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성공 > 성공학
· ISBN : 9788997201143
· 쪽수 : 200쪽
· 출판일 : 2014-03-20
책 소개
목차
시작하는 글
- 첫 100일이 왜 중요한가
- 첫 100일 개념의 유래-루스벨트 대통령의 취임 후 첫 100일
- 이런 사람은 반드시 이 책을 읽어라
- 독자들께 드리는 편지
Part 01 시작 단계
Chapter1 준비
1. 이전에 해오던 역할에서 벗어나라
2. 자신만의 에너지관리시스템을 세워라
3. 새로운 자리로 옮겨가는 데 따른 핵심 도전과제들을 파악하고 이해하라
4. 새 직책과 조직, 시장에 대해 상세한 프로필을 작성하라
5. 목표를 염두에 두고 시작하라
Chapter2 ‘취임 후 첫 100일’ 계획
○ ‘퍼스트100-어시스트’ 프레임워크
여러분은 이제 ‘취임 후 첫 100일’ 계획서를 작성할 준비가 되었다.
다음 사항과 관련해 지금까지 수집한 모든 정보를 염두에 두어야 한다.
- 이행과정에서 만나는 어려움
- 역할·조직·시장의 상세 프로필
- 2년 임기를 상정한 비전, 그리고 첫 12개월의 전략적 우선순위
Chapter3 스타트
- ‘취임 후 첫 100일’ 계획을 가동시킨다
- 단순 관리자가 아니라 리더로 등장한다
- 실질적 내용(substance)뿐 아니라 시선을 사로잡는 매력(sizzle)도 필요하다
- EQ도 IQ 못지않게 중요하다
- 향후 30일의 중요한 성공요인: D1∼30
Part 02 중간 시기
Chapter4 30일
○ 계획 대비 진도 점검
○ 여기서 누가 진짜 중요하고 무엇이 진짜 중요한지 결정
○ 팀의 업무수행 가속화
○ ‘취임 후 첫 100일’ 계획의 갱신
○ 향후 30일(D30∼D60)의 결정적 성공요인
Chapter5 60일
- 계획 대비 진도 점검
- 누가 남고 누가 떠날지 최종 결정한다
- 리더십 ‘승수효과’ 활용
- ‘취임 후 첫 100일 계획’의 손질
- 향후 30일(D60-D90)의 결정적인 성공요인
^Part 03 마지막 단계
Chapter6 90일
- 계획 대비 진도 점검
- 마지막 10일간 ‘해야 할 일’ 리스트 작성
- 피드백 요청
- 스스로를 돌아보는 시간 갖기
- 마지막 10일(D90-D100)의 결정적인 성공요인
Chapter7 마무리
- ‘취임 후 첫 100일’ 계획의 마감
- 성과를 기록하고 그동안 얻은 교훈 정리하기
- ‘첫 100일’의 성공을 이해관계자들에게 알리기
- 팀원들과 함께 축하
- ‘제2막’에 대해 생각하기
마지막 당부
리뷰
책속에서
시작하는 글
- 첫 100일이 왜 중요한가
- 첫 100일 개념의 유래-루스벨트 대통령의 취임 후 첫 100일
- 이런 사람은 이 책을 반드시 읽어라
- 독자들께 드리는 편지
1. 첫 100일이 왜 중요한가
새로운 직책을 맡고 나서 첫 100일은 여러분이 그 자리에서 성공하느냐 실패하느냐를 결정지을 중요한 시기이다. 그리고 이 첫 100일은 앞으로 여러분이 해나갈 직장생활 전 시기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공직에 있더라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여러분이 어떤 자리에 취임하고 첫 100일을 성공적으로 보낸다면, 그것은 바로 첫 1년을 성공적으로 보낼 수 있는 토대를 닦는 것이다. 그리고 취임 후 첫 1년을 성공적으로 보낸다면, 그 직책에서 궁극적으로 성공을 거두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물론 여러분은 새로 맡은 직책에서 반드시 성공하고 싶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 직책은 여러분이 승진해서 새로 맡은 것이고, 새로 책임을 맡은 일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시야를 넓혀 더 큰 그림도 봐야 한다. 여러분이 만일 이 직책을 잘 수행해낸다면, 이 직책에서 기대 이상으로 더 성공적으로, 그리고 더 빨리 성공한다면, 더 나은 자리로 보다 빨리 승진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다. 그렇게 되면 여러분은 앞으로도 계속해서 맡는 일마다 성공을 거두게 될 것이다.
처음부터 잘하면 더 빨리 승진한다
하지만 그 반대의 경우도 물론 가능하다. 여러분이 새로 맡은 직책에서 시동이 늦게 걸리거나 제대로 순조로운 출발을 하지 못할 경우, 나중에 그 잃어버린 시간을 만회하려면 대단히 힘들지 모른다. 일을 맡은 초기부터 잘해내지 못한다면, 앞으로 그 직책에서 성공할 가능성은 크게 떨어질 것이다. 이것은 앞으로 당신의 사회생활에서 성공하는 속도가 아주 더뎌지거나, 성공 전망 자체가 흐려질 수 있다는 말이 된다. 이것은 당연한 이치이다. 새로 맡은 직책을 잘해내지 못하는 사람에게 또 다시 승진기회가 쉽게 주어지겠는가? 그러니 여러분의 경력 전 과정에서 이 첫 100일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2. 첫 100일 개념의 유래-루스벨트 대통령의 취임 후 첫 100일
이 개념은 원래 미국의 프랭클린 D. 루스벨트(FDR) 대통령이 취임 후 첫 100일간 거둔 전설적인 성공의 속도와 범위를 표현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이후 다른 미국 대통령이나 정치인들이 새로 시작한 임기를 얼마나 성공적인 출발을 하는지 판단하는 척도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이 ‘취임 후 첫 100일’ 개념은 이제 새로 기업이나 공직을 비롯한 각종 단체에서 새로 임명된 리더의 취임 후 초기 단계를 묘사하는 전문용어가 되었다. 이것은 새로 임명된 리더가 초기에 한정된 기간 동안 업무 수행을 잘 해서 가시적인 결과물을 내놓고, 이해관계자들의 호응을 얻는 과정을 설명하는 효과적인 방법이 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