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교육/학습 > 창의 교육
· ISBN : 9788996107408
· 쪽수 : 219쪽
· 출판일 : 2008-05-10
책 소개
목차
제1장 야단치는 부모에서 벗어나자
꾸중보다는 애정을 주자
가정교육이 지나치게 엄하면 어떻게 될까?
부모와의 스킨십이 아이에게 안정감을 준다
아침에 간단한 스킨십으로 이렇게 달라진다
동생이 태어난 후, 갑자기 변한 아이
애정은 하루 세 끼의 식사와 같다
아이가 애정을 실감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야단침으로써 잃게 되는 것들
꼭 야단쳐야 할 일은 많지 않다
감정적으로 야단치면 아이들로부터 멀어진다
감정적인 사람의 말은 신뢰를 얻지 못한다
아이들은 부모의 말의 무게를 간파하고 있다
나의 쓰라린 경험담
아이들의 차가운 반응에 얼어붙은 나
‘야단치지 않고 교육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다
가정에서 야단을 치게 되는 상황
가정에서 ‘야단치지 않고 교육하는 시스템’의 예
아이들의 다양성에 대한 이해
‘잘 하지 못해도 좋다.’라는 마음가짐
안 되는 것을 인정하지 못하는 어른들이 아이들에게 상처를 준다
어른들이 해서는 안 되는 일
아이를 키우며, 눈감아 주는 용기가 필요할 때가 있다
아이들의 단점은 눈감아 주고 장점을 키워 주자 1
아이에게 상처를 주는 부모의 말투
인격을 무시하는 말투는 절대로 써서는 안 된다
아이에게 의욕을 심어주는 긍정적인 말투
가끔은 단순 명령형의 말투도 필요하다
부모의 말투가 자녀와의 관계를 결정한다
칭찬의 중요성
칭찬받고 있다고 생각하는 아이가 얼마나 될까?
플러스 사고와 마이너스 사고
플러스 사고로 바꾸는 노력을 하자
아이들의 단점은 눈감아 주고 장점을 키워 주자 2
손수건은 어느 쪽을 들어도 전체가 올라간다
제2장 자녀교육에서 5가지 중요한 것
1. 엄격함은 지속성, 일관성, 몸소 실천, 이 세 가지이다
엄격함이란 지속성이다
지속성을 갖기 위해서는 체크 시스템이 꼭 필요하다
엄격함이란 일관성이다
엄격함은 몸소 실천해 보이는 것이다
2. 우선 냉정하게 원인을 조사해서, 구체적인 방법을 실행한다
아이를 키우면서 문제에 직면했을 때 꼭 지켜야 할 원칙이란?
예시) 아이가 아침잠이 많다
예시) 아이가 글 쓰기에 약하다
작은 단계로 나누어 쉬운 것부터 가르치자
성과를 너무 기대하지 말자
3. 취지와 이유를 바르게 가르친다
말하는 방법에서 중요한 두 가지
일관성 있게 가르친다
4. 처음 아이 키울 때의 마음으로 돌아가자
초심을 떠올리자
무엇이 전과 달라졌는가?
어깨의 힘을 빼고 편안하게
인생시계-아이들은 모두 날이 밝기 전의 꿈 속 같다
인생은 길다
5. 부모가 편안해지면 아이도 행복해진다
부모의 스트레스는 아이들에게 전달된다
내 아이를 위해 스트레스를 쌓아 두지 말자
부모 자신이 트라우마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부모 자신의 트라우마를 치료하면서 자녀를 키우자
제3장 좋은 이야기가 아이들의 마음을 성장시킨다
1. 인간관계에 대한 이야기
2. 생활습관에 관한 이야기
3. 그 외의 여러 가지 이야기
리뷰
책속에서
부모가 아이들을 감정적으로 야단칠 때는 대부분 부모 본인에게 원인이 있습니다. 아이가 큰 잘못을 해서가 아니라 그 때 어른의 심리적인 상태에 따라 감정적으로 폭발하게 됩니다. 무언가 큰 일 때문에 고민을 하고 있을 때라든지, 할 일이 너무 많아 시간에 쫓기고 있을 때, 가정에서나 직장에서 인간관계가 잘 되지 않을 때 등입니다.
어른이 이와 같은 스트레스를 갖고 있을 때, 그 눈앞에 나타난 작은 아이는 좋은 표적이 됩니다.그러므로 아이를 키우는 부모가 스트레스를 안고 있으면 그것은 반드시 아이에게 돌아가게 됩니다.
아이들은 평상시라면 용서받을 일로 갑자기 부모로부터 불호령을 맞게 됩니다. 그리고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난 것인지 영문도 모른 채 거센 태풍 속으로 이리저리 밀려갈 수밖에 없습니다. 아이들은 조금 전까지는 넘치는 에너지로 가득해서 몸 전체로 살아있는 기쁨을 표현했었는데, 지금은 갑자기 시들어 가는 꽃과 같아집니다. 부모의 차가운 눈초리와 가슴에 박히는 듯한 횡포스러운 말들에 상처를 받습니다. 부모의 감정적인 폭발은 그때까지 공들여 쌓아 올렸던 부모와 자녀 사이의 관계를 단 한 번에 파괴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