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제국은 어떻게 망가지는가

제국은 어떻게 망가지는가

(기득권과 탐욕의 몰락사)

류징화 (지은이), 한종수 (옮긴이)
아이필드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제국은 어떻게 망가지는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제국은 어떻게 망가지는가 (기득권과 탐욕의 몰락사)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세계사 일반
· ISBN : 9788994620022
· 쪽수 : 448쪽
· 출판일 : 2012-05-10

책 소개

고대 페르시아제국부터 20세기의 소련까지 모두 9개 대국의 쇠퇴 과정을 다루고 그 원인을 살펴본다. 역자 한종수는, 중국 지식인들은 민중 봉기가 역사에 미치는 영향에 많은 관심을 두고 있고 생산양식과 계급 대립에 대한 서술도 자주 눈에 띄는데, 우리가 자주 접한 일반적인 세계사와는 조금은 다른, 중국 지식인들의 독특한 시각을 볼 수 있었던 점을 이 책의 소득으로 꼽았다.

목차

제국은 어떻게 망가지는가
기득권과 탐욕의 몰락사

[옮긴이 서문]
서문
l. 전통과 현대: 서로 다른 제국의 본질019
2. 대국 쇠락의 원인 분석025

제1장 첫 번째 세계 제국 페르시아
1. 중동 고대 문명의 마지막 주자 031
이란고원의 고대 민족
키루스가 건설한 페르시아제국
다리우스의 제국 개혁
조로아스터교와 페르시아제국의 문화 통일
서아시아와 북아프리카 고대 문명의 마지막 주자
2. 페르시아제국의 쇠망038
그리스 세계와 전쟁을 시작하다
살라미스 해전 : 페르시아전쟁의 전환점
알렉산더의 치명적 공격
3. 파르티아 044
알렉산더대왕의 페르시아화와 셀레우코스왕국의 그리스화
파르티아의 굴기와 제국의 건설
로마와의 오랜 대치
파르티아 제국의 쇠망
4. 신페르시아제국의 흥망 052
사산조페르시아제국의 탄생
로마, 비잔틴제국과의 오랜 전쟁
종교 박해와 종교운동
호스로의 개혁
아랍의 페르시아 공격
5. 사파비조 페르시아의 강성 059
사파비왕조의 흥기
아바스 1세의 개혁과 이란의 강성
민중 봉기와 사파비왕조의 쇠망
6. 서방 세력의 침입과 이란의 몰락 064
18세기 이란의 정국 변화
영국, 프랑스, 러시아의 침략
바하이교의 봉기
타키 칸의 개혁
반식민지 이란

제2장 지중해의 패자 로마의 쇠망
1. 로마의 건국에서 공화정까지071
테베레 강변에서의 건국
지중해의 패자
로마공화정의 위기
2. 황제 제도로의 전환 : 위험한 시작080
로마 내전과 1차 삼두정치
옥타비아누스의 원수정
팍스로마나
3. 3세기의 위기086
경제적 쇠퇴와 사회 위기
군인들의 정치 개입과 정국 혼란
민중의 봉기와 야만족의 침입
4. 노예제의 쇠퇴092
예농제의 출현
디오클레티아누스의 중흥
콘스탄티누스의 통치
5. 초기 기독교098
기독교의 탄생
초기 기독교의 발전과 변화
기독교의 국교 지위 확립
6. 서로마제국의 붕괴104
제국의 분열과 민중 봉기
게르만족의 대이동
서로마제국의 멸망
7. 로마의 쇠망 원인론 110
기독교의 침투와 사회 혼란
과도한 대외 확장의 후유증
로마인의 부패와 타락
노동 의욕의 상실

제3장 천년 제국 비잔티움
1. 새로운 탄생 117
비잔티움에서 신로마로
기독교의 로마제국
‘이교’의 최후
2. 유스티니아누스의 ‘제국의 꿈’ 128
그 사람 유스티니아누스
제국 부흥의 꿈
로마법대전
교회 통일의 꿈
3. 양패 구상135
페르시아와의 전쟁
아랍인과 슬라브인의 도전
군구(軍區) 개편과 성상파괴
마케도니아 왕조의 중흥
4. 서구 기사들의 먹이145
십자군 시기의 비잔티움
엉망진창 라틴제국
비잔틴제국의 광복
5. 콘스탄티노플 함락 151
사면초가의 제국
늑대를 집안에 끌어들이다
힘이 다하다

제4장 정교일치의 아랍 제국
1. 무함마드가 건설한 신정국가159
이슬람 이전의 아라비아반도
무함마드, 이슬람교를 창시
무함마드, 이슬람 국가를 건국
2. 《쿠란》과 칼이 만든 제국 167
아랍 제국의 건설
제국의 번영 : 우마이야왕조
제국의 강성 : 아바스왕조
3. 동과 서의 다리 : 강점과 약점 171
아랍 제국의 군사적 정복
동서 문화의 장점을 받아들인 이슬람문화
민족문제와 교파 간의 충돌
4. 아랍 제국의 분열과 쇠락 180
제국 서부의 독립 정권
제국 동부의 분열
아바스 칼리프 권력의 쇠퇴
5. 아바스왕조의 최후 186
칼리프 제국 심장부에서 일어난 위기
서아시아의 패권자. 셀주크
아바스왕조의 붕괴
6. 사라진 제국, 위대한 문명192
아랍 제국 쇠망의 원인
아랍 제국의 역사적 유산

제5장 유목 민족의 초강대국 몽골
1. 몽골의 통일 199
몽골의 여러 부족들
테무친의 굴기
몽골 통일 전쟁
2. 몽골의 태풍 205
유라시아의 정세
몽골의 남진
중앙아시아와 동유럽을 향한 서정(西征)
3. 통일을 유지하기 어려웠던 제국 214
한계에 부딪힌 정복
정치적 분열로 이어진 분봉
분산된 경제, 현지화 된 문화
4. 제국의 분열 : 4대 한국 219
킵차크한국
차가타이한국
오고타이한국
일한국
5. 대원 제국의 통치와 멸망228
정치적 통일과 민족 차별
극단화된 사회 분화
농민 봉기와 원 제국의 멸망
6. 몽골인의 충격 여파 234
재기의 꿈 물거품으로
토목보의 변
몽골제국의 멸망

제6장 악전고투의 오스만제국
1. 오스만투르크의 흥기 243
돌궐, 서돌궐과 셀주크인
오스만투르크인
2. 유럽 문 앞의 다마스쿠스 검247
오스만 인의 유럽 진출
오스만제국의 통치기구
제국의 전성기
3. 서구 식민주의자들과의 대결255
유럽에서의 철수
흑해와 크림전쟁
4. 하다가 만 개혁 259
선진 사상과 과학기술의 유입
부국강병을 목표로 한 군사 개혁
신질서
마흐무드의 강력한 개혁
5. 제국 붕괴에 대한 분석269
오스만제국의 쇠퇴 원인
강대국의 간섭으로 인한 민족 독립과 지방 분립
대국들이 조종하는 제국의 재정

제7장 이베리아반도의 두 제국 포르투갈과 에스파냐
1. 역부족의 포르투갈 제국 285
지킬 것은 너무 많고 힘은 부족했다.
사치와 향락, 경제 상황의 악화
종교와 정치 위기, 에스파냐에 병합
2. 에스파냐의 야망, 물거품이 되다289
반역사적 통치자, 국익보다 우선시 된 종교
모든 국민의 ‘황금광화’
왜곡된 문화의식
3. 국력을 소진시킨 대외 전쟁294
프랑스와 오스만과의 전쟁
독일 신교도와의 전쟁
네덜란드 혁명전쟁
영국과의 전쟁 : 무적함대의 궤멸
중간 결산
4. 무능한 통치자들 301
엉망진창인 재정
자기 파괴적 경제정책
봉건 특권층의 탐학과 죽어나는 국민
부패의 만연
5. 강력한 외부 경쟁자들 306
16세기 유럽 열강, 아메리카에 진출하다
17세기 유럽 열강, 에스파냐의 아메리카 독점에 도전
영국과 네덜란드, 포르투갈에 도전
6. 최후의 붕괴 312
에스파냐령 아메리카의 독립
에스파냐 제국의 마지막 붕괴
포르투갈 제국의 붕괴
7. 제국 쇠락의 교훈 317

제8장 대영제국에서 연합 왕국으로
1. 영국 굴기 321
이민으로 구성된 민족
중세기의 후진국
16세기 : 종교개혁과 정치 변혁
17세기 : 정치투쟁의 격화와 사상 혁신
18세기 : 농업혁명과 산업혁명
19세기 : 최고의 황금기
2. 전성기에 잠복해 있던 위험요소331
식민 제국 체제의 모순
창조 정신과 기업가정신의 쇠퇴
양날의 칼. 자유주의
신사 풍조의 왜곡
국제정세의 급변과 독일의 도전
대륙정책의 잠재 위험
3. 두 차례의 대전 : 곤경에 빠진 제국340
제1차 세계대전에서의 내상
1920년대 사회와 정치 위기
독일에 대한 지원과 타협
2차 대전의 악전고투
4. 백인 자치령의 이반 347
아일랜드 문제
애증의 남아프리카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의 자립
5. 식민 제국의 와해 352
누가 대영제국을 움직이는가?
동남아시아와 서아시아의 독립
아프리카의 각성
홍콩 반환
6. 전 세계적 철수 360
지중해 패권의 끝
수에즈 동쪽에서도 철수
포클랜드 전쟁 : 대영제국의 마지막 영광
7. 다시 일어나는 영국 364
세 ‘원’의 접점
유럽으로의 복귀
경제 붕괴와 회복
미국의 푸들
8. 영국 지위 하락에 대한 소고 368

제9장 붉은 대국 소련
1. 폭풍우 속의 탄생 373
2월 혁명 : 황제의 퇴위
10월 혁명의 포성
소비에트 정권을 지켜라!
소련의 탄생
` 2. 고난의 행군 379
경제 위기
신경제정책 : 레닌의 대담한 실험
새로운 정치체제
20년대 격렬한 당내 정치투쟁
3. 강성과 은우 385
농업 집단화의 공과
공업화와 스탈린 방식
대숙청
흐루쇼프의 탈 스탈린 정책과 개혁
포스트 흐루쇼프 시대의 경제개혁과 정치 보수화
4. 세계대전과 소련 392
세계대전의 위협과 소련의 정책
악전고투의 4년 : 대조국전쟁
철의 장막과 냉전
미국과 전 세계에서 맞서다
아프가니스탄 : 소련의 베트남
5. 애증의 ‘대가족’ 400
사회주의 진영의 형성
소련과 유고슬라비아의 대립 그리고 폴란드, 헝가리
프라하의 봄
자유노조의 도전
중소 갈등
6. 붉은 제국의 해체 408
모스크바의 겨울
민족문제라는 악몽
고르바초프의 개혁과 비극
외교적 수세에 몰리다
동유럽의 급변
소련의 해체
7. 소련 해체에 대한 단상 418

지은이 후기 421
[참고문헌] 422
[지도 및 도표 참고문헌] 425
[찾아보기] 426

저자소개

류징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天津사범대 교수
펼치기
한종수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에서 태어나 고려대 중문과를 졸업하고, 롯데관광, 한국토지공사, 세종시도시재생지원센터 등에서 근무했다. 대표작 《강남의 탄생》을 비롯해 《2차대전의 마이너리그》, 《라면의 재발견》, 《서서울에 가면 우리는》, 《민주주의를 걷다》, 《구호기사단 천년의 서사시》, 《미 해병대 이야기》, 《페니키아 카르타고 이야기》, 《이스라엘 국방군 제7기갑여단사》 등을 내놓았다.
펼치기

책속에서

노예도 예농도 자유농민도 주된 생산자라 할 수 없었다. 하지만 다른 생산계급이 나타나지 않았다. 로마제국은 재화를 창출하는 생산계급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 탓에 제국의 문을 닫아야 했다. _<제2장 지중해의 패자 로마의 쇠망> 중에서


비잔틴제국은 인류 역사에서 주류는 아니었을지 모른다. 하지만 그들이 보존한 고대 문명은 후세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들이 전파한 동방정교는 슬라브 민족의 정신문화를 채워주어 비잔티움-슬라브 문화라는 ‘동방기독교문명권’을 만들어냈다. _<제3장 천년 제국 비잔티움> 중에서


비잔티움 문명은 로마의 정치와 법률 제도, 기독교의 사상, 동지중해와 서아시아 문명의 유산에 그 뿌리를 두었다. 특히 그리스 문명이 저변을 이루었다. 그런 까닭에 비잔틴제국의 몰락은 그저 한 나라의 멸망이 아니라 고대로부터 내려온 정치체제와 국가기구의 몰락이었다. _<제3장 천년 제국 비잔티움>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