쇄비 257
17. 소모품비 257
18. 수수료비용 257
19. 광고선전비 258
20. 잡비 258
21. 대손상각비(대손충당금 포함) 259
22. 퇴직급여충당금환입액과 대손충당금 환입액 267
제4절 영업외수익·영업외비용 267
1. 이자수익 267
2. 이자비용 267
3. 배당금수익 268
4. 임대료 268
5. 단기투자자산평가이(손)익 268
6. 단기투자자산처분이(손)익 268
7. 외환차손익 269
8. 외화환산손익 270
9. 유형자산처분손익 273
10.사채상환손익 273
11. 전기오류수정손익 273
12. 자산수증이익 274
13. 채무면제이익 274
14. 잡이익 274
15. 기타의 대손상각비 275
16. 기부금 275
17. 매출채권처분손실 280
18. 지급수수료 280
19. 잡손실 280
제5절 법인세 등 281
Part 2 세무실무
01 국세기본법
제1절 조세의 개념 286
Ⅰ. 조세의 일반적 개념 286
1. 조세의 의의 286
제2절 ?국세기본법? 실무 290
Ⅰ. ?국세기본법?의 목적과 성격 290
Ⅱ. 조세용어의 정의 291
Ⅲ. 기간과 기한 296
Ⅳ. 서류의 송달 300
Ⅴ. 국세부과의 원칙 301
Ⅵ. 세법적용의 원칙 303
Ⅶ. 납세의무의 성립 304
Ⅷ. 납세의무의 확정 305
Ⅸ. 납부의무의 소멸 306
Ⅹ. 국세의 우선권 307
?. 제2차 납세의무자 311
?. 연대납세의무 313
ⅩⅢ. 국세청의 과세정보 제공 314
ⅩⅣ. 수정신고제도와 경정청구제도 및 기한 후 신고 314
ⅩⅤ. 신용카드 등에 의한 국세 납부 316
ⅩⅥ. 가산세의 부과 316
1. 무신고 가산세(국기법 47조의2) 316
2. 과소신고ㆍ초과환급신고 가산세(국기법 47조의3) 321
3. 납부불성실ㆍ환급불성실 가산세(국기법 47조의4) 325
4. 원천징수납부 등 불성실가산세(국기법 47조의5) 327
ⅩⅦ. 가산세의 감면 329
1. 가산세의 면제 329
2. 가산세의 감면 329
3. 가산세의 감면절차 330
4. 감면사유의 발생시기 및 감면배제 331
5. 가산세의 한도 331
ⅩⅧ. 국세환급금과 국세환급가산금 332
제3절 세금납부서 작성요령 334
02 부가가치세
제1절 부가가치세 총론 340
Ⅰ. 부가가치세의 개념 340
1. 부가가치율 계산 342
2. 부가가치세의 특징 342
Ⅱ. 과세대상 346
1. 재화의 범위 346
2. 용역의 범위 346
3. 부수되는 재화 또는 용역의 구분 347
Ⅲ. 납세의무자 348
1. 사업자와 재화를 수입하는 자 348
2. 사업자의 구분 348
Ⅳ. 과세기간과 신고기한 349
1. 과세기간 349
2. 부가가치세 신고와 납부 349
3. 부가가치세 신고시 제출서류(부령 90조, 부령 91조) 350
4. 부가가치세 납부 및 환급 351
Ⅴ. 신고ㆍ납세지 352
1. 원 칙 352
2. 직매장ㆍ하치장ㆍ임시사업장 352
3. 주사업장 총괄납부제도 353
4. 사업자단위과세제도 353
Ⅵ. 사업자등록제도 355
1. 사업자등록신청 355
2. 사업자등록증의 발급 358
3. 일반사업자 등록과 간이과세자 등록 358
4. 사업자의 구분 및 매출증빙서류 358
5. 휴업ㆍ폐업의 신고 359
6. 사업자등록증의 정정 359
7. 미등록에 대한 불이익 360
Ⅶ. 영세율의 적용과 면세 360
1. 영세율제도의 정의 360
2. 면세제도의 정의 361
3. 영세율 대상거래 362
4. 영세율 대상거래의 공급시기와 과세표준 371
5. 내국신용장등과 관세환급금 372
6. 영세율 첨부서류 372
7. 수출에 대한 회계처리 사례 374
8. 면세대상거래(부법 26조, 조특법 106조) 378
제2절 과세표준과 매출세액 381
Ⅰ. 과세거래 381
1. 재화의 공급 381
2. 용역의 공급 387
3. 재화의 수입 387
Ⅱ. 거래시기 388
1. 거래시기의 의의 388
2. 재화의 공급시기 388
3. 용역의 공급시기 390
4. 선수금에 대한 거래시기특례 391
Ⅲ. 거래장소 391
Ⅳ. 부가가치세 과세표준의 계산 392
1. 부가가치세 과세표준 392
2. 대손세액공제 402
제3절 세금계산서와 현금영수증 405
Ⅰ. 세금계산서 405
1. 세금계산서의 개요 405
2. 세금계산서의 발급특례 411
3. 세금계산서의 발급의무면제 413
4. 세금계산서와 신용카드매출전표의 이중발행 금지 414
5. 수정세금계산서 414
6. 세금계산서합계표의 제출 418
7. 현금영수증의 발급 418
Ⅱ. 현금매출명세서 등의 제출의무 421
제4절 일반과세자의 신고와 납부 422
제5절 간이과세자의 신고와 납부 433
1. 간이과세자의 개요 433
2. 간이과세 적용대상 사업자 433
제6절 수정신고 440
Ⅰ. 부가가치세 신고에 잘못이 있는 경우의 조치 440
Ⅱ. 가산세 441
Ⅲ. 결정 및 경정 445
03 중소기업과 지출증빙
제1절 중소기업 462
Ⅰ. 중소기업의 법규 462
Ⅱ. ?조세특례제한법?의 중소기업의 요건 462
Ⅲ. 중소기업 적용 유예기간 465
Ⅳ. 세법상 중소기업에 대한 조세특례 468
제2절 지출증빙 469
Ⅰ. 경비 등의 지출증빙 수취 실무 469
1. 사업자가 발행하는 증빙의 범위 469
2. 국내사업자로부터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받을 때의 적격증빙 470
3. 경비 등 지출 적격증빙에 대한 특례 470
4. 적격증빙미수취 가산세 472
5. 비사업자로부터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받을 때의 증빙 472
04 소득세와 원천징수
제1절 소득세 총론 476
1. 의의 476
2. 소득세 특징 476
3. 과세기간(소법 5조) 479
4. 납세의무자(소법 2조) 479
5. 납세지 480
6. 종합소득금액 계산구조 481
7. 소득세법상 가산세(요약) 482
제2절 종합소득금액 484
1. 이자소득(금융소득) 484
2. 배당소득 485
3. 사업소득 488
4. 근로소득 502
5. 연금소득 513
6. 기타소득 518
7. 종합소득세율 523
8. 소득공제 523
9. 세액공제 526
10. 중소기업특별세액감면 527
제3절 원천징수실무 528
Ⅰ. 원천징수의 파악 528
1. 원천징수의 유형 528
2. 원천징수의무자 529
3. 원천징수 시기 529
4. 원천징수대상소득 530
5. 원천징수 제외 대상 530
6. 원천징수 신고ㆍ납부 531
7. 원천징수관련서류 534
Ⅱ.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 작성방법 536
1. 월별납부자의 경우 536
2. 반기별 납부자의 경우 554
3. 수정신고 561
Ⅲ. 금융소득(이자ㆍ배당소득)의 원천징수 567
1. 금융소득의 수입시기 567
2. 원천징수세율(소법 129조) 569
3. 금융소득의 과세방법 570
Ⅳ. 사업소득의 원천징수 573
1. 원천징수대상 사업소득(소령 제184조 ①) 573
2. 원천징수 의무자(소령 184조 ③) 575
3. 원천징수세액 575
4. 신고납부절차 576
Ⅴ. 근로소득의 원천징수 578
1. 근로소득의 과세방법 578
2. 근로소득의 수입시기 580
3. 근로소득 원천징수시기 581
4. 근로소득 간이세액표(소령 189조) 581
Ⅵ. 연금소득의 원천징수 586
1. 과세방법 586
2. 연금소득의 수입시기 587
Ⅶ. 기타소득의 원천징수 588
1. 기타소득의 수입시기 588
2. 과세방법 589
3. 원천징수영수증의 발급 590
4. 지급명세서 제출의 면제 591
Ⅷ. 퇴직소득의 원천징수 594
1. 퇴직급여제도 594
2. 원천징수 대상 퇴직소득의 범위 594
3. 퇴직판정의 특례 596
4. 원천징수세액 597
5. 신고납부절차 602
05 법인세법
제1절 법인세 실무 608
Ⅰ. 총 론 608
Ⅱ. 각사업연도 소득금액의 계산 634
Ⅲ. 손익의 귀속사업연도 650
Ⅳ. 법인세과세표준의 계산 654
Ⅴ. 납부세액의 계산 655
Ⅵ. 가산세 663
Ⅶ. 법인세과세표준의 신고 665
Ⅷ. 법인소득 원천징수 671
Ⅸ. 법인세법상 그 밖의 의무 672
Ⅹ. 중간예납 6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