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28816529
· 쪽수 : 140쪽
· 출판일 : 2021-11-01
책 소개
목차
디지털 콘텐츠 창작의 방점은 ‘창작’에 있다
01 뉴스
02 홍보 영상 콘텐츠
03 웹드라마
04 교양, 정보제공
05 리얼리티 쇼, 버라이어티 쇼
06 브이로그
07 콘텐츠 기획
08 콘텐츠 제작 준비 작업
09 제작, 촬영
10 장비, 기술 ? 사운드, 조명, 편집
저자소개
책속에서
지구촌 곳곳에 특파원을 파견하고 뉴스 콘텐츠만을 전문으로 다루는 거대 뉴스 케이블사나 종편들과 겨룰 수 있는 소규모 디지털 콘텐츠 창작팀의 뉴스 제작은 허를 찌르는 뉴스 아이템 선정에 있다. 비대한 몸집으로 의사 결정이 느리고 기동성이 떨어지는 방송사가 다루지 못하는 후속 보도와 세심히 챙기지 못하고 흘리는 소소한 지역 뉴스, 지속적인 관심과 끈기로 만들어내는 기획 아이템으로 ‘다른’ 뉴스를 기대하는 관객의 환심을 산다.
_ “01 뉴스” 중에서
현대인의 출근, 통학 시간이 길어지면서 전철에서 버스에서 즐기는 웹드라마는 모바일 환경에 맞게 출현했다가 정통 드라마 시장을 위협하는 존재로 급부상 중이다. 웹드라마는 길고 오래가는 것을 참지 못하는 모바일 세대에 맞게 짧은 에피소드와 관객의 의사를 반영한 스토리 전개라는 강점으로 무장했다. 고비용 고위험 콘텐츠인 드라마를 스피디하고 트렌디한 다품종 소량생산의 팝업 스토어 패션 아이템으로 재창조시킨 것이다.
_ “03 웹드라마” 중에서
다른 친구들은 뭘 하나, 내 이웃은 어떻게 저녁 시간을 보내고 있을까 등 많이 궁금한 것은 아니지만 보여주면 거절하지는 않을, 속 편하게 볼 수 있는 콘텐츠다. 걷다가 지나치는 골목길 창문에 비친 이웃의 일상을 흘끔 보듯이 브이로그는 보여줄 수 있는 사생활을 콘텐츠로 만들고 아무런 부담 없이 보고 싶은 만큼만 보는 전략과 야심이 없는 무심한 콘텐츠다. 하지만 이미 세상에 공개된 일상을 재탕하면 관객이 모이지 않는다.
_ “06 브이로그” 중에서